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25.


《한 평 반의 행복》

 유선진 글, 지성사, 2020.12.18.



아침에 부산 ‘동해선’을 탄다. 아, 부산은 울산까지 그냥타기(무임승차)로 놀러다니는 할매할배가 넘치네. 이래도 되나? 안 부끄러운가? 일광에 내려서 작은책숲으로 걸어간다. 잿더미(아파트)가 빼곡한 이곳은 건널목이 끝없다. 모두 쇳덩이(자동차)가 다니기 좋으라는 얼개이다. “걸어다니지 말고, 쇳덩이(자가용)를 얼른 사라”고 부추기는 셈이다. 잿더미는 큰책집을 닮는다. 모든 사람한테 똑같은 잘난책(베스트셀러)만 읽으라고 몰아대는 틀이다. 골목집은 작은책집을 닮는다. 손바닥만 한 마당에 나무를 심어서 새를 반기는 골목집처럼, 마을 한켠 작은책집은 누구나 스스럼없이 품에 안겨서 다 다른 책빛을 누리라고 북돋우는 터전이다. 낮에 수영초 옆 〈여기서책〉을 찾아간다. 지난날에는 헌책집이 책숲(도서관) 노릇을 맡았고, 요즈음은 마을책집이 책숲 노릇을 맡는다. 작은책집이 늘고 피어날 적에 이 나라가 아름답게 바뀌리라 본다. 《한 평 반의 행복》을 돌아본다. 요사이는 20살 언저리 젊은이도 100억 원쯤 맞돈으로 내면서 ‘잘난집(고급빌라)’을 장만하는 듯싶다. 어디서 어떻게 벌기에 목돈을 슥슥 써대는지 모를 노릇이지만, 서울에서 이런 집을 사고파는 이는 겉치레로 즐겁겠지(행복). 나무 한 그루 심어서 즈믄해쯤 돌볼 수 있는 터전이 아니면서 몇 억이니 10억이니 100억이니 부르는 값은 헛바람일 텐데. 어떤 몸을 어디에 어떻게 누이려는 삶일까.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피아식별



 명확한 피아식별의 시대가 도래했는데 → 너나들이가 뚜렷한 나날에 이르는데

 피아식별에 실패한 격이다 → 너나알기가 틀린 셈이다

 피아식별이 어려워서 → 낯익히기가 어려워서


피아식별 : x

피아(彼我) : 그와 나 또는 저편과 이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식별(識別) : 1. 분별하여 알아봄 2. [군사] 방공 및 대잠수함전에서 탐지된 물체가 적인지의 여부를 결정함



  싸움터에서 쓰는 일본말씨 ‘피아식별’입니다. 서로 모르기에 낯을 익히거나 너랑 나인 줄 알아보려고 하는 길을 나타냅니다. 이때에는 ‘낯익다·낯익히다’라 하면 됩니다. ‘나너들이·나너보기·나너알기’라 할 수 있어요. ‘너나들이·너나보기·너나알기’라 해도 되어요. ㅍㄹㄴ



피아식별을 마치고 뒤늦게 죄의식의 꼬리치기를 할 때면

→ 낯익히기를 마치고 뒤늦게 부끄러워 꼬리치기를 할 때면

→ 너나보기를 마치고 뒤늦게 고개꺾고 꼬리치기를 할 때면

→ 나너알기를 마치고 뒤늦게 뉘우치고 꼬리치기를 할 때면

《연애 결핍 시대의 증언》(나호선, 여문책, 2022) 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한국전쟁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어언 → 한겨레싸움이 터진 지 벌써

 한국전쟁 당시 취재한 → 한겨레수렁 때 찾아온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국가로 → 한핏줄싸움에 온 나라로


한국전쟁(韓國戰爭) : [역사]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 육이오전쟁



  한겨레가 동강나면서 피흘린 나날이 있습니다. 이를 가리킬 적에 ‘한겨레싸움·한겨레수렁·한겨레피밭’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핏줄싸움·한핏줄수렁·한핏줄피밭’이라고 할 수도 있어요. ㅍㄹㄴ



남한과 북한이 한국전쟁 이후 줄곧 적대적이었다는 것과

→ 마녘과 높녘이 한겨레싸움 뒤로 줄곧 툭탁대었고

→ 마녘과 높녘이 한겨레수렁 뒤로 줄곧 으르렁댔고

→ 마녘과 높녘이 한겨레피밭 뒤로 줄곧 미워했고

→ 마쪽과 높쪽이 한핏줄싸움 뒤로 줄곧 싫어했고

→ 마쪽과 높쪽이 한핏줄수렁 뒤로 줄곧 싸웠고

《10대와 통하는 평화통일 이야기》(정주진, 철수와영희, 2019) 27쪽


한국전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 한겨레싸움 탓에 몹시 어려웠기 때문이에요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민은기·배성호, 철수와영희, 2024) 1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장땡じってん



十点 : x

장땡 : 1. 화투 노름에서, 열 끗짜리 두 장을 잡은 제일 높은 끗수 2. 가장 좋은 수나 최고를 속되게 이르는 말 ≒ 왕땡


 장땡을 뒤집어 보이듯이 → 큰별을 뒤집어 보이듯이

 돈만 있으면 장땡으로 아는 → 돈만 있으면 좋다고 아는

 집에서 쉬는 게 장땡이다 → 집에서 쉬어야 즐겁다



  일본말 ‘장땡(じってん/十点)’은 노름이며 돈치기를 할 적에 쓴다지요. 우리로서는 ‘가장’이나 ‘꼭두·꼭두머리·꼭두님’이나 ‘꽃등·꽃찌·꽃자리·꽃터·꽃칸’으로 옮길 만합니다. ‘낫다·좋다·되다’나 ‘내로라하다·주름잡다’로 옮길 수 있고, ‘그만·그지없다·더없다·재미·재미나다’나 ‘기쁘다·즐겁다·신나다·신바람·신명’으로 옮기지요. ‘마루·맨·머드러기·미르’나 ‘어르신·어른·어른같다’나 ‘엄지·엄지가락·엄지손가락·엄지발가락’으로 옮길 때가 있습니다. ‘온으뜸·으뜸·으뜸가다’나 ‘우두머리·웃머리·웃대가리’로도 옮겨요. ‘첫손·첫손가락·첫손꼽다’나 ‘첫자리·첫자락·첫째·첫째가다’로 옮길 만합니다. ‘크다·큰·큰것·큰쪽·크나크다·크디크다·큰별·큰빛’이나 ‘하나·하나꽃·한별’로 옮겨도 되고요. ㅍㄹㄴ



욕을 듣든 말든 한 푼이라도 싸게 사는 게 장땡이야

→ 뒷말 듣든 말든 한 푼이라도 싸게 사야 좋아

→ 왁왁 듣든 말든 한 푼이라도 싸게 사야 기뻐

→ 꾸중 듣든 말든 한 푼이라도 싸게 사야 즐거워

《친구》(타카노 후미코/정은서 옮김, goat, 2019) 124쪽


뒷담화 상대가 같거나 자식 이야기를 하는 것이 장땡이다

→ 뒷얘기할 놈이 같거나 아이 이야기를 하면 그만이다

→ 뒷말할 녀석이 같거나 아이 이야기를 하면 된다

《연애 결핍 시대의 증언》(나호선, 여문책, 2022) 3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 - 선생님, 오늘 급식이 뭐예요? 미래 세대를 위한 상상력 8
민은기.배성호 지음 / 철수와영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 맑은책시렁 2025.11.12.

맑은책시렁 326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

 민은기·배성호

 철수와영희

 2024.6.1.



  우리나라는 어린배움터와 푸른배움터 모두 모둠밥(급식)을 합니다. 배움터마다 부엌을 매우 크게 마련하고, 아이어른은 다같이 모둠밥터에서 한끼를 누립니다. 나라에서 모둠밥에 쓰는 돈이 어마어마합니다. 모둠밥을 차려야 하는 일꾼은 한꺼번에 몰아서 땀빼야 하기에 고단하게 마련이고, 아이어른은 밥짓기가 무엇인지 모르는 채 그냥 느긋이 받아서 먹다가 빈그릇을 그대로 놓고서 몸만 빠져나옵니다.


  그리 멀잖은 지난날까지 모든 배움터에서 누구나 도시락을 쌌습니다. 도시락은 으레 어머니가 맡았되, 어린씨나 푸른씨 스스로 싸기도 했고, 때로는 배움터에 솥과 그릇을 챙겨가서 저마다 밥을 짓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도시락을 싸거나 밥을 손수 지으면, ‘짓기’뿐 아니라 ‘치우기’도 몸소 합니다. 도시락으로 한끼를 누릴 적에는 “다 다른 집에서 다 다른 아이가 자라는 길”을 헤아립니다. 모둠밥을 할 적에는 다 다른 몸마음인 사람이 똑같은 밥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더구나 모둠밥을 하는 동안 모든 아이어른이 ‘설거지’조차 아예 안 합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는 오늘날 자리잡은 모둠밥을 놓고서 이 푸른별을 살리면서 사람빛(인권)도 북돋울 길을 짚으려고 합니다. 모둠밥을 마련하려고 더 푸른살림을 헤아릴 수 있다고 하며, 모둠밥을 차리는 일꾼이 아늑하면서 걱정없는 터전을 누리도록 마음을 기울일 수 있다지요.


  모둠밥은 나쁘지 않은 일이되, 그렇다고 좋다고 할 수 없는 길이라고 느낍니다. 하루 한끼인 낮밥이라면, 어린씨와 푸른씨 누구나 집에서 손수 차리고 지어서 도시락으로 싸는 살림길을 익힐 노릇이라고 봅니다. 남한테 맡기지 말고, 스스로 저잣마실을 하고, 스스로 부엌일을 하고, 스스로 몸마음을 살피는 밥길을 가누어야 비로소 ‘배움마당’이라고 느낍니다.


  어린씨하고 푸른씨한테 ‘밥지을 밑돈’을 줄 노릇입니다. 그냥 8살부터 19살까지, 모든 어린씨와 푸른씨한테 하루 한끼 밥차림값을 1만 원씩 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나라돈이 훨씬 적게 들 뿐 아니라, 아이 스스로 도시락을 싸기도 할 테고, 바쁘거나 힘들면 사먹을 테고, 밥값을 단출히 줄이면서 목돈을 모아서 스스로 책을 사읽거나 나들이를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집에서 도시락을 쌀 적에 그야말로 푸른별을 제대로 살립니다. 누구나 집에서 살림을 짓고 가꾸고 돌볼 적에 참말로 파란별을 싱그럽게 북돋웁니다. 밥지기 몇 사람이 모둠밥을 빨리 한꺼번에 따뜻하게 짓자면 너무 고됩니다. 실마리는 매우 쉬운데, 정작 우리는 가장 쉬우면서 돈조차 적게 들일 뿐 아니라, 모든 아이어른이 스스로 어질게 살림빛을 일구며 든든히 서는 길을 내내 등진다고 느낍니다. 배움터가 조금 마음쓰며 할 몫이 있다면, ‘학교 주차장’을 모조리 걷어내고서 ‘배움텃밭’으로 갈아엎는 일이 하나 있습니다. 배움터에 쇳덩이를 대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배움터에 어떤 쇳덩이도 들이지 않으면 됩니다. 오직 사람이 사뿐사뿐 걸어서 오가면 됩니다. 푸른별을 푸르게 살리려면, 도시락과 두다리(또는 두바퀴)입니다. 두다리로 걷고, 두손으로 밥살림을 지으면 언제나 맑고 밝게 배우고 가르칩니다.


ㅍㄹㄴ


물은 우리 몸의 약 60퍼센트가량을 차지하며 땀이나 소변 등으로 배출되기에 지속적으로 섭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63쪽)


과일과 채소 등을 제철이 아닌 때에 인위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들고 화학비료 등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96쪽)


깻잎은 예전에는 밭에서 키웠지만 지금은 비닐하우스에서 일 년에 두 번 파종하는 이모작 방식으로 키우고 있어요. 깻잎은 기계로 딸 수 없고, 사람이 직접 손으로 하나씩 하나씩 따야 해요. (112쪽)


+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를 살리는 급식 이야기》(민은기·배성호, 철수와영희, 2024)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 참 자주 물어봅니다

→ 늘 물어봅니다

→ 언제나 묻습니다

5쪽


매일 먹는 급식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 나눔밥을 늘 먹지만 참 모릅니다

→ 날마다 두레밥을 먹으면서도 모릅니다

5쪽


한국전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 한겨레싸움 탓에 몹시 어려웠기 때문이에요

15쪽


처음에는 가난한 아이들의 굶주림을 해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식사였어요

→ 처음에는 굶주리는 가난 아이를 도우려는 한끼였어요

→ 처음에는 굶주리는 가난 아이한테 이바지하는 한끼였어요

17쪽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식습관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 밥버릇을 올바로 들여 어른이 되어서도 밥살림을 든든히 챙기기를 바라요

→ 밥차림을 올바로 들여 어른이 되어서도 부엌차림을 든든히 살피기를 바라요

21쪽


조리실에는 많은 양을 조리하기 위한 대형 조리 기구들이 있습니다

→ 부엌에는 밥을 잔뜩 할 커다란 부엌살림이 있습니다

→ 부엌에는 밥을 한꺼번에 지을 큰살림이 있습니다

23쪽


세상에는 수만 가지 음식이 존재합니다

→ 온누리에는 온갖 밥이 있습니다

→ 푸른별에는 갖은 밥이 있습니다

26쪽


따로 물을 첨가하지 않고 볶아내는 건열 조리법을 통해 탄생하는 음식이지요

→ 물이 없이 볶아내는 밥이지요

→ 물을 안 쓰고 볶는 밥이지요

26


물을 첨가하여 조리하는 방법인 습열 조리 방법을 사용한다면 어떨까요

→ 물을 넣어 끓이면 어떨까요

→ 물로 끓이면 어떨까요

27


바로 불고기 전골이 만들어질 거예요

→ 바로 불고기 전골이지요

27


이처럼 많은 분들의 꼼꼼한 검수 과정을 통해

→ 이처럼 여러분이 꼼꼼히 보고서

→ 이처럼 여러 사람이 들여다보고서

31


급식이 만들어지기까지 정성을 다하는 많은 분들의 노력을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 나눔밥을 차리기까지 힘쓰는 분을 헤아리기를 바랍니다

→ 모둠밥을 내놓기까지 애쓰는 분을 살피기를 바랍니다

31


위생복 위에 착용하는 앞치마는

→ 밥옷에 덧입는 앞치마는

→ 부엌옷에 덧대는 앞치마는

→ 깔끔옷에 씌우는 앞치마는

33


곡류부터 살펴보면 현미밥, 쌀밥, 떡, 국수, 감자, 고구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낟알부터 살펴보면 누런쌀밥, 흰쌀밥, 떡, 국수, 감자, 고구마가 있습니다

62


충분한 물 섭취입니다

→ 물 많이 마시기입니다

63


균형 있는 섭취가 이루어지고 있을지 생각하며 식사를 해 본 적이 있나요

→ 골고루 먹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 고루고루 먹는지 생각한 적이 있나요

81


인위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들고 화학비료 등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 따로 키우려면 힘이 많이 들고 죽음거름을 써야 하기 때문이지요

→ 사람이 키우려면 품이 많이 들고 죽음거름을 써야 하기 때문이지요

96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같은 가공식품을 많이 먹으면

→ 뚝딱밥이나 바로밥 같은 만든밥을 많이 먹으면

108


일 년에 두 번 파종하는 이모작 방식으로 키우고 있어요

→ 한 해에 두 벌 심는 두그루짓기를 합니다

→ 한 해에 두 벌 뿌리는 그루짓기를 합니다

112쪽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매연을 조리흄(cooking fumes)이라고 해요

→ 부엌에서 나오는 김과 먼지를 밥먼지라고 해요

→ 부엌에서 생기는 김과 먼지를 밥티라고 해요

116쪽


급식실의 잔반 버리는 곳

→ 모둠밥터 남밥 두는 곳

→ 밥터에서 나머지 놓는 곳

12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