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역하는 말들 - 황석희 에세이
황석희 지음 / 북다 / 2025년 5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어제의 우리 일상에서의 모습 보다 오늘의 모습이 더욱 변화했음을 알 수 있고 그러한 변화는 다분히 우리의 즐길거리를 통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는 정제되지 못한 거친 변화와도 같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우리가 즐겨 보거나 읽게되는 영화, 드라마, 유명 작가의 출판물 등을 통해 지적 사유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일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지만 해당 언어를 국민 모두가 유창하게 하는것도 아니고 보면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있어 무분별한 번역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이런 무분별함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영화와 드라마라 할 수 있고 보면 국내에서 유명세를 탄 몇몇 작품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영상 번역이 기초적인 번역 수준이거나 번역을 했다 해도 오역의 수준이 높아 쉽게 영상에 대해 몰입하거나 깊이 있는 이해를 하기는 쉽지 않다는데 있다.
오역은 작가의 의도를 번역하는 번역가에 의해 생길수도 있지만 작가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20년 이상을 번역일을 해 오며 오역에 대해 나름의 의식을 갖고 번역일을 하고 있는 작가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오역하는 말들" 은 번역가에게는 오역이 끔직한 실수로 기억되지만 독자들에게는 작품의 가치를 떨어트리게 하거나 의미없는 작품으로 치부하게 되는 오역의 문제를 지난 20년 간 번역일을 해 오며 오역에 대해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려 올바른 번역가로 거듭나고자 하는 저자의 번역에서의 오역이 어떤 의미이고 올바른 번역을 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 볼 수 있는 책이다.
한글이 세계의 수 많은 언어 중 가장 아름답고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언어라 해도 하나의 언어를 한글로 번역하는 일에는 무척이나 어려움이 따른다.
더구나 단어나 문장이 가진 직관적인 의미보다 의역이나 유추해 번역해야 하는 일들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그런가 하면 지방색이 낀 사투리 섞인 표현을 맛깔나게 표현하는 일은 해당 외국어 뿐만 아니라 자국의 언어인 한글에 대한 지식도 뛰어나야 함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하고도 우리는 마뜩치 않은 표현들로의 오역을 심심치 않게 마주할 수 있고 보면 저자의 말처럼 맥락을 파악한 번역이 되어야 함을 이해한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이러한 번역의 엄중하고 세부적이며 유추해야 하는 다양한 비법?들을 무시한 단어 그 자체만으로 번역해 놓은 영화, 드라마들을 마주하게 되면 즐거움과 함께 기대감을 갖고 있던 마음에 찬물을 끼 얺듯 분위기를 바꿔 버리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된다.
번역이라 해서 단어와 문장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번역만이 필요하다 생각하는 일은 번역이라는 대상에 대해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그야말로 번역은 저자의 주장대로 해당 작품이 애써 감추고 있는 진의를 평소 보다 더 애정을 쏟고 관심을 두어 원문을 살피고 한글 번역시 어떤 의미로 전할지를 진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글이란 사람들의 생각과 말을 써 놓은것에 불과하다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글과 말들이 쓰인 원문을 어떻게 대하느냐가 전문적으로 번역을 하는 번역가들의 실력을 가름한다 할 수 있다.
저자는 겉으로 보이는 문자만 보고 직역하다간 정반대의 오역을 내 놓기가 일쑤라고 한다.
수 많은 OTT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번역가들의 오역율은 2%를 기준으로 한다고 한다.
물론 전문적인 번역가일 수록 오역율은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0.13% 수준으로 낮아 얼마나 번역가들이 번역에 신중을 기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다양한 작품들에서의 오역과 번역에 대한 서사를 살펴 보는 일은 무척이나 많은 사람들에게 솔깃함으로 자리할 것으로 판단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