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18. 천둥하늘



  비는 ‘극한’도 ‘호우’도 ‘게릴라’도 ‘괴물’도 아닌 ‘비’이다. 여름비는 소나기이기도 하고 큰비나 함박비이기도 하다. 하늘은 늘 사람들 마음을 살펴서 비나 바람이나 벼락이나 눈이나 볕을 내린다고 느낀다. 서로 헤아리고 돌아보는 사랑으로 보금자리를 짓는 마음이 하늘에 닿으면 철빛이 눈부시다. 서로 미워하고 싫어하고 싸우고 불사르면 이 마음이 고스란히 하늘에 닿아서 펄펄 끓거나 메마르다.


  두 아이하고 〈숲노래 책숲 1021〉을 꾸려서 부친다. 모두 힘썼다. 나래터(우체국)를 들르고서 저잣마실을 한다. 구름과 바람과 제비를 본다. 나부끼는 걸개천을 흘깃 보고, 달날에 서울 가는 종이를 미리 끊는다. 큰아이는 틈틈이 책을 읽고, 나는 여러 일을 조금 수월히 본다. 큰아이는 짐도 나누어 든다.


  하늘이 파란비를 알맞게 뿌리기를 바란다면, 이제부터 비를 바라보는 말씨를 바꿀 일이지 싶다. 하늘이 쩌렁쩌렁 부아나기를 바란다면 미움말을 자꾸자꾸 쏟아내면 된다. 다만 하늘비라기를 푸르게 하는 이웃님이 늘어난다고 느낀다. 눈뜨는 나무처럼 눈뜨는 동무도 늘어난다고 느낀다. 눈을 뜨기에 귀를 틔운다. 눈을 뜨면서 마음을 연다. 눈을 뜨는 사이에 생각이 자란다.


  혼자 바깥일을 보러 나오면 길에서 걸어다니며 읽으려던 책은 한 쪽조차 못 펼쳤다. 집으로 돌아가서 저녁을 먹고서 읽으면 되지. 큰아이하고 집에 닿으니 빗줄기가 새로 듣는다. 저무는 하늘을 바라보면서 빗소리를 듣는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5. 텃새와 철새



  새는 언제나 그저 새입니다. 사람들이 서울을 커다랗게 때려짓더라도, 새는 예부터 살던 곳에서 둥지를 틀며 고즈넉이 살림을 꾸리려는 마음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새를 내쫓습니다. 들숲메를 와르르 허물면서 새터(새가 사는 터전)를 없애고, 나무를 죽이고, 뭇짐승과 풀벌레와 벌나비 모두 죽음벼랑으로 내몰아요. 이러는 동안 두 가지 새살림을 나타내는 두 가지 이름인 ‘텃새·철새’를 아주 나쁘거나 하찮게 깎아내리는 미움불씨를 퍼뜨리더군요. 한해살림을 마을이며 들숲메에서 누리는 새이기에 ‘텃새’입니다. ‘텃새’는 텃힘(텃세·-勢)을 안 부려요. 그저 텃빛을 읽고 이으면서 텃살림을 짓기에 텃새입니다. 네 가지 철이 다르게 맞물리는 길을 헤아리면서 철마다 새롭게 살아가기에 텃새예요. ‘철새’는 철없이 굴지 않습니다. 아무렇게나 벼슬자리를 노리면서 옮겨다니지 않습니다. 몇몇 사람이 벼슬·돈·이름을 노리면서 자리를 바꾼다지만, 철새는 온힘·온마음·온빛을 다하여 머나먼 바닷길을 씩씩하고 의젓하게 가로지르는 철눈을 틔웁니다. 더구나 철살림을 짓는 터전에서 새로 둥지를 틀고서 알을 낳아 어른새로 돌본 뒤에는, 새끼새랑 함께 다시 머나먼 바닷길을 다부지고 기운차게 가로지릅니다. 텃새는 한해살림을 읽고 잇는 빛이라면, 철새는 철흐름을 읽고 잇는 빛입니다. 우리는 텃새랑 철새한테서 두 갈래 숨빛·살림빛·사랑빛을 배울 노릇이어야지 싶습니다. 우리는 이제 텃살림과 철살림을 몽땅 잊을 뿐 아니라 망가뜨리면서 새를 얕보는 바보눈을 벗어야지요.



텃새와 철새


참새는 참나무에도 앉고

박새는 박꽃내음도 맡고

소쩍새는 솔숲에도 살고

제비는 저물녘이면 자고


여름이 다가와 오동꽃 밝고

겨울이 깊어 덩굴풀 시들고

봄이 찾아와 나물꽃 향긋이

가을이 가며 감알은 까치밥


마을 곁에 터를 잡는 새는

사람과 한해살림 나누지

바다 건너 철을 읽는 새는

사람과 철들면서 날개꽃


씨앗을 심고 싹틔우는 터에

씨앗이 자라 보금숲을 이뤄

씨앗을 날라 퍼트리는 곳에

새롭게 만나 어울리는 오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호형호제



 호형호제하는 사이이다 → 오붓한 사이이다 / 한지붕 같은 사이이다

 호형호제하며 가깝게 지냈다 → 가깝게 지냈다 / 사근사근 지냈다

 우리 호형호제하는 게 어떻겠어요 → 우리 이웃하면 어떻겠어요


호형호제(呼兄呼弟) : 서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을 이르는 말 ≒ 왈형왈제



  중국말 ‘호형호제’는 그저 ‘가깝다’를 나타냅니다. 그러니 우리말로 ‘가깝다·곁·곁으로·곁에 두다·옆마을’이라 하면 되고, ‘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꽁냥·다사롭다’나 ‘포근하다·푸근하다·산들바람·선들바람’이라 할 만합니다. ‘-랑·-과·-하고·만나다·믿다·살갑다’나 ‘반갑다·모나지 않다·부드럽다’로 나타낼 만합니다. ‘사귀다·사근사근·싹싹하다·자분자분’이나 ‘서로믿다·서로이웃·서로하나’라 해도 어울려요. ‘아끼다·어깨동무·두손들다·손들다·팔짱끼다’라든지 ‘어울리다·오붓하다·도란도란·두런두런·웃는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동무·동무하다·동무님·벗·벗하다·벗님’이나 ‘이웃·이웃하다·이웃님·이웃꽃·이웃사랑’이라 해도 되고요. ‘좋다·좋아하다·좋은사이’나 ‘한집·한집안·한집꽃·한집지기’나 ‘한집살이·한집살림·한지붕·한꽃집’ 같은 말씨도 쓸 만합니다. ㅍㄹㄴ



막걸리 하나로 호형호제할 수 있는 걸걸함도 탑재되어 있었다

→ 막걸리 하나로 사귈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어울릴 수 있을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서로하나일 만큼 걸걸했다

→ 막걸리 하나로 동무할 만큼 걸걸했다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 2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큐피드Cupid



큐피드(Cupid) : [문학] 로마 신화에 나오는 사랑의 신. 보통 나체에 날개가 달리고 활과 화살을 가진 아이 모습이다. 그리스 신화의 에로스에 해당한다

Cupid : 1. 큐피드(로마 신화에서 활과 화살을 들고, 날개가 달린 예쁜 남자 아기 모습을 한 사랑의 신) 2. (큐피드같이 생긴) 남자 아기상(그림·조각)

キュ-ピッド(Cupid 라틴어) : 큐피드((로마 신화에서 사랑의 신으로 미소년에 비유됨)



옛날 옛적 로마 이야기에 나온다는 이름인 ‘큐피드’라지요. 이 이름은 그냥 쓸 수 있되, 이모저모 생각해 보면서 ‘사랑·사랑멋·사랑맛’부터 ‘사랑꽃·사랑날개·사랑나래’처럼 풀어낼 수 있습니다. ‘사랑님·사랑지기·사랑이·사랑님’이나 ‘사랑별·사랑빛·사랑새’라 할 수 있어요. ‘사랑손·사랑손길·사랑깨비’라 해도 어울립니다. ‘사랑둥이·사랑돌이·사랑순이’라 할 만하지요. ‘사랑활’이라 해도 됩니다. ㅍㄹㄴ



귀에서는 수천 명의 큐피드가 불러 주는 사랑의 노래가 울려퍼지고 있었다

→ 귀에서는 숱한 사랑나래가 불러 주는 사랑노래가 울려퍼졌다

→ 귀에서는 갖은 사랑별이 불러 주는 사랑스러운 노래가 울려퍼졌다

→ 귀에서는 뭇 사랑새가 불러 주는 사랑 가득한 노래가 울려퍼졌다

→ 귀에서는 가없는 사랑빛이 불러 주는 사랑 넘치는 노래가 울려퍼졌다

《아북거 아북거》(로알드 알/지혜연 옮김, 시공주니어, 1997) 7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배드bad



배드 : x

bad : 1. 안 좋은, 불쾌한, 나쁜 2. (품질이) 나쁜, 형편없는 3. -을 잘 못하는, 서투른 4. 심한, 심각한 5. (상황상) 안 좋은, 부적절한 5. (도덕적으로) 나쁜 6. 버릇없는, 말을 안 듣는 8. 해로운, 안 좋은 9. 건강하지 못한, 안 좋은 10. (음식이) 상한 11. (기분이) 나쁨[안 좋음] 12. 미안하다[죄책감이 들다] 13. 몸이 안 좋다/안 좋아 보이다 14. 굉장히 멋진

バッド(bad) : 1. 배드 2. 나쁜. 서투른. 불쾌한



영어 ‘bad’를 굳이 써야 하지 않습니다. 한자말로는 ‘악(惡)’쯤 될 텐데, 우리말을 헤아리자면 ‘나쁜이·나쁜뜻·나쁜자리·나쁜몫·나쁜일·나쁜녀석·나쁜소리·나쁜마음·나쁜이름’으로 쓸 만합니다. 여러모로 보면, ‘각다귀·발톱·부라퀴·송곳니·엄니’나 ‘괄괄하다·개구쟁이·개구지다·개궂다’나 ‘날라리·호로놈·호래놈·후레아이’로 손보아도 됩니다. ‘검은이·검님·검놈·깜이·깜님·깜놈·까망’이나 ‘검다·검은짓·까만짓·깜짓·검은판·검정·검정꽃·깜꽃’이나 ‘겨울·서늘하다·얼다·얼음·차갑다·차다·추위·한겨울’로 손볼 만합니다. ‘서슬·섬찟·소름·시리다·싸늘하다·쌀쌀맞다’나 ‘고리다·구리다·궂다·괘씸하다·얄궂다·짓궂다’나 ‘고린내·구린내·고린짓·고리타분하다·고약하다·고얀놈·고얀짓’으로 손보아도 돼요. ‘놈·놈팡이·이놈·저놈·그놈·그악스럽다·그악이’나 ‘끔찍하다·나쁘다·안 좋다·너무하다·사납다·사달·저지레’로 손볼 수 있고, ‘다랍다·더럼것·더럽다·썩다·지저분하다·추레하다’나 ‘마구·마구마구·마구잡이·막것·막나가다’로 손보면 되어요. ‘막놈·막되다·막돼먹다·막짓놈·막하다·만무방’이나 ‘말썽·망나니·개망나니·망나니짓·망나니질’로 손보고, ‘매섭다·매정하다·매운맛·맵다·맵차다’나 ‘모질다·몹쓸·몹쓸짓·못되다·못돼먹다·우락부락’으로 손볼 수 있어요. ‘무쇠낯·무쇠탈·쇠·쇠낯·쇠탈·야살이·얄개·양아치’나 ‘무섭다·무시무시하다·미치다·삼하다·앙칼지다’로 손보거나 ‘부끄럽다·새침·엉터리·옳지 않다·허튼짓·헛소리’나 ‘뻐근하다·쑤시다’로 손봅니다. ㅍㄹㄴ



나는 일찌감치 배드 걸이 되었다

→ 나는 일찌감치 나쁜이가 되었다

→ 나는 일찌감치 놈이 되었다

→ 나는 일찌감치 막놈이 되었다

→ 나는 일찌감치 몹쓸것이 되었다

《굶주린 마흔의 생존 독서》(변한다, 느린서재, 2023) 55쪽


애들이 중요한 얘기를 하는데, 배드 캠프가 됐네

→ 애들이 깊이 얘기를 하는데, 어둠 들하루 됐네

→ 애들이 뜻깊이 얘기하는데, 까만 들살림 됐네

《구르는 남매 5》(츠부미 모리/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4) 1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