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7.


《엄마》

 김미희 글·그림, 빨간콩, 2020.11.30.



간밤에 비가 왔다. 아침에 그친다. 낮에는 해가 난다. 오늘은 콩나물무국을 끓인다. 아이가 앓는 모습을 지켜보거나, 내가 몸앓이를 털고 일어나는 모습을 돌아보면, 밤새 몸을 누여서 잠들 적에는 으레 말짱하다. 자다가 콜록거리거나 끙끙대는 일이란 없다. 언제나 잠에서 깬 뒤부터 콜록거리거나 끙끙댄다. 몸을 내려놓는 잠자리에 들면 몸앓이가 감쪽같이 사라지지만, 몸을 떠올리는 때부터 ‘앓는 몸(세포)도 나란히 깨우’는 셈이라 할 만하다. 누구나 언제나 튼튼할 뿐 아니라, 멍도 응어리도 말끔히 털어낸 새벽이요 아침일 테지만, 우리 스스로 마음에 ‘새멍’과 ‘새응어리’와 ‘새고름’을 담고, 생채기마저 새로 심는다고 할 수 있다. 2025년 노벨물리학상도 마땅히 마음씨(양자물리학)를 다루는 일꾼이 받는다. 《엄마》는 이모저모 잘 나온 그림책이다. 지난 2020년에 이 그림책을 만났다면 ‘2020년 올해그림책’으로 뽑았으리라고 본다. 해마다 나오는 모든 그림꽃(만화책)을 헤아리지만 곧잘 놓치는 그림꽃이 있다. 그림책이며 숱한 책도 으레 여러 해 지나서야 알아채곤 한다. 엄마는 아이 곁에서, 아이는 엄마 곁에서 새롭게 보금자리를 바라본다. 아빠는 어디 있으면 어울릴까? 앞으로는 온누리 아빠도 부디 살림자리를 찾기를 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6.


《탈학교의 상상력》

 이한 글, 삼인, 2000.9.7.



조용히 흘러가는 한가위 시골이다. 긴 쉼날이되 비가 잦으니 조용하다. 오늘은 구름이 짙으면서 비는 오지 않는 아침과 낮이다. 빨래를 하고, 집일을 한다. 콜록이는 아이들은 나아간다. 늦은낮에 두바퀴를 달린다. 가을들에 멧비둘기가 무리지어 빛줄(전깃줄)에 앉는다. 과일하고 이모저모 장만하고서 집으로 돌아간다. 저녁을 차리고서 하루글을 쓰다가 까무룩 잠든다. 《탈학교의 상상력》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2000년에도 2025년에도 이한 씨 글은 어렵다. 서울대를 마친 모든 사람이 글을 어렵게 쓰지는 않는다만, 서울대라는 곳을 맛본 분은 “쉽게 쓰기”를 꺼린다. 어린이부터 시골할매까지 알아볼 만한 글을 쓰려는 마음이 안 보인다. “어렵게 딴 종이(졸업장)”라고 여겨, “어렵게 꼬아서 길게 쓰는 버릇”이 짙다. 누구보다 ‘서울대사람’ 가운데 하나라도 앞장서서 “다섯 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는 글을 쓰고 “시골할매랑 어깨동무”하는 말을 편다면, ‘탈학교의 상상력’처럼 꾸밈말을 걷어낼 만하다. “학교를 버리는 꿈”이란, 어린이와 시골할매 눈으로 말하자면 “어디서나 누구나 배우는 꿈”이라는 뜻이다. 어디서나 배우면 되고, 누구나 배우면 된다. 풀꽃한테서도 배우고 빗방울한테도 가르치면 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5.


《내 집이 꼭 있어야 할까?》

 서윤영 글, 철수와영희, 2025.10.6.



앓는 두 아이는 천천히 나아간다. 콜록이고, 쉬고, 밥을 먹는다. 눕고, 일어나고, 읽고 놀다가 다시 눕는다. 나는 빨래를 하고 집안일을 한다. 저녁에 비로소 등허리를 펼 즈음 곁님이 김치를 담근다. 큰아이가 옆에서 거든다. 작은아이도 살짝 거든다. 구름이 잔뜩 끼었어도 해가 드리우는 하루가 흐른다. 풀벌레는 하루 내내 노래를 들려준다. 푸른노래를 맞아들이기에 고즈넉이 몸마음을 풀어낼 수 있다. 풀벌레란, 사람을 비롯한 뭇숨결이 언제나 푸릇푸릇 깨어나도록 북돋우는 작은빛인 작은이웃이지 싶다. 《내 집이 꼭 있어야 할까?》를 읽었다. 요사이는 ‘내 집’처럼 쓰는 분이 많으나, ‘우리집’이라 해야 맞다고 본다. 나 혼자 살아도 ‘우리집’이다. 나와 푸른별을 아우르니 우리집이다. 나와 들숲메를 어우르니 우리집이다. 나와 하늘과 바다를 헤아리니 우리집이다. 나랑 새랑 풀벌레를 품어 우리집이다. ‘우리집’이라는 이름으로 바라볼 적에 ‘집’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아볼 만하다고 느낀다. 우리말 ‘집’는 “짓는 곳”이라는 밑뜻이다. 살림을 짓고 말을 짓고 마음을 짓고 생각을 짓는 보금자리라서 집이다. 글쓴이가 앞으로는 ‘골목집’과 ‘시골집’과 ‘오두막’도 살피기를 빈다. 집을 굳이 서울에서 장만해야 하지 않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4.


《교토대 과학수업》

 우에스기 모토나리 글/김문정 옮김, 리오북스, 2016.1.5.



이제 비는 그치고 구름도 조금 걷힌다. 새벽안개가 뽀얗다. 오늘은 신나게 빨래하는 날이로구나. 씻고 빨래하고 넌다. 콜록거리는 두 아이를 돌아보고, 국을 끓이고 밥을 짓는다. 부엌일을 돌보고, 책을 추스른다. 저녁을 앞둘 무렵, 아이들이 먹을 과일을 장만하려고 두바퀴를 달린다. 한가위를 앞두고 시골에 쇠(자가용)가 넘친다. 면소재지도 마을도 쇠가 북적댄다. 설이며 한가위에는 으레 쇠를 몰고서 옛집(고향)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여기는데, 이럴 때일수록 쇠를 모두 집에 놓고서 움직이자고 마음을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여러모로 보면, 한가위나 설에 못 쉬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이맘때에는 버스·기차가 더 다닌다. ‘나흘쯤일(주4.5일제)’이란 뭘까? 좀 곰곰이 짚을 노릇이다. 돈터(은행)나 여러 벼슬터(공공기관)도 쉼날에 열기도 해야 맞다. 보라, 한가위라 해서 나락이 안 자라나? 설이라 해서 마늘이 잠드나? 해날(일요일)이기에 별이 안 돋고 비가 안 오나? 《교토대 과학수업》을 모처럼 돌아본다. 잘 나온 책이라고 느끼지만 일찍 판이 끊겼다. ‘교토대’나 ‘과학’이라는 줄거리보다는, “배우고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늘 주고받으며 마음을 북돋아 생각을 일으킬 노릇이라는 대목을 눈여겨볼 일이다. 생각을 마음에 심으니 생각이 빛나고 자란다. ‘부스러기(지식·정보)’를 심으니 골아프고 쳇바퀴질에 갇힐 뿐, 스스로 샘솟는 빛이 없다. 이 나라 벼슬밭(정치)도 글밭(문학)도 생각 아닌 부스러기에 사로잡혔다.


#上杉志成 #京都大學アイデアが湧いてくる講義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3.


《어떤 어른》

 김소영 글, 사계절, 2024.11.13.



하루 내내 비가 온다. 비오는 하루는 조용하다. 한가위를 앞두고 이 시골에 서울손님이 잔뜩 왔을 텐데, 내내 비날이니 다들 집에만 있는 듯싶다. 고즈넉이 가을비를 바라보는데, 적잖은 풀벌레는 빗물이 들지 않는 곳에 가만히 깃들어서 노래를 베푼다. 이따금 개구리가 왁왁한다. 두 아이는 모처럼 고뿔을 앓는다. 무국을 끓이고, 두 아이 이마이며 팔다리이며 목을 가볍게 쓰다듬고 풀어준다. 우리집에서는 ‘아버지손 돌봄손’이요 ‘아이손 보살핌손’이다. 아플 적에는 신나게 아프면서 생채기를 다스린다. 앓을 적에는 실컷 앓으면서 응어리를 푼다. 우리는 어느새 잊어버리는데, 섣불리 가루(약)를 안 써야 한다. 따끔하고 저리고 결린 몸을 받아들여야 새몸으로 거듭나면서 튼튼하다. 땀을 빼고 끙끙거리고 눈물을 흘려야 새빛으로 깨어나면서 눈뜬다. 《어떤 어른》을 읽는 내내 몹시 아쉬웠다. 이른바 ‘글쓰기 강사’ 같은 ‘직업’이 아닌, ‘마음을 말로 담고 글로 풀어서 생각을 함께 짓는 이웃 아줌마’라는 길을 걷기가 어려울까? 쇠(자가용)를 냉큼 버리고서 아이랑 나란히 큰길도 골목도 걷는 옆집사람이 되기가 힘들까? ‘옳은목소리’를 내기에 옳지 않다. 목소리만으로는 안 바꾸고 못 바꾼다. ‘직업·경력·명예·강연’이 아니라 ‘숲·살림·사랑·이야기’를 바라보며 “누구나 어른”과 “저마다 어른”으로 설 일이라고 본다.


'COVID vaccine has worst side effects ever’: Dr. Rogers' explosive testimony shocks Senate hearing

https://www.youtube.com/watch?v=7KijWu5al5Y


'It's corruption of science, not truth': Aaron Siri exposes WHO's 'vaccines saved 154M lives' claim

https://www.youtube.com/watch?v=Gh6r5rIo4Jw


‘RFK, Polio Vaccines, the Media and Me’: Lawyer Corrects New York Times Misinformation

https://childrenshealthdefense.org/defender/aaron-siri-rfk-polio-vaccines-the-media-and-me-wsj-op-ed/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