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이육사와 정호승 (2025.7.12.)

― 대구 〈물레책방〉



  대구에는 엉성하고 어설프며 좁쌀만 하게 꾸리는 〈이육사 기념관〉이 있고, 큰돈을 들여 큼지막하게 꾸리는 〈정호승 문학관〉이 있습니다. 대구라는 고장에 노래님(시인)이 많다면, 해마다 대구시에서 골목집을 두 채씩 사들여서 ‘대구 젊은글님’ 한 사람과 ‘대구 어른글님’ 한 사람한테 ‘골목글채(문학창작공간)’로 베풀 만합니다. 잿집(아파트)에서도 얼마든지 글을 쓸 수야 있지만, 아침저녁과 밤낮을 느끼면서 이웃하고 어울리는 골목집에 깃들어야 비로소 “이웃하고 나누는 글살림”을 꾸린다고 봅니다. 글님 스스로 건사해서 마을빛을 가꾸는 길목으로 삼는 ‘골목글채’를 해마다 두 채씩 늘려간다면, 이 작은 씨앗힘으로 어느덧 글숲마을을 이룰 만합니다.


  이름나려고 쓰는 글은 덧없습니다. 돈벌이나 힘을 노리면서 쓰는 글은 부질없습니다. 이육사 님은 총칼을 거머쥔 일본하고 맞서면서 글빛을 밝혔으나, 대구시는 참으로 후줄그레하게 팽개칩니다. 정호승 님은 전두환 사슬나라가 서슬퍼럴 적에 〈월간조선〉에서 조갑제 씨랑 일했고 요새도 이곳에 글을 싣는데, 대구기차나루 한켠에 ‘홍준표를 닮은 박정희 쇳덩이’를 세운 고장길은 참으로 초라합니다.


  이른저녁에 대구 마을책집 〈물레책방〉에 깃듭니다. 실을 잣는 물레마냥, 대구라는 고장에 푸른빛이 남실거리기를 바라는 책터입니다. 언뜻 보면 꽤 커다란 대구입니다만, 곰곰이 보면 멧숲이 포근히 감싼 얼개인 대구입니다. 좁게 보면 서울은 와글와글 북새통이되, 넓게 보면 한숲(한반도 자연)이 아늑히 품은 모습인 서울입니다. 제아무리 북새판이어도 둘레에 들숲메가 있기에 사람터를 이룹니다.


  풀과 꽃과 나무가 늘 ‘풀꽃잔치’를 이루기에 대구도 서울도 있습니다. ‘푸른마당’이 있기에 부산도 인천도 있습니다. ‘숲두레’가 너울거리기에 크고작은 모든 고을에서 저마다 다르게 살림을 일굴 만합니다. 이제부터 우리가 바라볼 곳이라면 ‘풀밭’이지 싶습니다. 오늘부터 우리 스스로 헤아릴 터전이라면 ‘들숲누리’이지 싶어요.


  영어 ‘green party’를 우리말로 어떻게 옮길 적에 아이어른이 나란히 어깨동무를 하면서 새길로 뻗는 하루를 즐겁게 지을까요? 이웃나라 일본은 ‘green party’를 일본한자말인 ‘綠色黨’으로 옮겼고, 우리나라 일꾼과 살림꾼은 우리말로 푸른사랑을 여미면서 꽃빛과 풀빛을 품어서 풀어내는 보금자리를 열 만합니다. 스스로 길을 찾으려 하기에 길잡이입니다. 남이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하거나 나라가 길들이는 대로 뒤따르기에 종살이나 놉살이입니다.


《물레걸음 no.1》(장우석 엮음, 물레책방, 2022.12.25.)

《박근혜는 무엇의 이름인가》(이택광, 시대의창, 2014.7.20.)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장 피에르 카르티에·라셀 카르티에/길잡이 늑대 옮김, 조화로운삶, 2007.1.2.)

#PierreRabhi #LeChantdelaTerre (2002년)

#JeanPierreCartier (1938∼2021) #RachelCartier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12. 구름하늘



  부산에서 대구로 가는 기차표는 끊기 쉽지 않다. 문득 노포동 버스길을 살피니 꽤 많고 일반버스는 널널하다. 하늘바라기를 하며 움직이고 싶기에 일반시외버스를 탄다. 노포나루 한켠에 부산길그림이 있기에 일본판을 구경해 본다. 일본판 부산길그림에는 홀로섬(독도)까지 담는다.


  구름하늘이 여름스럽고 시원하다. 비를 안 뿌리더라도 구름날은 싱그럽고 푸나무가 살랑살랑 춤사위이다. 바람에 잎이 뒤집히는 나무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우리나라 어디나 멧골이 깊되 경상도 멧골은 한결 깊게 출렁인다. 전라도는 너른들을 바라보는 터전이라면, 경상도는 너른메를 바라보는 삶터이지 싶다.


  두 고장을 살림자리라는 대목으로 마주하면 서로 잇는 즐거운 새길을 푸르게 노래할 만하다고 본다. 들숲메한테 폭 안기는 곳에 보금자리를 두기에, 사람이 사람답지 않을까? 둘숲메를 잊거나 등지는 곳에서 일자리를 찾거나 돈벌이를 바라기에, 사람이 사람다운 빛을 팽개치지 않는가?


  책을 읽다가 자꾸 멧숲을 내다본다. 숲 사잇길을 달리는 시외버스에서는 책을 읽기가 어렵구나. 구름이 너울거리는 날에는 그야말로 책에서 눈을 떼야 하는구나. 곁님과 두 아이하고 살림하는 동안에도 세 사람을 마주하고 바라보느라 책을 으레 손에서 내려놓았다. 스스로 피어나고 눈뜨는 사랑을 느낄 적에는 “사랑빛이 바로 책길”인 줄 배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체제변화



 체제변화는 가능할까 → 허물을 벗을 수 있을까 / 새로설 수 있을까

 현시점에서의 체제변화는 불가능하다 → 아직 거듭날 수는 없어 보인다


체제변화 : x

체제(體制) : 1.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또는 그런 됨됨이 = 체재 2.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볼 때에, 그 조직이나 양식, 또는 그 상태를 이르는 말 3. 일정한 정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 질서의 전체적 경향 4. [생명] 생물체 구조의 기본 형식. 몸체 각 부분의 분화 상태 및 상호 관계를 이른다 5. [사회 일반] 각 부분이 목적에 맞도록 유기적으로 통일된 전체

변화(變化) : 사물의 성질, 모양, 상태 따위가 바뀌어 달라짐



  예전하고 같지 않을 때가 있어요. 틀을 바꾸거나 새옷을 입는 때가 있습니다. 일본말씨로는 ‘체제변화’일 텐데, 우리말씨로는 ‘거듭나다·바꾸다·뼈를 깎다’나 ‘갈아엎다·물갈이·뜯어고치다’로 손봅니다. ‘허물벗기·허물씻기·껍질벗기’나 ‘뉘우치다·나탓·나를 탓하다’로 손볼 만하고, “다시 태어나다·다시 일어나다·새로 태어나다”나 ‘새걸음·새모습·새로가다·새로걷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새로서다·새로짓다·새로찾다’나 ‘손씻기·알깨기·잘못씻기·잘못털기’로 손봅니다. “착한길 가다·착한사람 되다·때벗이·때를 벗다”나 “한걸음 나아가다·한걸음 내딛다·한걸음 더”로 손보아도 되고요. ㅍㄹㄴ



체제 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 틀은 어떻게 거듭날까

→ 얼거리는 어떻게 바뀔까

《자연은 계산하지 않는다》(로빈 월 키머러/노승영 옮김, 다산초당, 2025) 1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왜곡보도



 왜곡보도를 차단하는 방안을 → 거짓글을 막는 길을

 왜곡보도가 난무하는 세상이다 → 뜬금소리가 춤추는 판이다

 그 집단은 고의로 왜곡보도를 유포했다 → 그 무리는 일부러 비틀어서 퍼뜨렸다


왜곡보도 : x

왜곡(歪曲) :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거나 그릇되게 함

보도(報道) : 대중 전달 매체를 통하여 일반 사람들에게 새로운 소식을 알림. 또는 그 소식 ≒ 보



  그릇되게 알리거나 비틀거나 뒤틀어서 알린다고 하는 일본말씨인 ‘왜곡보도’입니다. 이때에는 ‘굽다·휘다’나 ‘넝쿨·넝쿨지다·넌출·넌출지다·덩굴·덩굴지다’나 ‘그릇·그릇되다·그릇하다·눈비음’으로 손봅니다. ‘거짓·거짓스럽다·거짓것·가짓·가짓스럽다·가짓것’이나 ‘거짓꾼·거짓쟁이·거짓꾸러기·거짓놈’으로 손볼 만하고, ‘거짓글·가짓글·거짓길·가짓길·거짓소리·가짓소리’나 ‘거짓말·거짓부렁·가짓부렁·거짓부리·가짓부리’로 손볼 수 있어요. ‘꾸미다·꾸밈·꾸밈질·꾸밈짓·꾸미개·꾸밈쟁이·꾸밈꾼’이나 ‘척·척하다·체·체하다·나쁜척·나쁜체·착한척·착한체’로 손봅니다. ‘짐짓·있는 척·있는 체·없는 척·없는 체·아닌 척·아닌 체’나 ‘뒤틀다·뒤틀리다·비틀다·비틀리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뜬금없다·뜬금짓·뜬금질·뜬금말·뜬금소리’나 ‘뻥·뻥튀기·뻥질·뻥하다·뻥치다’나 ‘뻥쟁이·뻥꾼·뻥꾸러기·뻥바치’로 손볼 수 있습니다. ‘아웅·억지·악지·어거지’나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터무니없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어그러지다·어긋나다·안 좋다·좋지 않다’나 ‘일그러지다·이지러지다·틀어지다·틀리다·틀려먹다’로도 손봅니다. ㅍㄹㄴ



그간의 왜곡 보도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발표하자는 겁니다

→ 그동안 나온 거짓글을 모으고 내놓자는 얘깁니다

→ 그동안 불거진 거짓부리를 살피고 밝혀 봅시다

《4대강 사업과 토건 마피아》(박창근·이원영, 철수와영희, 2014) 5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부캐副キャラクタ-



副キャラクタ- : = ブケ

ブケ : 부캐릭터(副キャラクタ-)


 부캐를 몰래 키웠다 → 곁꽃을 몰래 키웠다

 부캐로 변신한 순간 → 새롭게 바꾼 때


  ‘부캐릭터(副キャラクタ-) ’를 줄여서 ‘부캐’처럼 쓴다고 합니다. 우리 모습 하나에다가 다른 모습을 둔다는 뜻입니다. 다른 모습이란 곁으로 있는 모습이요, 따로 있거나 더 있는 모습이에요. 새롭게 있는 모습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그래서 ‘곁·곁으로·곁길·곁빛·곁꽃·곁가지’나 ‘다르다·다른꽃·다른결’로 풀어낼 만합니다. ‘덤·덤덤’이나 ‘따로·또·또다시·또또’로 풀어도 어울려요. ‘새·새롭다·새롬별·새롬빛·새롬꽃·새눈’이나 ‘새빛·새넋·새얼·새사람·새얼굴’로 풀어낼 수도 있어요. ㅍㄹㄴ



요즘에는 부캐라고 부르며 여러 자아를 운용하는 사람을 능력자로 여긴다

→ 요즘에는 곁빛이라 하며 여러 나를 돌보는 사람을 대단하다고 여긴다

→ 요즘에는 다른꽃이라며 여러 나를 부리는 사람을 빼어나다고 여긴다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 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