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윤리적
윤리적 가치관 → 바른 생각 / 착한 생각 / 곧은 생각
윤리적 책임 → 바른 몫 / 올바른 몫 / 곧바른 길
전쟁터에서는 윤리적 판단이 허락되지 않는다 → 싸움터에서는 착한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윤리적인 태도 → 바른 매무새 / 곧은 몸짓
윤리적인 존재 → 바른 숨결 / 착한 넋 / 참된 숨결
윤리적이지 않다면 → 바르지 않다면 / 참되지 않다면 / 옳지 않다면
‘윤리적(倫理的)’은 “윤리에 관련되거나 윤리를 따르는”을 가리키고, ‘윤리(倫理)’는 “1.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 2, [철학] 인간 행위의 규범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도덕의 본질·기원·발달, 선악의 기준 및 인간 생활과의 관계 따위를 다룬다 = 윤리학”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곧다·곧은길·곧이곧다·곧바르다’나 ‘곧은넋·곧은눈·곧은얼’로 다듬고, ‘꽃대·꽃줄기·꽃어른·꽃어르신’이나 ‘똑바로·똑바르다·똑바른길·똑바른넋’으로 다듬어요. ‘바로서다·바로세우다·바르다·바람직하다’나 ‘바른길·바른틀·바른넋·바른눈·바른얼’로 다듬을 만하고, ‘아름길·아름꽃·아름빛’이나 ‘온길·온틀·온꽃·온빛’으로 다듬어도 어울려요. ‘올곧다·올바르다·옳은길·옳다’나 ‘입바르다·내세우다·동·앞세우다’로 다듬습니다. ‘착하다·참되다·참답다·정갈하다’나 ‘참길·참어른·참어르신·치우치지 않다’로 다듬어도 되고요. ㅍㄹㄴ
윤리적인 일이 아니라고 믿었다
→ 올바른 일이 아니라고 믿었다
→ 참답지 않다고 믿었다
→ 바르지 않다고 믿었다
→ 깨끗하지 않다고 믿었다
→ 길을 잃는다고 믿었다
《시대를 뛰어넘은 여성과학자들》(달렌 스틸/김형근 옮김, 양문, 2008) 75쪽
학교를 윤리적으로 비람직한 공동체로 만들려면 학생들의 주체적인 노력이 필요한 건 아닐까
→ 배움터를 바람직한 마을로 가꾸려면 아이들 스스로 애써야 하지 않을까
→ 배움자리를 바람직한 두레로 일구려면 아이 스스로 힘써야 하지 않을까
《10대와 통하는 윤리학》(함규진, 철수와영희, 2012) 61쪽
윤리적 삶이란 진지하게 마음을 쓰고 예절을 지키며 기품이 있는 삶입니다
→ 바른 삶이란 차분하게 마음을 쓰고 반듯하며 멋스럽습니다
→ 올바른 삶이란 찬찬히 마음을 쓰고 고우며 구성집니다
→ 정갈한 삶이란 곰곰이 마음을 쓰고 빛나며 그림같습니다
→ 아름다운 삶이란 마음을 깊이 쓰고 바르며 멋이 있습니다
《야생의 실천》(게리 스나이더/이상화 옮김, 문학동네, 2015) 56쪽
심지어 와인이나 맥주, 사과주이든지 간에 윤리적인 소비자라면 자신이 마시는 것들에 관해 반드시 알아야 할 진실이 있다
→ 더구나 포도술 보리술 능금술이든 올바른 사람이라면 스스로 무엇을 마시는지 반드시 제대로 알아야 한다
→ 게다가 포도술 보리술 능금술이든 착한 살림꾼이라면 스스로 무엇을 마시는지 올바로 알아야 한다
《에콜로지스트 가이드, 푸드》(앤드류 웨이슬리/최윤희 옮김, 가지, 2015) 203쪽
약자의 편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윤리적 근거가 있다
→ 여린이 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뜻을 뒷받침하는 바른넋이 있다
→ 작은곳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뒷받침하는 참눈이 있다
→ 낮게 살아가는 사람을 뒷받침하는 아름길이 있다
《생명을 만들어도 괜찮을까》(시마조노 스스무/조혜선 옮김, 갈마바람, 2018) 67쪽
자연계를 사유재산이 아닌 선물로 이해하면 자신의 것이 아닌 풍요의 축적에는 윤리적 제약이 따른다
→ 숲을 돈이 아닌 빛으로 여기면 혼자 거머쥐지 않고 넉넉히 쌓으면서 곧은길로 가른다
→ 들숲메를 돈주머니 아닌 빛으로 보면 혼자 움켜쥐지 않고 널리 모으면서 옳게 가눈다
《자연은 계산하지 않는다》(로빈 월 키머러/노승영 옮김, 다산초당, 2025) 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