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30 : 묵독 문자 내용 뇌의 기억 저장고 일시적 의미 이해 과정
묵독은 눈으로 문자를 보고 그 내용을 뇌의 기억을 저장고에 일시적으로 담으면서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 눈읽기로 줄거리를 머리에 가볍게 담으면서 뜻을 헤아려 간다
→ 속읽기로 줄거리를 머리에 넌지시 담으면서 속내를 알아간다
《독서의 뇌과학》(가와시마 류타/황미숙 옮김, 현대지성, 2024) 87쪽
눈으로 글을 읽기에 ‘눈읽기’라 합니다. 눈읽기란 소리를 안 내면서 읽는 길이니 ‘속읽기’이고, 가만히 읽으면서 머리에 가볍게 담는다고 할 만합니다. 머리에 넌지시 담는 줄거리를 헤아리면서 속내를 알아가는 셈이에요. 조용조용 뜻을 살피거나 짚으니 조용읽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묵독(默讀) : 소리를 내지 않고 속으로 글을 읽음 ≒ 관서
문자(文字) : 1. [언어] 인간의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 한자 따위의 표의 문자와 로마자, 한글 따위의 표음 문자로 대별된다 2. 학식이나 학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내용(內容) : 1. 그릇이나 포장 따위의 안에 든 것 2. 사물의 속내를 이루는 것 3. 말, 글, 그림, 연출 따위의 모든 표현 매체 속에 들어 있는 것. 또는 그런 것들로 전하고자 하는 것 4. 어떤 일의 내막 5. [철학] 사물과 현상의 기초를 형성하는 본질이나 의의
뇌(腦) : [의학] 중추 신경 계통 가운데 머리뼈안에 있는 부분
기억(記憶) : 1.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하거나 도로 생각해 냄 2. [심리] 사물이나 사상(事象)에 대한 정보를 마음속에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정신 기능 3. [정보·통신]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 수용하여 두는 기능
저장고(貯藏庫) : 물건이나 재화 따위를 모아서 간수하여 두는 창고 ≒ 갈무리광
일시적(一時的) : 짧은 한때나 한동안만의
의미(意味) : 1. 말이나 글의 뜻 2. 행위나 현상이 지닌 뜻 3. 사물이나 현상의 가치
이해(理解) : 1.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함 2. 깨달아 앎 3. = 양해(諒解)
과정(過程) : 일이 되어 가는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