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22. 밥을 안 먹는



  이른바 고속버스에는 손전화에 밥을 먹으는 꼬마돼지코가 있다. 나는 늘 기나긴길을 다니느라 꼬마돼지코에 줄을 꽂는데, 여러 해 앞서부터 고흥과 서울 사이를 오가는 버스는 밥을 안 먹는다. 밥줄이 있으나 마나이다. 그러려니 싶으면서도 고흥군수나 공무원 어느 누구도 이 대목을 모르리라 느낀다.


  시외버스에서 한숨 푹 자고서 책을 석 자락 읽고 노래 한 자락을 쓴다. 요사이에 힘을 많이 쓴 왼팔꿈치가 찌릿해서 어제오늘 틈틈이 주무른다. 서울은 뭉게구름밭이더니 충청도는 소나기였고 전라남도가 가까우면서 옅은깃털구름으로 파란하늘이다. 고흥에 닿으면 저물녘 바람이 불면서 제비노래가 반길 테지.


  올여름도 부채 하나로 가볍게 지나간다. 부채질은 나한테보다 밤에 자는 아이들한테 했고, “애쓰는 셈틀(컴퓨터)”이 덜덜거릴 적마다 뜨거운 기운을 부채질로 식혔다.


  더우니 여름이고, 더우니 하루에 예닐곱이나 열벌쯤 씻는다. 여름은 하루에 석벌쯤 빨래를 한다. 볕이 가득하면 웃통을 벗고서 해바라기를 누린다. 여름이니 개구리와 풀벌레와 매미가 노래하는 어울가락을 즐긴다. 작은아이는 매미허물을 둘 찾고서 빙그레 웃는다. 우리집 마당에서 깨어난 범나비에 파란띠제비나비에 부전나비에 배추흰나비에 네발나비에 숱한 나방이 저마다 새롭게 팔랑거리고, 잠자리 몇은 거미줄에 걸리고, 참새나 직박구리가 거미줄 먹이를 낚아채고, 마을에서 또 풀죽임물을 뿌려대면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빛살을 그린다.


  겨울은 추워야 제맛이다. 봄은 꽃피어야 제맛이다. 가을은 열매가 익어야 제맛이다. 여름은 땀흘려 일하고 놀아야 제맛이다.


  덥다고 푸념하거나 짜증내는 이웃을 보며 웃는다. “보셔요! 하늘이 이 여름에 뙤약볕이라는 눈부신 사랑을 베푸는군요! 함께 해를 먹어요!” 두 팔을 펴고서 뙤약볕 한복판에 서서 빙그르르 돈다. 온몸 구석구석 햇볕을 먹인다.


  하늘은 틀림없이 우리더러 웃고 춤추라며 여름볕을 베풀면서 새랑 개구리랑 풀벌레랑 매미를 깨운다. 별은 참말로 우리더러 눈뜨고 생각을 틔우라면서 날마다 미리내를 베푼다. 배롱꽃 곁에 자귀꽃이 발갛다. 달개비꽃이랑 달맞이꽃이 낮밤을 갈마든다.


  여러 해째 “주시경 이야기”를 짠다. 밑틀은 짜되 아직 첫머리조차 안 쓴다. 늦여름에 첫 줄을 적어 볼까? 그래, “주시경 배움모임”을 꾸리면 저절로 글을 쓸는지 모른다. 우리집 두 아이하고 먼저 이야기꽃을 펼 수 있겠구나. 작은아이한테는 자취(근현대사)를 곁들여서, 큰아이한테는 길(문법)을 곁들여서 들려줄 만하다.


  그나저나 시외버스에서 나 혼자만 천(커튼)을 활짝 걷고서 하늘바라기와 숲바라기를 한다. 그렇다. 그렇지. 그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25. 흙날을 앞두고서



  어제그제 호되게 앓았다. 하루치기 서울일을 다셔오며 책더미를 내내 끌어안았는데, 책벌레질은 늘 하되, 이틀 사이에 찬바람이(에어컨)를 꽤 많이 먹었다. 시외버스·전철·책집·책숲·버스나루·가게 모두 찬바람이로 휘감긴 오늘날이다.


  틈틈이 볕바른 데를 찾아가서 걷고 서고 쉬었으나 크게 모자랐지 싶다. 마을 곤드레밭에서 일손을 거들며 오른 농약독이 덜 빠진 몸이라, 몸은 “나한테 왜 그래? 쉬며 살아날 겨를이 없잖아!” 하고 외쳤고 몸살로 나타났다. 아니, 몸살이라기보다 ‘찬앓이(냉방병)’라고 해야 맞다.


  문득 예전 서울살이(1995∼2003)가 떠오른다. 나는 서울에서 살며 바람날개(선풍기)조차 안 두었고, 부채도 딱히 안 썼다. 땀이 주르르 흐르면, 읽던 책으로 몇 자락 바람을 일으키고는 다시 책을 읽거나 글을 썼고, 책짐을 안고 지고 이면서 걸었다. 예전에는 책집에 찬바람이(에어컨)가 없었고, 바람날개도 겨우 하나 있을 뿐이었다. 책벌레는 겨울에 손이 곱으면서 추위를 잊고, 여름에 땀범벅으로 달아오르면서 더위를 잊는 길을 익혔다. 2003년에 서울을 떠날 무렵까지, ‘경인선’ 전철 가운데 바람날개만 있는 칸이 꽤 있었다.


  어제 낮과 저녁에 곁님과 두 아이가 주물러 주었다. 결리고 쑤시고 뭉친 투성이를 조금씩 달랬다. 오늘 아침은 두 아이한테 짐꾼 노릇을 고스란히 맡기고서 시골숲을 나선다. 언제 어디에서나 튼튼마음과 튼튼몸으로 걸어다니자고 생각한다. 큰길을 걸을 적에는 쇳덩이가 내뿜는 고약한 방귀가 넘친다. 서울내기는 꽃물(화장품·화학세재)범벅으로 매캐한 기운을 뿜는다. 여태까지는 고약방귀와 꽃물내음을 스스럼없이 씻고 녹이는 데에 마음을 기울였다면, 이제는 찬바람이가 스며들려고 해도 가볍게 내보내면서 해바람을 마시는 매무새로 일어서자고 생각한다.


  흙날을 앞두고서 말끔히 털리라 본다. 오늘저녁 이야기꽃을 앞두고서는 부산에 닿으면 낮잠을 길게 누려야지. 앓고 나면 새몸이다. 앓으며 쓰러지고 휘청일 적에는, 신나게 휘청휘청 햇볕길을 걸으면 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노래꽃 . 엄마아빠



이곳에 태어나기까지

눈길이 닿고 손길이 닿아서

새길을 열어 왔다


이곳에 태어나고서

눈길이 뻗고 손길을 펴면서

새하루 짓고 논다


든든하지 않아도 품

든든할 적에는 쉼터


엄마도 아빠도 아이로 태어났고

이제는 아이를 마주하면서 큰다


2025.7.25.쇠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노래꽃 . 마주보는



마주보지 않으니

눈길이 안 닿다가

마음을 꾹 닫고서


마주보는 사이에

눈길이 새로 닿고

마음을 널리 담고


마주보는 동안에

말 한 마디 싹트고

말 두 마디 자라고


하루와 바람과 발바닥을 맞이하면서

이제는 숨소리와 밤길을 마중하면서


2025.7.25.쇠.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원거리연애



 원거리연애 3년 차이다 → 먼길 세 해째이다

 급기야 원거리연애를 하게 되었다 → 더구나 먼발치로 만난다


원거리연애 : x

원거리(遠距離) : 먼 거리

연애(戀愛) :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함



  멀리 떨어져서 사귀거나 만난다면, 말 그대로 ‘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멀리’라 하면 됩니다. ‘먼길·머나먼길·멀디먼길·먼곳·먼데’라 할 수 있습니다. ‘먼발치· 멀찌가니·멀찌감치·멀찍이·멀리가다’라 해도 되고, ‘까마득하다·까마득길’이라 해도 어울려요. ‘아득하다·아득길’이나 ‘아스라하다·아찔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ㅍㄹㄴ



내가 여기서 진학하면 원거리연애를 하게 되는 건가?

→ 내가 여기서 다니면 멀리서 사귀나?

→ 내가 여기로 나아가면 먼발치고 만나나?

《구르는 남매 6》(츠부미 모리/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5) 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