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8.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

 이오덕 글, 삼인, 2011.9.16.



부산 마을책집 〈책과 아이들〉에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 함께 이야기밭을 일구기로 한 2025년이다. 짧게 일곱 달을 깃들며 글꽃을 여미는 동안 ‘낛(국민연금·건강보험)’을 나라에서 대준단다. 누가 낛을 대주기로는 2009∼10년에 한글학회 일을 도울 무렵 뒤로 처음이다. 이러구러 새벽에 옆마을로 달려가서 첫 시골버스를 탄다. 순천을 거쳐서 부산에 닿는다. 사직동 〈읽는 마음〉부터 들른다. 어제 갓 열었다는 책집이 이제부터 빛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부산교대 너른터를 가로질러 걷는다. 멀쩡한 느티나무 줄기를 뭉텅뭉텅 치기도 했지만, 고스란히 두기도 했다. 나무가 하늘을 바라보며 가지를 뻗는 곳이어야 배움터라고 본다. 나무를 괴롭히는 손끝이 있다면 배움터일 수 없다. 오랜만에 《동화를 어떻게 쓸 것인가》를 돌아본다. 어린글꽃(어린이문학)을 쓰는 길잡이책이 여럿 나오기는 하는데, 어쩐지 ‘잘 팔려서 살아남는 굴레’에 치우치기 일쑤이다. ‘아이곁’에 서면서 ‘어른곁’에도 서는 마음을 짚는 길잡이책이 요새는 안 나온다. 모든 사람은 아이로 태어나서 어른으로 살림한다. 어린글꽃뿐 아니라 여느글꽃(일반문학)도 ‘아이곁 + 어른곁’이라는 눈빛과 매무새로 다가설 노릇이다. 그리고 숲곁과 마을곁에 서야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7.


《실비아 플라스 동화집》

 실비아 플라스 글/오현아 옮김, 마음산책, 2016.4.20.



아침 일찍 고흥읍으로 간다. 고흥교육지원청까지 걸어가며 책을 읽는다. 우리 책숲으로 삼는 ‘옛 흥양초등학교’ 임대계약서를 새로 쓴다. 해삯으로 110만 원을 치른다. 물·빛(전기)을 못 쓰고, 비가 새는 낡은 집이되, 지난 열다섯 해 동안 고쳐주거나 손보지 않고서 해삯은 꼬박꼬박 받는다. 그러려니 여기기로 한다. 다시 책을 읽으며 나래터까지 걷는다. 글월을 부치고서 저잣마실을 한 뒤에 시골버스를 탄다. 옆마을에 내려 새삼스레 걷는다. 집에 닿아 짐을 부리고서 씻은 뒤에 드러눕는다. 두 시간쯤 푹 쉬고서 《미래 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끝손질을 한다. 펴냄터에서 여러모로 꼼꼼히 짚고 알려주셨다. 저녁에 마치고서 기지개를 켠다. 《실비아 플라스 시 전집》을 먼저 읽었고, 《실비아 플라스 동화집》을 이어서 읽었다. 옮김말이 안 와닿기도 했지만, 《동화집》은 좀 따분했다. 여러 아이가 어떻게 한집에서 어울리며 서로 아끼는가 하는 줄거리를 상냥하게 가르치려는 뜻은 알겠지만, 이 대목에서 멈췄구나 싶다. 왜 아이가 ‘옷’을 ‘멋’과 ‘자랑’으로 여겨야 할까? 우리가 쓰고 읽는 글을 ‘옷·멋·자랑’으로 여길 적에는 스스로 굴레에 갇힌다. 삶과 집살림도 말글도 언제나 숲과 씨앗과 꿈으로 여밀 뿐이다.


#SylviaPlath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6.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

 어슐러 K.르 귄 글/진서희 옮김, 황금가지, 2019.1.29.



아침에 해가 나는가 싶더니 가랑비가 잇는 하루이다. 낮에 두바퀴를 달린다. 가볍게 흩뿌리는 비를 맞는다. 들녘 논두렁 풀을 베는 일꾼이 여럿 보인다. 풀이 조금만 돋으면 모조리 쳐내야 한다고 여기는 가난한 마음을 털어내지 않을 적에는 시골뿐 아니라 이 나라가 못 살아난다. 서울에서는 나무가 조금만 자랄까 싶으면 어느새 줄기와 가지를 뭉텅뭉텅 친다. 이 끔찍짓이 어떤 죽임짓인지 알아보고서 막아내어야 비로소 이 나라 아이어른이 함께 숨통을 틔우리라.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는 구름이 걷히려 한다. 천등산 줄기를 따라서 햇발이 좍좍 퍼진다. 바야흐로 긴긴 쉼날도 이제 끝난다.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를 읽는 내내 아쉬웠다. 큰아이도 이 책을 읽었는데, 너무 못 쓴 글이라고 투덜투덜한다. 모든 글바치가 모든 글을 잘 쓸 수는 없을는지 모르나, 아무래도 어슐러 르 귄 님은 ‘누구’한테 어떤 ‘씨앗글’을 남기고 싶었는가 하는 대목이 좀 얕은 듯싶다. ‘목소리’만 내기에 글일 수 없다. 아무리 목소리가 아름답거나 고와 보이더라도, 막상 ‘스스로 짓고 일구고 가꾸는 삶’에서 손수 길어올린 씨앗을 스스럼없이 담아내지 않는다면 허울스러울 뿐이다. 우리나라도 목소리만 넘친다. 삶과 살림과 사랑이 너무 얕거나 없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사전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내가 사랑한 사진책》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5.


《책방 시절》

 임후남 글, 생각을담는집, 2024.7.5.



빗줄기가 가볍다. 볕날과 비날이 갈마드는 늦봄이다. 이 빗줄기는 모든 자잘한 먼지와 죽음물(농약)을 씻어낸다. 새가 눈에 뜨일 만큼 줄었다. 새를 헤아리지 않는 사람이기에 새터(새 삶터)가 줄어들고, 새밥(새 밥살림)이 나란히 줄어드는 탓이다. 시골에서 살아가며 마주하는 ‘새’를 이야기하면 “사람도 먹고살기 힘든 판에 무슨 새? 배부른 소리 아녀?” 하고 대꾸하는 분이 많다. 그러나 생각을 해보자. 새가 사라지면 논밭이 다 망가진다. 새와 벌레와 벌나비가 없으면 모든 논밭은 싹 죽기에 사람도 나란히 굶어죽는다. 작은새와 작은나비와 작은벌레라고 하는 이웃을 헤아리지 못 하거나 않는 나라로 뒹굴기에 “사람도 나란히 고단한 굴레”이지 않은가? 《책방 시절》은 시골 기스락에서 책집과 펴냄터를 꾸리면서 마주하는 시골빛을 들려준다. 종이책 이야기는 적고, 철빛 이야기가 넉넉하다. 반가운 엮음새이다. 오늘 우리가 자꾸 잊거나 등지는 대목은 철과 바람과 들숲과 풀벌레와 새이다. ‘노동·비정규직·소수자’ 이야기가 왜 안 대수롭겠는가? 그러나 ‘일·뒷자리·작은이’라는 곳을 찬찬히 짚으면서 손을 잡으려면 시골과 들숲메바다를 늘 헤아릴 노릇이라고 본다. 시골 어린이를 안 바라본다면 ‘새길(진보)’일 수 없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4.


《젊은 날의 초상 1987-1989 소대장님은 사진가》

 장종운 사진, 눈빛, 2023.4.25.



바야흐로 어린이날이 낀 쉼날을 잇는다. 오늘은 두바퀴를 달려 논두렁을 가른다. 볕을 쬐고 봄바람을 쐰다. 들이며 마을에서는 새소리가 확 줄었되, 우리집만큼은 아직 새소리가 그득하고, 개구리소리를 누린다. 해마다 시골에 죽임더미(비닐·농약·화학비료)는 늘기만 한다. 죽임더미를 걷어치우려는 길을 세우지 않는다면, 서울에서 굳이 시골로 옮길 이웃도 적을 테지만, 정작 시골 벼슬꾼은 이 대목을 생각조차 않는다. 죽음일터(비닐공장·농약회사·비료공장)와 군청과 도청이 한통속이지 싶다. 《젊은 날의 초상 1987-1989 소대장님은 사진가》를 보며 아쉽고 아쉬웠다. 왜 ‘소대장님’이어야 할까? 왜 ‘젊은 날의 초상’이어야 할까? 언제나 느끼는데, 사진가·사진평론가 가운데 땅개(총알받이·육군보병 소총수)로 뒹군 사람이 있는가, 없는가? 글쟁이나 벼슬아치 가운데 땅개로 밑바닥에서 구르면서 노상 얻어맞고 시달리며 추레질로 괴롭던 사람이 있는가, 없는가? 남긴(기록) 대목은 훌륭하되, 바라본(시각) 눈길은 너무 멀다. ‘소대장님’이 아닌 ‘하사관’이었더라도 아주 다르게 바라보면서 찍었을 테지. ‘땅개’라는 자리에서 보았다면 “얼차려로 시달리는 앳된 젊은이들”이 아니라, “똑같은 젊은 또래인데, 막말과 발길질을 일삼으면서 노려보는 ‘조교’ 주둥이와 눈매”를 찍었을 테지.


돈도 이름도 힘도 없기에 땅개로 뒹굴면서 얻어맞으면서 젊은날을 ‘버려’야 했던 사람들 자리에서 바라보려는 마음을 잊는다면, ‘손에 쥔 것이 없어서 젊은날을 버림받아야 하던 이웃’을 마주하려는 마음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면, 이렇게 ‘위에서 내려다보는 작은권력자’ 손끝에서 멈추고 만다. 1980해무렵에도 개죽음(군대의문사)이 흔했다. 개죽음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사람들한테 《소대장님은 사진가》라는 이름은 너무나 높다란 담벼락이다. ‘우리(땅개·육군보병 노예생활)’를 ‘써먹지(소비)’ 않기를 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