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9.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
루이스 세풀베다 글/엄지영 옮김, 열린책들, 2025.1.10.
큰아이가 사흘째 2000조각 맞추기를 한다. 훌륭하다. 나는 1조각조차 거들지 못 하는데, 아침에 끝이 보인다. 낮에 마침내 마치시는구나. 엊그제부터 꺾이는 여름더위를 돌아본다. “뭐? 벌써?”라 여기는 분이 많을 테지만, 긴낮(하지)이 여름꼭대기요, 잔볕(소서)하고 큰볕(대서) 사이에 여름이 조금씩 내려선다. 겨울에도 이 얼개는 같다. 어제그제는 밤에 29℃여도 땀이 안 흘렀고, 낮에 31℃여도 땀방울이 안 맺히더라. 낮밥을 차리고서 살짝 쉰 다음 뒤꼍과 고샅에 돋은 풀을 조금 벤다. 낫으로 풀을 베면 풀내음이 그윽하다. 저녁에 두바퀴로 논두렁을 가르며 하늘을 보자니, 이제 빨래는 17:30이면 걷어야겠네.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를 읽으며 아쉽고 아리송했다. 흰고래를 말하고 싶다면 흰고래한테 물어볼 노릇인데, ‘흰고래 아닌 사람살이’를 꿰어맞췄다고 느꼈다. 바다를 들려주고 싶다면 바다한테서 이야기를 들을 일인데, ‘바다 아닌 서울살이’를 짜맞췄다고 느꼈다. 바다도 바람도 고래도 헤엄이도 사람을 미워하거나 싫어해서 죽이려는 불길이 타오르지 않는다. 총칼을 끝없이 벼리는 얼뜬 우두머리하고 허수아비만 불길이 타오를 뿐이다. 얼뜬 사람을 나무라려면 누가 어떻게 얼뜨기인지 짚으면 된다. 애먼 흰고래를 괴롭히지 말자.
#LuisSepulveda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