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이육사와 정호승 (2025.7.12.)

― 대구 〈물레책방〉



  대구에는 엉성하고 어설프며 좁쌀만 하게 꾸리는 〈이육사 기념관〉이 있고, 큰돈을 들여 큼지막하게 꾸리는 〈정호승 문학관〉이 있습니다. 대구라는 고장에 노래님(시인)이 많다면, 해마다 대구시에서 골목집을 두 채씩 사들여서 ‘대구 젊은글님’ 한 사람과 ‘대구 어른글님’ 한 사람한테 ‘골목글채(문학창작공간)’로 베풀 만합니다. 잿집(아파트)에서도 얼마든지 글을 쓸 수야 있지만, 아침저녁과 밤낮을 느끼면서 이웃하고 어울리는 골목집에 깃들어야 비로소 “이웃하고 나누는 글살림”을 꾸린다고 봅니다. 글님 스스로 건사해서 마을빛을 가꾸는 길목으로 삼는 ‘골목글채’를 해마다 두 채씩 늘려간다면, 이 작은 씨앗힘으로 어느덧 글숲마을을 이룰 만합니다.


  이름나려고 쓰는 글은 덧없습니다. 돈벌이나 힘을 노리면서 쓰는 글은 부질없습니다. 이육사 님은 총칼을 거머쥔 일본하고 맞서면서 글빛을 밝혔으나, 대구시는 참으로 후줄그레하게 팽개칩니다. 정호승 님은 전두환 사슬나라가 서슬퍼럴 적에 〈월간조선〉에서 조갑제 씨랑 일했고 요새도 이곳에 글을 싣는데, 대구기차나루 한켠에 ‘홍준표를 닮은 박정희 쇳덩이’를 세운 고장길은 참으로 초라합니다.


  이른저녁에 대구 마을책집 〈물레책방〉에 깃듭니다. 실을 잣는 물레마냥, 대구라는 고장에 푸른빛이 남실거리기를 바라는 책터입니다. 언뜻 보면 꽤 커다란 대구입니다만, 곰곰이 보면 멧숲이 포근히 감싼 얼개인 대구입니다. 좁게 보면 서울은 와글와글 북새통이되, 넓게 보면 한숲(한반도 자연)이 아늑히 품은 모습인 서울입니다. 제아무리 북새판이어도 둘레에 들숲메가 있기에 사람터를 이룹니다.


  풀과 꽃과 나무가 늘 ‘풀꽃잔치’를 이루기에 대구도 서울도 있습니다. ‘푸른마당’이 있기에 부산도 인천도 있습니다. ‘숲두레’가 너울거리기에 크고작은 모든 고을에서 저마다 다르게 살림을 일굴 만합니다. 이제부터 우리가 바라볼 곳이라면 ‘풀밭’이지 싶습니다. 오늘부터 우리 스스로 헤아릴 터전이라면 ‘들숲누리’이지 싶어요.


  영어 ‘green party’를 우리말로 어떻게 옮길 적에 아이어른이 나란히 어깨동무를 하면서 새길로 뻗는 하루를 즐겁게 지을까요? 이웃나라 일본은 ‘green party’를 일본한자말인 ‘綠色黨’으로 옮겼고, 우리나라 일꾼과 살림꾼은 우리말로 푸른사랑을 여미면서 꽃빛과 풀빛을 품어서 풀어내는 보금자리를 열 만합니다. 스스로 길을 찾으려 하기에 길잡이입니다. 남이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하거나 나라가 길들이는 대로 뒤따르기에 종살이나 놉살이입니다.


《물레걸음 no.1》(장우석 엮음, 물레책방, 2022.12.25.)

《박근혜는 무엇의 이름인가》(이택광, 시대의창, 2014.7.20.)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장 피에르 카르티에·라셀 카르티에/길잡이 늑대 옮김, 조화로운삶, 2007.1.2.)

#PierreRabhi #LeChantdelaTerre (2002년)

#JeanPierreCartier (1938∼2021) #RachelCartier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길·깃 더하기 질·짓 (2024.6.29.)

― 부산 〈책과 아이들〉



  온누리에는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이 따로 없다고 느낍니다. 겉보기로 가르자면, 이이는 잘하는구나 싶고 저이는 못하는구나 싶을 만해요. 속보기로 짚으면, 이이도 저이도 스스로 배우는 걸음마이지 싶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기에 늘 새롭고 곱게 바꿉니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안 기울이기에 으레 틀에 박히면서 뻣뻣합니다. 이른아침에 첫여름해를 듬뿍 쬐면서 땀을 쪽 뺍니다. 저녁을 앞두고서 씻고 빨래하고 쉽니다. 마룻바닥에 누워서 바람을 쐬다가 다시 씻고서 기지개를 켭니다. 그림꽃 《150cm 라이프》를 어제부터 천천히 읽는데, 다 다른 우리 몸은 저마다 다르게 이야기를 누리고 얻고 심으려는 뜻으로 입는구나 싶어요. 몸이 뚱뚱하면 뚱뚱한 대로 즐기고, 몸이 마르면 마른 대로 즐기고, 키가 크면 큰 대로 즐기고, 키가 작으면 작은 대로 즐기는 삶이에요.


  부산 〈책과 아이들〉에서 아침에는 ‘동심읽기’ 모임을 꾸리면서 《하이디》(요한나 쉬피리) 몇 대목을 함께 읽고서 생각을 나눕니다. 해바람비를 머금으니 튼튼한 하이디요, 해바람비를 모두 물리치니 아픈 클라라예요. 낮에는 ‘말이 태어난 뿌리 : ㅁ’ 자리를 꾸립니다. ㅁ으로 여는 낱말은 ‘마음·말’이 밑동으로 서면서 숱한 다른 낱말을 일으킵니다. ㅂ이라면 ‘바람·바다’가 밑동으로 찰랑찰랑 춤추고, ㅁ은 말이 물처럼 찰랑이면서 마음이 맑게 출렁여요.


  살랑살랑 가벼이 쓰다듬는 바람을 누린 걸음입니다. 너는 네 걸음걸이로 오늘을 누립니다. 나는 내 걸음새로 오늘을 누벼요. 너랑 나는 다르게 누리고 누빈 발걸음을 따라서 새삼스레 만나서 이야기꽃을 피웁니다. 신나게 들려주고, 실컷 듣습니다. 신바람으로 속삭이고, 신명나게 속살입니다.


  “‘길·깃’ 더하기 ‘질·짓’”이라는 얼거리를 혀에 얹어서 마음에 띄워 봅니다. 우리가 나아가는 길은 스스로 깃들 곳을 찾아서 날갯깃을 펄럭이는 하루입니다. 서로서로 짓고 짊어지니 집(보금자리)에서 포근히 지내는 살림길을 열어요.


  늘 하늘빛과 함께 이곳에서 아침을 엽니다. 늘 바람결과 같이 여기에서 밤을 닫습니다. 늘 너랑 도란도란 이곳에서 수다를 폅니다. 늘 나 스스로 여기에서 갈피를 잡으면서 마음을 다독입니다.


  읽으려 하기에 잇습니다. 기르려고 생각하니 씨앗을 심습니다. 이야기할 마음이기에 말을 마음껏 맑게 펼칩니다. 빚고 짓고 가꾸는 땀방울이 반가우니 온힘을 다하여 활짝 웃습니다. 낱말 하나에 흐르는 숨빛이 우리 눈과 입과 귀와 손에 깃드는 사이에 차분히 기지개를 켭니다. 말길을 틔우면서 활개를 폅니다.


ㅍㄹㄴ


《세계 명작 동화를 둘러싼 40년의 여행》(이케다 마사요시/황진희·심수정 옮김, ㅁ, 2022.12.24.)

《달맞이산 너머로 날아간 고등어》(권정생, 햇빛출판사, 1985.7.1.첫/2000.10.20.중판)

《동쪽 빙하의 부엉이》(조너선 C. 슬래트/김아림 옮김, 책읽는수요일, 2022.3.31.첫/2022.4.22.2벌)

#OwlsoftheEaster Ice #TheQuesttoFindandSavetheWorldsLargestOwl #JonathanCSlaght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최재천, 김영사, 2021.3.1.)

《시마네의 변호사 12》(카가와 마사히토/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16.2.28.)

#島根の弁護士 #香川まさひと

《그래도 아유무는 다가온다 1》(야마모토 소이치로/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0.5.31.)

《나의 신님 2》(유메노 츠쿠시/신혜선 옮김, YNK MEDIA, 2023.1.10.)

#夢野つくし #私の神?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창피하지만 (2025.5.26.)

― 서울 〈악어책방〉



  시골에서는 올봄이 “하늘이 내린 빛살(축복)”이라 느낄 만큼 차분하면서 더위 없이 흐릅니다. 서울에서 시외버스를 내려서 시내버스와 전철을 갈아타자니 “아무런 날씨도 하루도 느낄 수 없구나” 싶어요. 올해에는 먼지바람이라든지 꽃가루바람 탓에 걱정할 일조차 없이 아름하늘입니다. 그렇지만 이 아름하늘과 아름봄을 노래하는 말(날씨안내·문학·신문기사)은 한 줄조차 볼 수 없습니다.


  ‘말씨’라는 얘기처럼 “말은 씨가 된다”고 여기고, ‘글씨’라는 이야기처럼 “글은 쓰기 된다”고 알아본다면, 우리가 저마다 마음에 담고서 서로 마음을 나눌 적에 터뜨리는 낱말 하나마다 이제부터 자라나는 새길이 있다고 느껴요. 마음을 담는 말이란, 손수 마음을 가꾸는 말이라면, 마음을 쓰는 글이란, 손빛으로 마음을 사랑하는 글이지 싶습니다.


 〈악어책방〉에 닿습니다. 어스름이 천천히 덮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는 발소리를 느끼면서 ‘마음글’을 손수 나누는 저녁을 누립니다. 우리는 글을 더 쓰거나 덜 쓸 마음이 아닙니다. 부끄럽든 창피하든 우리 오늘을 적바림하려는 마음입니다. 자랑스럽든 수수하든 우리 발자국을 옮기려는 마음입니다.


  ‘함께읽기’란, 한 곳을 여럿이 다르게 바라보면서 “우리가 이렇게 다르구나” 하고 배우는 자리일 테지요. ‘함께쓰기’란, 한 곳을 여럿이 스스로 바라보면서 “우리가 이렇게 같구나” 하고 느끼면서 익히는 자리로구나 싶습니다.


  가난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은데, 가난도 가멸도 늘 두 가지입니다. 마음이 가난하면 돈이 많아도 가난하고, 마음이 가멸면 돈이 적어도 가멸어요. 가난이란 누구나 늘 스스로 밑바닥으로 즐겁게 내려오면서 배우는 삶입니다. 가멸이란 누구나 언제나 하늘빛으로 넉넉히 피어나면서 배우는 살림이에요. 물결이 치듯 가난과 가멸 사이를 부드러이 오갈 적에 사람으로서 사랑을 알아본다고 느낍니다.


  날마다 새몸과 새마음을 입고서 늘 새로 피어나는 오늘이기를 바라기에 말 한 마디에 마음 한 자락을 놓습니다. 언제나 새눈과 새귀를 틔우고서 가만히 깨어나는 살림을 그리기에 글 한 줄에 마음 한 뙈기를 둡니다. 높거나 낮지 않은 마음소리입니다. 크거나 작지 않은 마음밭입니다. 낱말 하나도 안 높고 안 낮습니다. 글씨 하나도 안 크고 안 작아요.


  수줍기에 말을 삼가다가 천천히 말길을 엽니다. 망설이기에 글을 멈추다가 찬찬히 글꼬를 틉니다. 글을 쓰려는 마음이란, 스스로 짓고 빚고 여미는 하루를 손수 노래하려는 꿈이라고 할 만합니다. 스스럼없이 꿈을 그리니 여기에 꽃이 핍니다.


《신 이야기》(고다 요시이에/안은별 옮김, 세미콜론, 2014.11.28.)

#ごうだよしいえ #業田良家 #神樣物語

《나는 해파리입니다》(베아트리스 퐁타넬 글·알렉상드라 위아르 그림/김라헬 옮김, 이마주, 2020.7.30.)

#JeSuisLaMeduse #BeatriceFontanel #AlexandraHuard

《작으면 뭐가 어때서!》(마야 마이어스 글/염혜원 그림·옮김, 비룡소, 2023.1.5.)

#NotLittle #MayaMyers #HyewonYum

《짱구네 고추밭 소동》(권정생, 웅진닷컴, 1991.11.30.첫/2001.7.10.24벌)

《빨간 초와 인어(미니북)》(오가와 미메이/이예은 옮김, 세나북스, 2025.5.27.)

#LePetitPrince #小川未明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그림책을 보는 (2024.6.12.)

― 서울 〈문화온도 씨도씨〉



  그림을 담기에 그림책이라면, 글을 싣기에 글책입니다. 하늘을 이야기하면 하늘책이고, 사랑을 노래하면 사랑책입니다. 사람을 이야기하면 사람책이고, 숲을 들려주면 숲책이요, 마을을 가꾸는 길을 밝히면 마을책입니다.


  글씨를 죽 훑는 일은 ‘훑기’입니다. ‘읽기’라 하지 않습니다. 그림이 멋지거나 놀랍거나 대단하거나 훌륭하거나 남다르기에 ‘그림책’이라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살림하며 살아가는 하루를 담아내기에 그림책입니다. 사람은 얼굴이 예쁘거나 잘생겨야 하지 않습니다. 사람은 돈이 많거나 이름이 높아야 하지 않습니다. 넋이 빛나고 얼이 반짝이는 숨결이기에 사람입니다.


  ‘틀(표준)’이나 ‘자(규칙)’를 쓸 때가 있되, 모든 곳에 틀과 자를 들이대는 길이라면 삶하고 멉니다. 모든 곳에서 ‘나’하고 ‘너’가 ‘우리’로 만나면서, 틈을 내는 틀과 잣나무 같은 자로 헤아릴 적에 비로소 이 별이 반짝여요.


  서울마실을 하면서 〈문화온도 씨도씨〉를 찾아갑니다. 함께 가꿀 이야기를 헤아리면서 어떤 그림책을 새로 빚어낼 만한지 생각을 나눕니다. 같이 걸어갈 하루를 돌아보면서 우리나라 그림책을 어떤 눈으로 들여다볼 만한지 생각을 주고받습니다. 나란히 돌보고 지을 살림을 짚으면서 오늘 이곳에서 차근차근 가꿀 그림책 씨앗을 생각합니다.


  우리는 바로 이곳에서 짓습니다. 서로 손길을 모두어서 짓습니다. 이제까지 태어난 풀싹을 둘러보면서 앞으로 깨어날 풀꽃을 그립니다. 멋지거나 뜻깊다는 줄거리를 담은 그림책도 나쁘지는 않아요. 그렇지만 아이어른이 함께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림책이면 넉넉합니다.


  사랑을 아름다이 담은 책을 읽고 새기고 물려줄 적에 제대로 빛나지 싶어요. 숲에서 자란 나무숨결을 붓끝으로 옮길 적에 반짝이지 싶어요. 뚜벅뚜벅 걸어가는 오늘을 바람 한 줄기랑 나란히 바라볼 적에 즐거울 테고요. 바느질을 하는 손으로 한 땀씩 여밉니다. 집안일을 보살피는 손으로 두 땀을 엮습니다. 아이랑 손을 잡고 거니는 눈망울로 새록새록 추스릅니다.


  사랑은 파랑이라는 빛깔로 나타냅니다. 빨강은 불(분노·전쟁)을 나타내요. 이 얼거리를 헤아린다면, 바람과 바다를 담아내려는 숨결일 적에 비로소 사랑인 줄 알아차립니다. 뜨겁게 불타오를 적에는 그만 활활 불태우고 말아 잿더미로 치닫는 줄 알아볼 노릇입니다. 활짝 열어젖히면서 환하게 틔우는 불빛이라면 따뜻합니다. 훨훨 날아오르듯 활활 활개를 펴는 몸짓이라면 홀가분하고요.


《여름, 제비》(구윤미·김민우, 노란상상, 2023.6.8.)

《친구 같은 나무 하나쯤은》(강재훈, 한겨레출판, 2024.1.31.)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햇볕길을 (2025.5.8.)

― 부산 〈읽는 마음〉



  어버이날 새벽에 논두렁을 달려서 옆마을에 닿습니다. 첫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로 갔고, 순천을 거쳐서 부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로 갈아탑니다. 등허리를 폅니다. 석 달째 조금씩 쓰는 글꽃(동화) 한 자락을 더 씁니다. 사상나루에서 내려 사직으로 갑니다. 2025년 5월 7일에 연 〈읽는 마음〉을 바라보며 골목길을 걷습니다.


  부산은 다른 고장을 헤아리면 책집이 너무 적다고 느꼈습니다. 그런데 알뜰히 새터를 차리는 분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책 한 자락으로 이 고장 한켠을 밝히면서, 마을사람 스스로 이곳을 사랑하는 이야기씨앗을 심는다고 느낍니다.


  높은자리에서 내려다보면 “고작 작은책집 하나”입니다. 살림자리에서 마주보면 “바로 작은책집 하나”입니다. “이 작은 곳”으로 무엇을 바꿀 수 있느냐고 핀잔하는 분도 있으나, 언제나 “이 작은 곳”이 첫발입니다. 크고작은 모든 푸른숲은 작은씨앗 한 톨에서 비롯했어요. 마을도 고을도 고장도 나라도 바로 “이 작은 한 사람”부터 마음을 가꾸면서 시나브로 바꾸게 마련입니다.


  지난 2000년부터 꼬박꼬박 부산을 드나듭니다. 천천히 느슨히 부산 여러 골목과 마을을 거닐면서 새롭게 만나고 돌아봅니다. 아늑하고 알뜰한 골목집이 사라지면 안타깝지만, 꿋꿋이 골목밭과 꽃그릇밭을 일구는 이웃이 있기에 반갑습니다. 저는 굳이 꽃뜨락(식물원)을 안 갑니다. 시골에서는 들숲메가 꽃밭이요, 큰고장에서는 골목길이 꽃길입니다.


  마을책집 〈읽는 마음〉을 돌보는 책집지기님이 부산에서 꾸준히 이야기밭을 일구셨다고 합니다. 부산에 있는 작은펴냄터에서 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살림하며 살아가는 손길로 여민 작은책이 반짝입니다. 《어느 날, 마녀가 된 엄마》를 알아보는 책동무는 아직 적은 듯하지만, 이제부터 늘어나기를 바라요. 부산에서 두 아이를 돌본 어느 분이 여민 《그래봤자 꼴랑 어른》이라는 이야기책도 놀랍도록 아기자기하면서 반짝반짝합니다. 부산뿐 아니라 다른 고장에서도 “일하고 살림하는 아줌마 눈길”로 태어나는 작은꾸러미가 차분히 작은씨앗 구실을 할 테지요. ‘나(어른)’를 마주하면서 ‘너(아이)’를 품습니다. 나(어른)부터 사랑으로 바라보면서 너(아이)를 나란히 사랑으로 보살핍니다.


  대단하거나 커다란 모습이어야 나라나 마을이나 책집이지 않습니다. 이곳은 큰나라나 큰고장이지 않아도 됩니다. 큰집에서 살거나 큰쇠(중·대형차)를 거느리지 않아도 됩니다. 큰이름을 얻거나 큰돈을 벌어야 하지 않습니다. 살림집에서 살고, 살림수레를 거느리고, 살림이름을 나누고, 살림돈을 펴면 넉넉합니다.


《날마다, 도서관》(강원임, 싱긋, 2025.4.12.)

《날마다, 지하철》(전혜성, 싱긋, 2021.11.11.)

《화가들의 꽃》(앵거스 하일랜드·켄드라 윌슨/안진이 옮김, 푸른숲, 2025.3.11.첫/2025.4.15.4벌)

#theBookoftheFlower #FlowersinArt #AngusHyland #KendraWilson

《어느 날, 마녀가 된 엄마》(김주미, 글이, 2022.8.8.)

《그래봤자 꼴랑 어른》(한주형, 글이, 2020.5.5.)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