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576 : 자기 자신의 인품 문화적 교양 철학 견해 심리적 상태


자기 자신의 인품과 문화적 교양과 철학 견해와 심리적 상태에서 벗어날 수는 없어

→ 우리 마음빛과 살림빛과 생각과 넋에서 벗어날 수는 없어

→ 우리 숨결과 살림넋과 생각과 마음에서 벗어날 수는 없어

《프랑스 아이의 과학 공부》(장마르크 레비르블롱/문박엘리 옮김, 휴머니스트, 2015) 65쪽


우리는 저마다 다른 마음이기에 서로 새롭게 흐르는 숨결입니다. 우리는 서로 다른 마음빛이라서 살림을 다루는 손길과 눈길이 새삼스레 만나요. 누구나 스스로 살아가는 대로 바라보고, 저마다 살림하는 만큼 받아들입니다. 어느 곳에서 못 벗어나는구나 싶되, 어느 곳에서 배우려고 차분히 머문다고 할 만합니다. 이곳에서 기쁘게 배우니 저곳으로 넘어가서 반갑게 익혀요. 얼핏 보면 갇히거나 묶인 듯합니다만, 곰곰이 보면 아직 덜 배운 터라 그대로 눌러앉아서 하나하나 깊고 넓게 헤아리는구나 싶어요. ㅍㄹㄴ


자기(自己) : 1. 그 사람 자신 2. [철학] = 자아(自我) 3. 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자신(自身) : 1. 그 사람의 몸 또는 바로 그 사람을 이르는 말 ≒ 기신(己身) 2. 다름이 아니고 앞에서 가리킨 바로 그 사람임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인품(人品) : 사람이 사람으로서 가지는 품격이나 됨됨이

문화적(文化的) : 1. 문화와 관련된 2. 높은 문화 수준에 있는

교양(敎養) : 1. 가르치어 기름 2. 학문, 지식,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품위. 또는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

철학(哲學) : 1.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2.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인생관, 세계관, 신조 따위를 이르는 말

견해(見解) :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심리적(心理的) : 마음의 작용과 의식 상태에 관한

상태(狀態) : 사물·현상이 놓여 있는 모양이나 형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136 : 맑게 갠 푸른 하늘


맑게 갠 푸른 하늘 같아서

→ 맑게 갠 파란하늘 같아서

→ 맑게 갠 하늘 같아서

→ 파랗게 갠 하늘 같아서

→ 파란하늘 같아서

《극채의 집 1》(빗케/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8) 113쪽


맑게 갠 하늘은 파랗습니다. 파란하늘은 맑아요. 구름이 걷히면서 나타나는 하늘은 새파랗습니다. “맑게 갠 푸른 하늘”은 아주 잘못 쓰는 말씨입니다. “맑게 갠 파란하늘”로 바로잡을 노릇인데, “맑게 갠 하늘”이나 “파랗게 갠 하늘”이나 “파란하늘”이라 하면 되어요.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135 : -의  것 솔직함 적나라함


가슴 깊은 곳의 이야기까지 꺼내 보여주는 것은 솔직함이 아닌 적나라함이 될 수도 있다

→ 가슴 깊은 이야기까지 보여주면 꾸밈없기보다는 발가벗을 수도 있다

→ 가슴 깊은 이야기까지 들려주면 고스란보다는 민낯일 수도 있다

《심심과 열심》(김선희, 민음사, 2020) 71쪽


“가슴 깊은 곳의 이야기”에서 ‘-의’는 군더더기 일본말씨입니다. ‘-의’를 털면 단출히 “가슴 깊은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가슴 깊거나 속으로 깊이 들려주거나 보여주는 이야기가 왜 ‘발가벗기’라고 여겨야 할까요? 얼핏 벌거벗는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만, 속빛을 가만히 밝혀야 비로소 삶글이요 살림글이자 사랑글입니다. 그대로 적고 고스란히 옮길 줄 알 적에는 ‘까밝히’지 않아요. 민낯과 맨몸을 드러내면서 티없이 빛나는 숲글로 깨어나는 셈입니다. ㅍㄹㄴ


솔직하다(率直-) : 거짓이나 숨김이 없이 바르고 곧다

적나라하다(赤裸裸-) : 1. 몸에 아무것도 입지 아니하고 발가벗다 2. 있는 그대로 다 드러내어 숨김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134 : 루틴 습관 원고 기간 매일 양


어느새 이 루틴에 습관이 붙어서 책 원고를 쓰는 기간이 되면 매일 비슷한 양을 일하고

→ 어느새 이런 버릇이 붙어서 책을 쓸 적에는 날마다 비슷하게 쓰고

→ 어느새 이렇게 길을 들여서 책을 쓸 때에는 나날이 비슷비슷 일하고

《심심과 열심》(김선희, 민음사, 2020) 86쪽


“루틴에 습관이 붙어서”는 영어랑 한자말을 나란히 겹쳐쓴 말씨입니다. “버릇이 붙어서”나 “몸에 붙어서”나 “길을 들여서”로 바로잡습니다. “책 원고를 쓰는 기간이 되면”도 겹말씨예요. “책을 쓸 적에는”이나 “책을 쓸 때이면”으로 고쳐씁니다. “비슷한 양”에서 ‘양’이라는 외마디한자말은 군더더기입니다. 늘 비슷하게 쓰니 ‘비슷하게’라 하면 되어요. 늘 비슷비슷 일하니 ‘비슷비슷’이라 합니다. ㅍㄹㄴ


루틴(routine) : [정보·통신] 특정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 프로그램의 일부 혹은 전부를 이르는 경우에 쓴다

습관(習慣) :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

원고(原稿) : 1. 인쇄하거나 발표하기 위하여 쓴 글이나 그림 따위 2. = 초고

기간(其間) 어느 때부터 다른 어느 때까지의 동안

매일(每日) : 1. 각각의 개별적인 나날 2. 하루하루마다

양(量) : 1. 세거나 잴 수 있는 분량이나 수량 2. 분량이나 수량을 나타내는 말 3. 음식을 먹을수 있는 한도 4. = 국량(局量)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모 外貌


 외모가 번듯한 기와집들 → 겉보기에 번듯한 기와집

 외모가 깔끔하고 단정하다 → 옷이 깔끔하고 말쑥하다

 외모와는 달리 → 겉보기와는 달리 / 차림과는 달리

 창백한 외모가 말해 주듯 → 파리한 얼굴이 말해 주듯


  ‘외모(外貌)’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을 가리킨다고 해요. ‘가죽·거죽·갗’이나 ‘겉·겉가죽·겉살’이나 ‘겉낯·겉얼굴·겉모습’으로 손봅니다. ‘겉빛·겉자락·겉차림·겉결’이나 ‘얼굴·얼굴짝·얼룩·얼핏’으로 손볼 만해요. ‘옷·옷가지·옷자락·옷빛·옷결·옷차림’이나 ‘옷나래·옷날개·옷멋·옷맵시·옷꽃·옷섶’으로 손질하지요. ‘꼴·꼴바탕·꼬라지·꼬락서니’나 ‘나타나다·드러나다·보이다·보임새·보여주다’로 손질하고, ‘너울·멋차림·빛·짝·티’로 손질합니다. ‘입다·입히다·입성’이나 ‘차림·차림결·차림길·차림꽃·차림멋·차림빛·차림새’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몸·몸뚱이·몸뚱어리·몸덩이·몸덩어리·몸매’나 ‘바깥·밖·바깥모습·밖모습’으로 손질하고요. ‘볼꼴·볼썽·볼품·불거지다’나 ‘생기다·생겨나다·삼기다·생김새’나 ‘허우대·허울·허울좋다’로 손질해도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외모(外侮)’를 “1. 외국으로부터 받는 모욕 2. = 외욕(外辱)”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외모와 옷에 대해서 수다를 늘어놓는 치어리더들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 몸매와 옷으로 수다를 늘어놓는 춤꽃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 겉차림과 옷 수다를 늘어놓는 도움님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토마스 야이어/신홍민 옮김, 양철북, 2009) 153쪽


겉으로 드러난 외모만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을 크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겉모습만을 대수롭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 알 수 있습니다

《내 몸을 찾습니다》(몸문화연구소, 양철북, 2011) 82쪽


곤충들의 외모는 자연스럽고 순진함과 고상함을 겸하고 있다

→ 벌레는 겉모습이 수수하고 착하며 멋지기까지 하다

→ 벌레는 투박하고 맑으며 멋스럽기까지 하다

《조복성 곤충기》(조복성, 뜨인돌, 2011) 89쪽


아냐, 외모뿐 아니라 성품도 남신이라구

→ 아냐, 겉뿐 아니라 마음도 하느님이라구

→ 아냐, 몸뿐 아니라 품새도 하느님이라구

→ 아냐, 얼굴뿐 아니라 빛도 하느님이라구

《은빛 숟가락 1》(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2) 20쪽


완벽주의 가정의 가장 유해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부모들이 아이들의 외모 관리와 수행 능력을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이들의 감정 또한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 빈틈없는 집안은 어버이가 아이들 겉모습과 솜씨를 따질 뿐 아니라 아이들 마음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여기느라 말썽이고

→ 칼같은 집은 엄마아빠가 아이들 차림새와 재주를 따질 뿐 아니라 아이들 마음도 칼같아야 한다고 여기느라 얄궂고

《부모의 자존감》(댄 뉴하스/안진희 옮김, 양철북, 2013) 63쪽


심부름도 못 갈 만큼 외모를 신경 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얼굴에 마음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몸에 마음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겉모습을 살피던

《아이를 읽는다는 것》(한미화, 어크로스, 2014) 9쪽


성적이나 외모 따위로 차별하지 않는 것이다

→ 셈값이나 몸매 따위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 눈금이나 겉모습으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 값이나 생김새 따위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강수돌 교수의 더불어 교육혁명》(강수돌, 삼인, 2015) 26쪽


하지만 아름다운 외모를 갖고 태어나도

→ 그렇지만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나도

→ 그러나 아름다운 몸으로 태어나도

→ 그런데 아름다운 모습으로 태어나도

《공덕을 꽃 피우다》(광우, 스토리닷, 2017) 182쪽


이제 신경 쓰이는 건 외모가 아니라 품행이다

→ 이제 겉모습이 아니라 매무새를 바라본다

→ 이제 얼굴이 아니라 품빛에 마음을 쓴다

《무심하게 산다》(가쿠타 미쓰요/김현화 옮김, 북라이프, 2017) 75쪽


우리는 서구적인 외모를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 우리는 하늬나라 얼굴을 아름답다고 여겨요

《나의 첫 젠더 수업》(김고연주, 창비, 2017) 48쪽


실력이 좋아도 외모부터 평가받습니다

→ 솜씨가 좋아도 겉모습부터 따집니다

→ 재주가 좋아도 생김새부터 살핍니다

→ 일을 잘 해도 얼굴부터 헤아립니다

→ 일을 잘 해도 몸매부터 봅니다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 특강》(인권연대, 철수와영희, 2018) 240쪽


외모는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얼굴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겉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옷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공전 노이즈의 공주 1》(토우메 케이/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16쪽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라는 도의적 가치와는 정반대의 길을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겉으로 사람을 보지 말라는 바른길과는 다르게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몸뚱이로 사람을 재지 말라는 곧은길과는 달리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차림새로 사람을 가누지지 말라는 참길과는 다른

《고독한 직업》(니시카와 미와/이지수 옮김, 마음산책, 2019) 41쪽


남의 외모를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 건 야비한 짓이야

→ 남을 겉모습으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몹쓸짓이야

→ 남을 겉얼굴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못된짓이야

《극채의 집 3》(빗케/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9) 80쪽


외모를 먼저 봤으면

→ 겉을 먼저 봤으면

→ 얼굴을 먼저 봤으면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170쪽


성실하게 생긴 외모를 갖고 있지만

→ 참하게 생긴 얼굴이지만

→ 반듯하게 생겼지만

《작은 나의 봄 2》(아츠미 타케루/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121쪽


꾸밈 노동과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불필요하게 힘든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 꾸밈일과 얼굴꽃 때문에 쓸데없이 힘듭니다

→ 꾸밈일과 얼굴 내세우기 탓에 덧없이 힘듭니다

《내 몸과 지구를 지키는 화장품 사용 설명서》(배나린·배성호, 철수와영희, 2025) 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