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7. 여름땀
집에 있어도 땀이 흐르는데 볕자리에 서면 오히려 땀이 적다. 들바람을 쐬니까 마당이 한결 시원하다. 빨래를 하고 씻고 밥하고 빨래하고 씻고 낮밤을 먹고서 저잣마실을 나온다. 볕길을 걸어도 덥지는 않으나, 집으로 돌아갈 버스를 기다리는 버스나루는 덥다. 등짐차림으로 걸을 적에는 안 맺히던 땀방울이지만,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에는 송글송글하다.
볕길을 걸으면서 《충청의 말들》을 먼저 읽는다. 충청말을 다루는 책은 심심하다. 그나저나 ‘충청말’이 아닌 웬 ‘충청의 말들’인가? 고개를 갸우뚱한다. 서울은 ‘서울말’이고 부산은 ‘부산말’이다. 말이나 글에는 ‘-들’을 안 붙인다. 비나 눈에도 ‘-들’을 안 붙인다. 물과 바람에도 ‘-들’을 안 붙인다. 또한, 우리말은 ‘빗물’일 뿐, ‘비의 물’이 아니다. 우리말은 ‘바닷물’일 뿐, ‘바다의 물’이 아니다. 우리는 왜 자꾸 우리말을 잊는가. 우리는 왜 스스로 우리말을 망가뜨리는가. 우리는 왜 이토록 우리말을 가장 모르는 사람으로 나아가는가.
넋을 차려야 할 노릇이라고 본다. 삶과 살림과 들숲메가 아닌 몇 가지 책에서 따온 글말은 너무 거칠고 메마르다. 삶자리와 살림터를 등진 모든 글에는 씨앗이 없다. 쭉정이는 아무리 잘 여미어도 쭉정이일 뿐이다. 쭉정이로는 밥을 못 한다.
어떤 말이 어떤 마음자리에서 태어나는가? 어떤 노래가 어떤 손끝에서 태어나는가? 어떤 하루가 어떤 마음결로 싹트는가?
이윽고 《기계라도 따뜻하게》를 읽는다. 땀흘려 일하는 하루를 차분히 곱새기는 글자락이 잇는구나. 땀흘려 일하니 땀노래를 쓰고, 땀을 씻으면서 쉬니 땀살림을 적는다. 땀흘리는 너를 마주하니 땀길을 함께 걸어가고, 땀을 함께 달래면서 벌렁 드러누우니 땀꽃이 한 송이 핀다.
시골에서 살든 서울에서 살든 푸른들과 파란하늘을 품어서 풀어내려는 발걸음일 적에 스스로 눈을 뜬다. 서울에서 일하든 시골에서 일하든 푸른눈과 파란꿈을 헤아려서 나누려는 손길일 적에 스스로 새길을 연다. 여름바람이 분다. 여름구름이 흐른다. 여름볕이 내리쬔다. 여름나비가 날고, 여름제비가 빛난다. 거미와 사마귀가 늘어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