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은 모두 *어 있다 1
킨다이치 렌쥬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4년 6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7.21.
만화책시렁 738
《우리들은 모두 *어 있다 1》
킨다이치 렌주로
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4.6.25.
시골에서 지내며 일하다가 큰고장·서울로 마실을 나올 때면, 할매할배가 다르다고 느낍니다. 시골에서는 일흔 나이여도 다부지게 일하고, 여든 나이에도 힘껏 일합니다. 아흔 나이에도 일하는 분이 수두룩합니다. 이와 달리 큰고장·서울에서는 어느 나이에 이르면 일을 안 하는 분이 무척 많아요. 《우리들은 모두 *어 있다 1》를 읽었습니다. 일에 치여서 일찍 죽거나, 허튼놈한테 날벼락을 맞고서 죽거나, 미워서 싸우다가 죽은 이들 가운데, 어쩐지 ‘죽은몸’에 ‘넋’이 그대로 남는 사람이 있다지요. 이른바 ‘산송장’이라 할 텐데, 온누리에 산송장 같은 삶이 갈수록 늘어나지 싶습니다. 아름답거나 즐겁거나 참하게 하루를 그리는 꿈이라면, 어느 나이에 이르든 오늘 이곳을 사랑으로 일궈요. 아침에 새롭게 꿈을 그릴 겨를이 없이 바쁘다면, 나이가 어리거나 젊어도 거의 죽은눈빛입니다. 땀흘리는 맛을 노래하기에 싱그럽고, 땀냄새를 꺼리거나 싫어하기에 노래가 나란히 사라져요. 물결이 일듯 스스로 일으키기에 ‘일’이고, 기쁘게 너울치고서 가만히 쉬기에 노을빛마냥 신나는 놀이입니다. 겉모습이 멀쩡하기에 삶이지 않습니다. 속마음이 늘 새록새록깨어나고 피어날 때에 비로소 삶입니다.
ㅍㄹㄴ
‘듣자 하니 와이프랑 계속 갈등이 있었는데, 그 짜증을 나에게 쏟았다고 한다. 좀비가 되면 정서적 기복이 약간 가라앉는 건지, 부장에 대한 분노도 전혀 치밀어오르지 않고, 나랑 뭔 상관, 이라는 생각밖에 안 들었다.’ (29쪽)
“아마도 몸은 죽었지만, 마음은 안 죽어서 그런 걸 거예요.” (81쪽)
‘비교적 눈물 뽑는 최루성 영화로군. 살아 있을 때라면 울었겠지만, 좀비가 되니 눈물도 땀도 안 나서.’ (139쪽)
#ぼくらはみんな*んでいる #金田一蓮十郞
+
《우리들은 모두 *어 있다 1》(킨다이치 렌주로/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4)
쾌차하세요―
→ 얼른 나으셔요
→ 빨리 나으셔요
8쪽
방부제 처방전 끊어드릴 테니까 정기적으로 드시고요
→ 썩음막이 돌봄종이 끊을 테니까 꾸준히 드시고요
8쪽
기합이 엄청나게 들어간 좀비로군
→ 힘이 엄청나게 들어간 산송장이군
12쪽
그렇다니 삼가 조의를 표한다
→ 그렇다니 삼가 기린다
→ 그렇다니 삼가 고개를 숙인다
22쪽
듣자 하니 와이프랑 계속 갈등이 있었는데
→ 듣자 하니 각시랑 내내 부딪혔다는데
→ 듣자 하니 지어미랑 노상 다퉜다는데
→ 듣자 하니 사랑이랑 늘 갈렸다는데
29쪽
비교적 눈물 뽑는 최루성 영화로군
→ 꽤 눈물 뽑는 보임꽃이로군
→ 퍽 눈물 뽑는 빛그림이로군
13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