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자이너를 위한 한글 레터링
이수연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25년 6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다양한 디자이너들이 있지만 그림이나 영상을 디자인 하기 보다 글자 자체를 개발, 변화시키는 디자이너를 우리는 타이포그래픽이라 부른다.
물론 디자인 세계의 다양함을 분류해 내는 일도 그리 쉽지만은 않지만 홀자으 서체나 글자의 배치 등과 같은 구성과 표현을 위한 디자인을 우리는 타이포그래피라 의미한다.
영문 타이포그래픽이 있는가 하면 한글 타이포그래픽도 있다.
한글 레터링은 그러한 한글 타이포그래픽을 디자인하기 위한 한글 디자인 기초이론과 실전, 표현과 보정에 이르는 과정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나는 글체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오랜기간 동안 다양한 글체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이전 까지는 타이포그래픽이라는 부분에 대해 일면식도 없었던 터이고 더구나 한글 레터링으로 만나는 디자인이라는 점이 더욱 나의 주의를 이끌었다 할 수 있다.
나에게는 새로움을 주는 타이포그래픽이자 한글 레터링의 세계를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다자이너를 위한 한글 레터링" 은 한글을 글 자체로 인식하기 보다 디자인의 재료로 인식해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의 한글을 만날 수 있게 해주며 일선 디자이너들이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글자 디자인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책이다.
우리는 언어를 배울 때 소리와 글로써 배우고 익힌다.
물론 소리로만 익힐 때와 글, 문자로 익힐 때의 차이는 명확히 다르게 인지한다.
아마도 시각이 주는 영향력이 청각적 영향력 보다 크기에 글, 문자로 익히는 것이 더욱 우리의 뇌를 자극하는 것을 생각하면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함에 있어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리라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글자인 한글은 어떨까?
세계인이 칭송하고 있는 한글, 그저 있는 그대로의 한글도 전통적인 의미를 갖기에 좋을 수도 있지만 본질을 외면치 않는 한글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한글의 면모를 보이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면 세계 시장에서의 한글의 위상도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문자 자체로만 인식하기 보다 문자를 디자인화 해 형상화하거나 이미지화하는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한글의 무궁한 변용의 원칙을 디자인 원칙에 적용함으로써 더욱 한글의 탁월함을 보여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나는 한국인이면서도 한글에 대한 지식을 그리 많이 갖지 못한 사람이다.
아마도 나와 같은 이들은 학습을 통해 국어를 배웠지만 실상 한글의 본질을 넘어선 변화적 사용에 대한 이해는 갖지 못했음이 사실이다.
디자이너를 위한 한글 레터링은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충실한 한글 디자인 기초이론을 제공하며 그를 따라 익히고 실천해 보면 디자이너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도 있다.
물론 타이포그래픽이라는 산업의 측면에 있어서는 조족지혈이겠지만 한글 레터링으로의 디자인이라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를 수 있는 측면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한글은 그만큼 특별한 존재이지만 디자인적 사상으로 접근하는 일은 흔하지 않은 일이라 할 수 있기에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고 본다.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세계에 대해 무지한 나로서는 일말의 가능성만을 놓고 이야기 할 수 있지만 시중에 존재하는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서적들의 종류와 내용들을 살펴 보았을 때는 충분히 디자인적 사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블루오션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을것 같다.
한글의 뛰어남을 개발하고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한글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시작을 이 책과 함께 열어 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