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18 : 보통의 존재 고유


보통의 존재라고 못박기에 나와 너는 고유하다

→ 흔하다고 못박는데 나와 너는 반짝인다

→ 수수하다고 못박지만 나와 너는 빛난다

→ 그냥이라고 못박으나 나와 너는 다르다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홍승은, 동녘, 2017) 33쪽


흔하기에 나쁘지 않아요. 흔하기에 흐드러지는 결이면서 흐뭇하게 어울릴 뿐 아니라, 싱그럽게 흐르는 물줄기와 같습니다. 수수하기에 모자라거나 아쉽지 않습니다. 수수하기에 숲처럼 수더분할 뿐 아니라, 숱한 별과 꽃처럼 빛납니다. 그냥그냥 못박아도 됩니다. 우리는 그냥 허물없이 만나는 사이입니다. 그저 그대로 속빛이 반짝이는 숨결을 헤아리면서 다 다른 넋으로 어울리면서 즐겁습니다. ㅍㄹㄴ


보통(普通) : 1. 특별하지 아니하고 흔히 볼 수 있어 평범함. 또는 뛰어나지도 열등하지도 아니한 중간 정도 2. 일반적으로. 또는 흔히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고유(固有) :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특유한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58 : -의 세계 -의 속도 -고 있는 거


모두 저마다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속도로 서로 스쳐 가고 있는 거야

→ 모두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른 걸음으로 서로 스쳐가

→ 우리는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르게 걸으며 서로 스쳐가

《네가 있어서》(한여름과 한겨울/권남희 옮김, 책읽는곰, 2025) 63쪽


‘저마다’ 뒤에 ‘-의’를 안 붙입니다. “저마다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속도로”는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르게”로 손질합니다. 옮김말씨 “스쳐 가고 있는 거야”는 “스쳐가”로 손질하고요. ㅍㄹㄴ


세계(世界) : 1. 지구상의 모든 나라. 또는 인류 사회 전체 2. 집단적 범위를 지닌 특정 사회나 영역 3. 대상이나 현상의 모든 범위

속도(速度) : 1. 물체가 나아가거나 일이 진행되는 빠르기 2. [물리] 물체의 단위 시간 내에서의 위치 변화 3. [음악] 악곡을 연주하는 빠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59 : 별안간 우주의 -게로


별안간 네가 나를 안아 주었을 때, 온 우주의 별빛이 내게로 쏟아졌어

→ 네가 문득 나를 안을 때, 온누리 별빛이 나한테 쏟아져

→ 네가 불현듯 나를 안으니, 온누리 별빛이 나한테 쏟아져

《네가 있어서》(한여름과 한겨울/권남희 옮김, 책읽는곰, 2025) 11쪽


한자말 ‘우주’를 우리말로 옮기면 ‘온누리’입니다. 그래서 “온 우주”라 하면 겹말입니다. ‘내게로’는 잘못 쓰는 일본말씨이니 ‘나한테’로 바로잡습니다. 일본말씨 “-의 별빛”이라면 ‘-의’만 털 만합니다. 문득 있거나 불쑥 있으면 ‘문득’이나 ‘불쑥’이라 하면 되어요. ㅍㄹㄴ


별안간(瞥眼間) : 갑작스럽고 아주 짧은 동안

우주(宇宙) : 1.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 2. [물리] 물질과 복사가 존재하는 모든 공간 3. [천문] 모든 천체(天體)를 포함하는 공간 4. [철학] 만물을 포용하고 있는 공간. 수학적 비례에 의하여 질서가 지워져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강조할 때에 사용되는 피타고라스학파의 용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60 : 호형호제 -ㅁ 탑재되어 있


막걸리 하나로 호형호제할 수 있는 걸걸함도 탑재되어 있었다

→ 막걸리 하나로 사귈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어울릴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서로하나일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동무할 만큼 걸걸했다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 213쪽


사귄다면 ‘사귀다’라 하면 됩니다. 가까우면 ‘가깝다’라 하지요. 어울리기에 ‘어울리다’라 하고, 서로 한마음이나 한뜻으로 뭉치면 ‘서로하나’라 할 만합니다. 이런 매무새나 길이란 ‘동무’나 ‘벗’이나 ‘이웃’이면서 ‘어깨동무’입니다. 구태여 중국말 ‘호형호제’로 나타내야 하지 않습니다. “걸걸함도 탑재되어 있었다”는 일본스런 옮김말씨입니다. 단출히 “걸걸했다”라 하면 그만입니다. ㅍㄹㄴ


호형호제(呼兄呼弟) : 서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을 이르는 말 ≒ 왈형왈제

탑재(搭載) : 배, 비행기, 차 따위에 물건을 실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민생 民生


 민생 문제 → 살림길 / 살림일

 민생이 피폐해지다 → 삶이 망가지다

 민생이 도탄에 빠지다 → 사람살이는 수렁에 빠지다

 민생을 도모하다 → 쓸데를 찾다


  ‘민생(民生)’은 “1. 일반 국민의 생활 및 생계 2. 생명을 가진 백성”을 가리킨다지요. ‘사람살이’나 ‘살림·살림살이’으로 고쳐씁니다. ‘삶·살다·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나 ‘먹고살다·먹고자다’로 고쳐써요. ‘쓸데·쓸모·쓸값·쓸것’이나 ‘쓸일·쓰잘데기·쓰잘머리’로 고쳐써도 되어요. ㅍㄹㄴ



만약 수레가 있다면 얼마나 경제가 진보하고, 민생이 풍요로워질 것인가 하는 소리가 실학자들의 지론이었다

→ 살림잡이는 수레가 있다면 살림이 얼마나 나아지고, 사람들이 넉넉할까 하고 여겼다

→ 살림바치는 수레가 있다면 살림이 얼마나 거듭나고, 사람들이 흐벅질까 하고 생각했다

《탐라 기행》(시바 료타로/박이엽 옮김, 학고재, 1998) 187쪽


뽑아줬더니 민생은 들여다보지 않고

→ 뽑아줬더니 살림은 들여다보지 않고

→ 뽑아줬더니 삶은 들여다보지 않고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 28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