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기분 좋은 날 보리 어린이 10
한국글쓰기연구회 지음 / 보리 / 199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 맑은책시렁 2025.7.24.

맑은책시렁 351


《아주 기분 좋은 날》

 한국글쓰기연구회 엮음

 보리

 1999.10.15.



  1999년에 민소매에 깡똥바지 차림으로 펴냄터 일꾼으로 들어갔습니다. 다들 입으로는 ‘옷·얼굴·종이(졸업장·자격증)·쇠(자가용)·돈’을 안 본다고 읊지만, 정작 이 다섯 가지를 안 보는 사람은 드뭅니다. 서울뿐 아니라 시골도 매한가지입니다. 이해에 태어난 《아주 기분 좋은 날》을 아주 신나게 알리고 팔았습니다. 엮음이보다 먼저 느낌글을 써서 띄우기도 했습니다. 파는이(영업자)는 책마다 어떤 줄거리와 삶이 흐르는지 읽는이(독자)한테 제대로 짚고 알리는 몫입니다. 예나 이제나 “책을 안 읽은 채” 마냥 “펴냄터 이름만 내세워서 파는 일꾼”이 수두룩합니다만, 저는 “스스로 안 읽은 책을 어떻게 파느냐?”고 여겼습니다.


  어느새 아이어른 모두 입에 밴 ‘기분 좋은’이라는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는 이런 뜬금없는 말씨가 아니라, 신나면 ‘신나다’로, 즐거우면 ‘즐겁다’로, 실컷 하거나 먹으면 ‘실컷(싫도록)’이라고, 홀가분하면 ‘홀가분하다’로, 흐뭇하면 ‘흐뭇하다’로, 기쁘다면 ‘기쁘다’로 나타낸 삶입니다. 구태여 일본말씨 ‘기분 좋은’을 쓸 까닭도 뜻도 없으며, 아이가 이런 말씨에 잘못 길들거나 물들지 않도록 돌볼 노릇입니다.


  그러니까 《아주 기분 좋은 날》이라는 어린이 글모음은 “아주 신나는 날”이나 “아주 즐거운 날”이나 “아주 웃은 날”이나 “아주 춤춘 날”이나 “아주 노래한 날”이나 “아주 신바람날”처럼 책이름부터 바로잡아야 맞습니다. 그렇지만 예나 이제나 이 대목을 알아보거나 알아채려는 길잡이는 아주 드물어요. 그냥그냥 길든 대로 씁니다. 이냥저냥 물든 대로 아이들을 팽개칩니다.


  책머리에 이오덕 님이 붙인 글을 되살펴 보아도, ‘우리(어른)’ 스스로 어른스럽지 않을 뿐 아니라, 우리부터 ‘우리말’을 너무 모르고, 거의 안 쳐다보기 일쑤입니다. 열다섯 살이나 스무 살쯤 이르기에 ‘우리말’을 안 배워도 되지 않습니다. 서른 살이나 마흔 살이나 쉰 살쯤 먹기에 ‘우리말’을 새로 안 배워도 되지 않아요. 우리는 여든이나 두온(200) 살에 이르러도 언제나 새록새록 ‘우리말’을 가다듬고 익힐 노릇입니다.


  모든 말이란, 우리 마음이자 삶이에요. 말을 어떻게 가누느냐 하는 일이란, 마음을 어떻게 가꾸면서 삶을 어떻게 짓느냐 하는 실마리입니다. 아무 낱말이나 쓰는 사람은 참말로 아무렇게나 일하더군요. 얼렁뚱땅 지나치려는 사람은 그야말로 얼렁뚱땅 넘기기 일쑤입니다.


  막짓(갑질)이 안 사라지는 까닭을 알기는 쉽습니다. 우리는 이미 말부터 찌들고 주눅들 뿐 아니라, 억누르고 짓밟거든요. 어린이가 쓴 글에 ‘엄마께서’나 ‘선생님께서’처럼 틀린말씨가 끝없이 나옵니다. ‘-께’는 드높이는 말씨이기는 하되, 가까이에 있는 사랑스러운 사람한테는 아예 안 씁니다. ‘할아버지가’나 ‘아저씨가’처럼 써야 어린이 말씨입니다. 그저 ‘선생님이’나 ‘엄마가’처럼 써야 어린이 말결입니다.


  어린이가 스스로 신명나는 춤사위를 누리면서 오늘을 살아가기를 바라요. 어린이가 구태여 ‘마침종이(졸업장)’를 따지 않아도 넉넉한 터전으로 가꾸기를 바라요. ‘종이 쥔 놈’이 아니라 ‘일하는 이웃’으로 지낼 노릇입니다. ‘돈 쥔 놈’이 아니라 ‘어깨동무하는 우리’로 어울릴 노릇입니다.


ㅍㄹㄴ


어른들의 글을 흉내내어 말재주를 부리고, 어려운 말을 쓰고, 머리로 글을 만들어 내려고 하여 어린이다운 글을 만나기가 힘들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어른들이 잘못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어린이 마음, 어린이 세계는 어린이 스스로 지키고 키워 가는 수밖에 없이 되었습니다. (6쪽/머리말 : 이오덕)


저 못생겼죠? 다음에 태어날 때는 예쁘게 태어나 예쁜 얼굴 여러분께 보여 드릴게요. 그럼 안녕히 계세요. (내 소개-서울 영본 3년 조영진 1996.6.4./16쪽)


“엄마, 우리 새로운 피아노 선생님 너무 무서워.” “어어! 그럼 잘 됐다.” 그런 엄마를 나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다. (새로운 피아노 선생님-서울 상월 3년 이상윤 1996.2.28./23쪽)


선생님께서 나를 부르셨다. 느낌이 이상했고 가슴이 두근두근거렸다. 선생님께서는 나를 보고 헌 공책이 있는데 왜 새 공책을 쓰느냐고 말씀하셨다. 나는 아무 말도 못 하고 손톱만 물어뜯고 있었다. (일기-부산 연지 3년 최승아 1990.10.10./29쪽)


선생님은 한참 화를 내시고 돈(이웃돕기 성금)을 내일 가져오라고 하시고는 넘어가셨다. 나는 그 때 가슴이 두근두근 콩콩 뛰었다. (거짓말-서울 영훈 3년 오상윤 1997.11.26./41쪽)


“28등이요.” 엄마께서는 반장이 돼 가지고 그게 무슨 꼴이냐면서 호통을 치셨지요. 그러면서 또 물으셨어요. “그럼 윤아는?” “4등이요.” “으이고, 그래도 윤아는 4등이라도 해서 다행이지.” (엄마,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마세요-경기 광명 연서 4년 이민경 1994.6.20./209쪽)


+

- 영업 : 강우균 김영철 이경님 최종규

- 상, 인표어린이도서관(재단법인 에스콰이아문화재단)

+


《아주 기분 좋은 날》(한국글쓰기연구회, 보리, 1999)


어른들의 글을 흉내내어 말재주를 부리고, 어려운 말을 쓰고, 머리로 글을 만들어 내려고 하여 어린이다운 글을 만나기가 힘들게 되었습니다

→ 어른 글을 흉내내어 말재주를 부리고, 어려운 말을 쓰고, 머리로 글을 만들어 내려고 하여 어린이다운 글을 만나기가 힘듭니다

→ 어른이 쓴 글을 흉내내어 말재주를 부리고, 어려운 말을 쓰고, 머리로 글을 만들어 내려고 하여 어린이다운 글이 드뭅니다

《아주 기분 좋은 날》(한국글쓰기연구회, 보리, 1999) 6쪽


물론 이것은 어른들이 잘못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 다만 이는 어른이 잘못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우리가 잘못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6쪽


나는 기분이 참 좋았습니다

→ 나는 참 기뻤습니다

→ 나는 참 즐겁습니다

15쪽


느낌이 이상했고 가슴이 두근두근거렸다

→ 어쩐지 가슴이 두근두근했다

→ 잘 모르겠지만 가슴이 두근거렸다

29쪽


선생님께서는 나를 보고

→ 샘님은 나를 보고

2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22. 여덟 자리



  어제 서울로 가던 고흥시외버스는 0자리가 비었다. 오늘 고흥으로 돌아가는 서울시외버스는 여덟 자리가 빈다. 어제 서울서 장만한 책짐을 날개(택배)에 얹었다면 가벼웠을 테지만 지난밤에 심심했으리라. 지난밤을 심심하지 않게 보내면서 글쓰기는 조금 뒷전으로 밀렸는데, 그만큼 넉넉히 밤과 새벽을 누렸다.


  서울 가던 길에도 아무 데나 덥섭 앉으려는 아재가 있더니, 고흥 돌아가는 길에도 아무 데나 불쑥 앉으려는 아재가 있다. 버스일꾼은 “젊은 아가씨가 안 된다고 하네. 아저씨 탈락!” 하고 큰소리로 말한다. 맨뒷자리에 앉아서도 들린다. 뭔 뜬금없는 소리인가.


  책을 읽다가 내려놓는다. ‘아재 익살’이란 무엇일까? 아재는 철들 수 있을까? ‘책읽는 아재’는 너무 드물고, ‘배우는 아재’'는 더더욱 드물다. 그러나 아재들이 책을 안 읽더라도 구름을 올려다보기를 빈다. 아재들이 찬바람이(에어컨)를 몽땅 끄고서 바람을 마시다가 아이들한테 부채질을 해주기를 빈다. 아재들이 살림글을 쓰기를 빌고, 낫과 호미를 쥐고서 밭일을 하기를 빈다. 아재들이 통통 도마질을 하면서 된장찌개를 끓이고, 두바퀴를 달려서 저잣마실을 하기를 빈다.


  아재들이 앞치마를 두르고서 고무신을 꿰어야 온누리가 아늑하다. 거추장스러운 차림옷(양복)은 다 집어치우고서 민소매에 깡똥바지를 입으며 일하기를 빈다. 아재들이 ‘살림꾼’으로 거듭나야 서로 오붓하다. ‘머스마’는 ‘머슴’인 줄 알아볼 때에 모든 굴레가 풀리고 걷힌다.


  아재들아, ‘인문책’은 안 읽어도 되니, 그림책과 동화책을 읽자. 윌리엄 스타이그라는 미국사람은 예순 살을 훌쩍 넘고서야 그림책을 그렸는데 온누리 아이들이 사랑한다. 바바루 쿠니라는 미국사람은 할머니 이야기를 꾸준히 그렸는데 온누리 아이들이 참으로 사랑한다. 요새 나오는 그림책이나 동화책은 안 읽어도 된다. 2000년 언저리까지 나온 ‘오랜 아름그림책’과 ‘오랜 아름동화책’을 읽으면 된다. 권정생 동화책을 읽고, 린드그렌 동화책을 읽으면 된다. 엘사 베스코브 그림책을 읽고, 나카가와 치히로 그림책을 읽으면 된다. 헌책집에서만 만날 수 있는데, 《닉 아저씨의 뜨개질》 같은 그림책과 《말론 할머니》 같은 그림책을 품에 안는 아재가 늘어야, 누구보다 아재 그대들부터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26 : 단발머리 약간의 화장 홍조


단발머리에 약간의 볼 화장을 한 듯 홍조가 예쁜 아이였다

→ 귀밑머리에 볼을 살짝 바른 듯 발갛게 예쁜 아이였다 

→ 몽당머리에 볼을 가볍게 바른 듯 발그레 예쁜 아이였다

《나는 고딩 아빠다》(정덕재, 창비교육, 2018) 44쪽


‘단발머리’는 잘못 쓰는 겹말입니다. 우리말로는 ‘귀밑머리’나 ‘몽당머리’나 ‘깡똥머리’나 ‘짧은머리’로 쓸 노릇입니다. “약간의 볼 화장을 한 듯”은 일본말씨인데, 곧이어 적은 한자말 ‘홍조’하고 겹말이에요. “볼을 살짝 바른 듯 발갛게”로 바로잡습니다. ㅍㄹㄴ


단발머리(斷髮-) : 귀밑이나 목덜미 언저리에서 머리털을 가지런히 자른 머리. 또는 그 머리를 한 사람

약간(若干) : 1. 얼마 되지 않음 2. 얼마 안 되게. 또는 얼마쯤

화장(化粧) : 1. 화장품을 바르거나 문질러 얼굴을 곱게 꾸밈 ≒ 홍분 2. 머리나 옷의 매무새를 매만져 맵시를 냄

홍조(紅潮) : 1. 아침 해가 바다에 비치어 붉게 물든 경치 2. 부끄럽거나 취하여 붉어짐. 또는 그런 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22 : 살아가는 가운데서 삶을


사람이 살아가는 가운데서 삶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 사람이 살아가는 길을 배워야 한다고 본다

→ 사람으로 살며 배워야 한다고 본다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이호철, 보리, 1994) 22쪽


“-는 가운데”는 일본스런 옮김말씨입니다. ‘-며(이며)’나 ‘-면서(이면서)’로 바로잡습니다. “살아가는 가운데서 삶을 배우도록”은 “살아가는 삶”이란 얼개이기에 겹말이에요. “살며 배워야”나 “살아가는 길을 배워야”로 손볼 만합니다.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저서 著書


 저서를 남기다 → 책을 남기다 / 글을 남기다

 그분의 저서를 보관한다 → 그분이 지은 글을 둔다


  ‘저서(著書)’는 “책을 지음. 또는 그 책”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책’이나 ‘글·글월·글자락·글집’으로 고쳐씁니다. ‘살림·살림살이·살림붙이’나 ‘쓰다·써보내다·쓸모·쓸데·쓸것’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자아내다·자아올리다·잣다’나 ‘적다·적바림·적발’로 고쳐쓰고, ‘짓다·지어내다·지어대다·지음·지은것·짓기·짓는일’로 고쳐쓰면 되어요. ㅍㄹㄴ



중국을 주제로 다룬 서양 최초의 저서가 불분명하고 문제적인 것이

→ 중국을 다룬 하늬녘 첫 책이 흐리멍텅하고 고약해서

→ 중국을 다룬 하늬 첫 책이 흐리멍텅하고 어이없어서

→ 중국을 다룬 하늬녘 첫 책이 흐리멍텅하고 터무니없어서

→ 중국을 다룬 하늬 첫 책이 흐리멍텅하고 엉터리라서

《칸의 제국》(조너선 D.스펜서/김석희 옮김, 이산, 2000) 23쪽


동물 인형을 만들게 된 것은 오오마치 마키 님의 저서를 읽고부터입니다

→ 작은짐승은 오오마치 마키 님 책을 읽고부터 지었습니다

→ 짐승탈은 오오마치 마키 님이 지은 글을 읽고부터 떴습니다

《오늘도 핸드메이드! 1》(소영, 비아북, 2017) 93쪽


국어순화에 앞장선 선학先學들의 주옥같은 저서에서 얻은 배움은

→ 말가꾸기에 앞장선 분들이 쓴 값진 책에서 배운

→ 말다듬기에 앞장선 분들이 쓴 빛나는 책으로 배운

→ 바로쓰기에 앞장선 분들이 쓴 알찬 책으로 배운

《아나운서 강재형의 우리말 나들이》(강재형, 도서출판b, 2022) 10쪽


할머님의 저서예요

→ 할머님 글이에요

→ 할머님이 썼어요

《시노자키 군의 정비 사정 4》(부리오 미치루/김명은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