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20 : 상대 여성 경우 남성의 특성 맨스플레인 그래서 중요
상대가 여성일 경우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남성의 특성을 일컫는 맨스플레인은 그래서 중요하다
→ 그래서 가시내를 마주하면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꼰대질을 눈여겨본다
→ 그래서 순이와 마주하면 으레 가르치려고 드는 잘난척을 들여다본다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홍승은, 동녘, 2017) 134쪽
순이를 보면 가르치려고 하는 돌이가 있고, 돌이를 보면 가르치려고 드는 순이가 있습니다. 애써 가르치려고 하기보다는 이야기를 하면 될 테지만, “쟤는 나처럼 못 하네?” 하고 여기면서 낮잡는 마음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가르치거나 배우는 길은 안 나쁩니다. 밀어붙이거나 욱여넣으려 하니 서로 괴롭습니다. 잘난척을 하거나 꼰대질을 하니 힘겨워요. 이제는 서로 차분히 마주하면서 말을 섞는 길을 배우고 나눠야지 싶습니다. 마음을 눈여겨보고 숨빛을 들여다보면서 함께 읽고 익혀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상대(相對) : 1. 서로 마주 대함. 또는 그런 대상 2. 서로 겨룸. 또는 그런 대상 3. 서로 대비함 4. [철학] 다른 것과 관계가 있어서 그것과 떨어져 존재할 수 없는 것
여성(女性) : 1. 성(性)의 측면에서 여자를 이르는 말. 특히, 성년(成年)이 된 여자를 이른다 ≒ 여 2. [언어] 서구어(西歐語)의 문법에서, 단어를 성(性)에 따라 구별할 때에 사용하는 말의 하나
경우(境遇) : 1. 사리나 도리 2. 놓여 있는 조건이나 놓이게 된 형편이나 사정
남성(男性) : 1. 성(性)의 측면에서 남자를 이르는 말. 특히, 성년(成年)이 된 남자를 이른다 ≒ 남 2. [언어] 인도·유럽 어족에서, 단어를 성에 따라 구별할 때 쓰는 말의 하나
특성(特性) : 일정한 사물에만 있는 특수한 성질 ≒ 특이성
mansplain : 남성이 (주로 여성에게) 거들먹거리며 설명하다
중요하다(重要-) : 귀중하고 요긴하다”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귀중하다(貴重-)’는 “귀하고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