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빨간콩 그림책 8
김미희 지음 / 빨간콩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11.

그림책시렁 1600


《엄마》

 김미희

 빨간콩

 2020.11.30.



  엄마랑 아빠가 나란히 있기에 아이가 태어납니다. 둘 가운데 하나만 있다면 아이가 안 태어납니다. 다만 적잖은 아빠는 아이를 오롯이 엄마한테 맡기고서 휙 사라지거나 망탕 노닥거립니다. 아기를 몸에 열 달 동안 품고서 천천히 돌보는 삶이 아니기에 아이돌봄을 나몰라라 하는 아빠일 수 있어요. 아이는 찬찬히 철들어 스스로 살림을 짓는 날까지 어버이 둘이 함께 돌볼 노릇입니다. 《엄마》는 두 엄마가 있는 어린날을 보내다가 어느새 “나도 엄마로구나” 하는 자리에 홀로선 그림님이 선보인 사랑씨앗 이야기입니다. ‘낳은엄마’하고 ‘기른엄마’ 사이에 아빠는 그림자조차 없습니다. “나(그림님)를 낳은 아빠”는 어린날 “울엄마(아빠네 엄마)가 나(아빠)를 버렸다”는 앙금을 안은 채 내내 헛돌았다지요. 그런데 어느 풀씨와 나무씨도 엄마나무한테서 ‘버림받을’ 수 없습니다. 모두 다르게 제금을 나며 살게 마련입니다. 엄마한테서 사랑받지 못했다면, 이제 스스로 아이를 사랑하는 어버이로 살면 돼요. 아빠한테서 사랑받지 못했으면, 이제 스스로 아이를 사랑하는 아빠를 만나서 조촐히 보금자리를 일구면 넉넉합니다. 사랑은 남이 베풀지 않아요. 모든 사랑은 우리 스스로 빚는 빛입니다. 빗물 같은 빛줄기를 보려고 눈을 뜹니다.


ㅍㄹㄴ


+


《엄마》(김미희, 빨간콩, 2020)


엄마는 뭐든 자기 맘대로다

→ 엄마는 뭐든 엄마 맘대로다

→ 엄마는 뭐든 맘대로다

2쪽


나는 엄마랑 완전히 다르게 생겼다

→ 나는 엄마랑 아주 다르게 생겼다

4쪽


하루 중 내가 하는 말은 이게 전부다

→ 하룻내 내가 하는 말은 이렇다

→ 나는 하루 동안 이 말만 한다

9쪽


옷 만드는 일을 하시는 엄마의 대답은 언제나 하나다

→ 옷짓는 일을 하시는 엄마는 언제나 한 마디만 한다

→ 옷을 짓는 엄마는 언제나 똑같이 말한다

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님에게서 전화가 왔어요 - 아기고양이 그림책
사쿠라이 아사오 글, 이모토 요코 그림, 조영경 옮김 / 지경사 / 1998년 9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6.

그림책시렁 1362


《별님에게서 전화가 왔어요》

 사쿠라이 아사오 글

 이모토 요코 그림

 조영경 옮김

 지경사

 1998.8.30.



  더 놀고 싶은 아이는 못 재웁니다. 더 놀아야 합니다. 이때에 엄마아빠가 아이더러 “이렇게 늦었는데! 얼른 자!” 하고 나무라거나 외친들, 아이는 귓등으로조차 안 듣습니다. 아이는 아직 잠들고 싶지 않은 마음이요, 이제 아이가 바라는 새놀이가 있어요. 바로 ‘이야기꽃’입니다. 엄마아빠라면, 아이를 사랑하는 어른이라면, 별이 총총 뜨는 밤까지 말똥말똥 눈을 뜨면서 더 놀려는 아이한테는 이야기꽃이라는 마음놀이를 들려줄 일입니다. 아이는 아이로서 이야기꽃을 받으면서 밤새 꽃씨를 뿌릴 수 있습니다. 어른은 어른으로서 이야기꽃을 지으면서 새롭게 살림씨앗을 심을 수 있습니다. 《별님에게서 전화가 왔어요》는 아이어른이 함께 짓고 일구고 가꾸는 이야기밭을 따사로이 들려줍니다. 별님이 집으로 따르릉 하고 말을 걸려고 한다니 얼핏 거짓말 같으나, 여러모로 보면 우리가 별님을 부르면 별님은 참말로 따르릉 하고 말을 걸 수 있습니다. 우리가 꽃님을 부르면 꽃송이가 피어나고, 우리가 나비님을 부르면 날갯짓 훨훨 바람춤을 베풀어요. 모든 아이는 몸과 마음이 나란히 자랍니다. 몸으로 북돋우는 하루 곁에는 마음으로 살찌우는 이야기가 있을 노릇이에요. 우리 스스로 이야기어른이 되어 보기를 바랍니다.


#いもとようこ #おでんわるるる

1980년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 빠진 개구리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4
맥스 벨트하우스 지음, 이명희 옮김 / 마루벌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6.

그림책시렁 1361


《개구리의 아주 특별한 날》

 맥스 벨튀이스

 황주연 옮김

 아가월드

 2001.4.30.



  밉거나 싫어도, 좋거나 재밌어도, 언제나 다 다르게 우리 하루이면서, 나(우리)를 둘러싼 너(모두)를 마주하는 길이지 싶습니다. 나를 나 그대로 마주할 적에, 너를 너 그대로 바라볼 테고, 나하고 너 사이에 있는 마음을 눈빛으로 이으면서 비로소 말 한 마디가 태어난다고 느껴요. 《개구리의 아주 특별한 날》은 개구리를 비롯하여 여러 아이들이 어울리는 숲마을 한켠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개구리도 토끼도 오리도 숱한 이웃도 “더 많이” 일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더 많이” 벌어들여서 “더 많이” 움켜쥘 마음이 아니거든요. 다들 ‘알맞게’ 일하고 쉬고 놀고 노래하고 어울리는 이 하루를 살아가려는 마음입니다. 이러던 어느 날, 개구리는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사랑’이 무엇인지 도무지 모르겠지만, 스스로 꽃으로 피어나서 둘레를 곱게 밝히고 싶다는 마음이 샘솟습니다.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마음은 사랑하고 멀어요. 좋거나 밉다는 마음이 사랑일 수 없어요. 스스로 피어나거나 샘솟기에 사랑입니다. 스스로 별이요 꽃이며 나비이고 나무이기에 사랑입니다. 사람은 오롯이 사람일 적에 사람입니다. 사람은 스스로 보금자리를 가꾸고 일구고 돌보는 손끝에서 포근하면서 아늑하게 일어나는 눈빛이 사랑일 테지요.


#막스벨튀이스 #맥스벨트하우스 #사랑에빠진개구리

#FrogandDuck #FrogandDuckVerySpecialDay #MaxVelthuijs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산서원
제소라 그림, 라현선 글 / 초방책방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5.

그림책시렁 1421


《도산서원》

 라현선 글

 제소라 그림

 초방책빵

 2004.4.20.



  숲은 없이 기와집만 덩그러이 나오는 《도산서원》을 보며 깜짝 놀랐습니다. 글칸 둘레가 우거진 숲이라지만, 정작 이 그림책에서는 우거진 숲을 터럭만큼도 볼 길이 없습니다. 숲도 들도 메도 안 보이지만, 사람도 안 보이는 《도산서원》입니다. 글을 익히는 사람도 찾아볼 길이 없이 그저 기와집만 요모조모 보여줄 뿐입니다. 또한, 살림하는 손길은 없는 한문에 갇힌 글칸이라는 대목은 아예 젖혀 놓은 얼거리입니다. 지난날 글칸은 오직 나리와 벼슬아치만 드나들었습니다. 논밭을 일구는 수수한 사람은 얼씬조차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논밭지기를 아예 마주하지 않고 말도 안 섞던 글바치하고 벼슬아치는 ‘위에서 내리는 말씀’만 했습니다. 흙을 만진 적도 없이, 낫과 호미를 갈아 본 적도 없이, 벼베기에 벼바심을 해본 적도 없이, 밥살림도 집살림도 옷살림도 한 적조차 없이, 그저 한문이라는 글만 붙잡은 채 ‘임금 곁 나라일’만 붙잡은 그들 ‘한문바치’는 무엇을 배웠고, 무엇을 폈을까요? 사람 곁에는 서지 않고, 들숲메 품에 안기지도 않으면서, 한문만 배워서 임금을 섬기기만 하던 터전을 어린이한테 왜 보여주어야 하는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ㅍㄹㄴ


《도산서원》(라현선·제소라, 초방책빵, 2004)


이황 선생님의 정신이 담긴 곳입니다

→ 이황 어른 넋이 담긴 곳입니다

3쪽


아담하고 소박한 자연의 신선함 속에서 심신을 단련하였습니다

→ 소담하고 수수하고 싱그러운 들숲에서 몸마음을 다스렸습니다

→ 반듯하고 꾸밈없고 맑은 들숲메에서 마음몸을 갈고닦았습니다

3쪽


공부하여 깨달은 것은 꼭 실천하여 살아야 한다는 믿음을 스스로 지키고

→ 배워서 깨달으면 꼭 몸소 옮겨야 한다는 믿음을 스스로 지키고

3쪽


나무와 풀이 무성하고 바위 틈의 돌샘물이 달고 차가와 수양하기 좋은 곳이라

→ 나무와 풀이 우거지고 바위틈에서 샘물이 달고 차가와 마음닦기에 어울려

4쪽


돌계단 위에는 작은 사립문이 열려 있습니다

→ 디딤돌 앞에 작은 사립이 열렸습니다

6쪽


밑돌 위에 앉아 있는 서당 안으로 햇볕이 가득히 모였습니다

→ 밑돌에 앉은 글칸으로 햇볕이 가득히 모입니다

→ 밑돌에 앉은 글터로 햇볕이 가득히 모입니다

8쪽


단정하게 서 있는 토담은 엄격하면서도 다정한 선생님처럼 정겹습니다

→ 정갈하게 선 흙담은 무뚝뚝하면서도 살가운 스승 같습니다

→ 말끔하게 선 흙담은 딱딱하면서도 포근한 어르신 같습니다

14쪽


참된 공부의 길은 뒤로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나아가는 것임을 마음에 새기며

→ 참배움길은 뒤로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나아가야 하는 줄 마음에 새기며

20쪽


모인 사람들의 웅성거림이 들려옵니다

→ 모인 사람들이 웅성거립니다

→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22쪽


자연을 벗 삼아 한가로이 공부하며 스스로 사람을 이루어라

→ 숲을 벗삼아 호젓이 배우며 스스로 사람을 이루어라

→ 들숲을 벗삼아 느긋이 배우며 스스로 사람을 이루어라

34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우후우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75
최지예 지음 / 시공주니어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4.

그림책시렁 1592


《후우후우》

 최지예

 시공주니어

 2022.5.25.



  엄마는 닷새 동안 아이를 돌보느라 지쳤고, 아빠는 닷새 동안 일터에 매이느라 지쳤다고 합니다. 아이를 잊고 싶은 엄마는 흙날 아침에 일찍 집을 비우고, 집에서 아무것도 안 하면서 늘어지고 싶은 아빠는 흙날 아침부터 한숨이라고 합니다. 서울살이란 다 이렇다고 여길 테지만, 왜 서울살이에서 아이는 늘 ‘떠넘기는 짐’이어야 할는지 아리송합니다. 그림책부터 자꾸 이런 줄거리와 얼거리로 나오느라, 더더욱 아이를 싫어하거나 꺼리거나 안 낳을 만하다고도 느낍니다. 《후우후우》는 얼핏 ‘손전화만 쥐느라 아이랑 안 놀아주는 아빠’를 가볍게 나무라는 얼거리 같으나, ‘엄마는 아이하고 무엇을 하며 놀았’는지 알 길이 없어요. 곰곰이 보면 엄마도 아빠도 아이랑 안 놀았구나 싶어요. 엄마아빠는 아이랑 ‘놀아줄’ 사람이 아닙니다. ‘놀아주기’가 아닌 ‘놀이’를 함께 누리고 즐기면서, 살림을 같이 가꾸고 일굴 사이입니다. 집밖에서 무슨 일을 하건 집에서 함께 살림하고 일하는 사이여야 엄마아빠입니다. 흙날과 해날이라서 ‘아이한테서 풀려나도 될’까요? 아이는, ‘아이사랑’이 아닌 ‘아이짐’으로 옭아매는 나라지기와 벼슬아치부터 후우후우 뭘 날려버려야 하지 않을까요? 엉뚱한 나뭇잎을 날려버린다거나, 갑자기 ‘바람깨비’가 나오는 얼거리가 아닌, 모든 ‘서울굴레’를 날려버려야, 아이도 어른도 제자리를 찾게 마련입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