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가슴 뛰는 삶을 살아라 - ‘지금 이 순간의 나’를 깨우는 바샤르의 메시지
다릴 앙카 지음, 전경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흔히 묻곤 한다. 우리의 아이들에게든 자신에게든 어떤 삶을 살고 싶으냐고?

하지만 그에 대한 대답은 쉽게 얻을 수 없고 말하지 못한다는 점이 우리를 안타깝게 한다.

살아 보지 않은 터에 어떤 삶을 살고 싶냐고 물어 본들 입력 없는 출력을 원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력이 없다면 당연히 출력인 결과물이 없을 수 밖에 없다는 원리를 우리는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물음에 대답이 될 수 있는 정답이 있을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길들을 따라가는 오늘날의 수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 하지 않고 피곤하며 스트레스에 불안을 느끼며 사는 모습들을 보면 정말 그들이 원해서 이러한 삶을 사는것인가 하는 의문을 품게도 된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존재들이다.

그런 행복 추구가 언제부터 인지 모를 타인이 만들어 놓은 길을 가는것으로 얻을 수 있는 행복인가 하는 물음에 스스로 그렇다고 답할 수 있다면 지금의 삶이 최적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나 판단을 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추구해야 한다.

바로 그 새로운 삶의 방식을 이끌어 줄 정답이 가슴 뛰는 삶을 사는것이다.

그 이야기를 전해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다시, 가슴 뛰는 삶을 살아라" 는 인간이 삶을 살아 온 이래 행복한 삶을 꿈꾸는 가운데 정녕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근원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접근해 지금의 삶을 되돌아 보고 우리 자신의 삶의 방향성과 목표에 대한 방법론을 새롭게 부각시키고자 하는 책이다.

그렇다. 가슴 뛰는 삶이라야 비로소 나, 우리는 살아 있음을 느낀다.

누군가 만들어 놓은 삶의 길도 안락하고 편한 길이 될 수 있으나 나, 우리에게는 마뜩치 않는 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 말에 '평양 감사도 제 하기 싫으면 그만' 이라는 말이 있듯이 제 아무리 행복하게 보이는 삶의 모습들이라 해도 가슴 뛰지 않는 삶이라면 이미 그 삶은 퇴색된 삶으로 치부될 뿐이다.

가슴이 뛴다는 말은 어떤 일을 함에 있어 설렘과 흥분 상태가 지속되어 나, 우리 자신을 몰입의 순간으로 만들어 주는 상태를 말한다.

그런 상태가 우리의 삶에 지속되어야 하며 그 과정을 즐길 줄 아는 나, 우리가 된다면 진정 우리 삶은 가슴 뛰는 삶이 만들어 주는 흥분의 도가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바샤르는 외계적 존재, 혹은 신비의 영성체라 할 수 있다.

수 많은 외계 생명체와 교류하고 지구의 인간 사회에서 조화를 이루어 우주의 진실을 깨닫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존재로 인식할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바샤르가 전하는 우주의 메시지를 통해 진정한 나, 우리의 가슴 뛰는 삶을 향한 여정의 서사를 만나볼 수 있다.



저자는 바샤르의 '가슴 설레는 유도론', '독특한 인지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론 등에 이르기 까지 지구상의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들을 제시하고 있다.

어쩌면 바샤르는 나,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면서 나, 우리를 기존의 고답적이고 보수적인 모습에서 탈피해 새로운 세상을 향해 할 걸음 내 딛을 수 있는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이미지로 인식할 수도 있다.

어떤 의미로든 바샤르가 전하는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삶이라는 지속가능한 시간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행복한 삶으로 만들어 갈 수 있게 다독여 준다.

'행복하지 않아~" 라고 말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고 나, 우리는 그런 그들을 보며 나, 우리 자신과 비교하며 배부른 소리라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삶의 과정은 모두가 같을 수 없고 조금씩을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원론이라 할 수 있다.

그 원론적인 삶을 무덤덤하게 맞이하고 하기 싫은데 억지로 하니 행복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진짜 나, 우리가 원하고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사는 삶이 된다면 행복은 늘 지속되리라 판단해 본다.

그런 행복한 삶의 근원이 바로 가슴 뛰는 삶을 사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이니 바샤르의 가르침을 가슴에 새겨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 창의성은 어떻게 현대사회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는가
새뮤얼 W. 프랭클린 지음, 고현석 옮김 / 해나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어쩌면 인류의 오랜 삶이 바로 창의성을 요구하는 힘에 의해 개척되어 온 모습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도 된다.

하지만 과거 그 어느때 보다 지금의 시대가 더 창의성에 집착하고 목말라 하는 시대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의 문화는 지금껏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기 보다 조직 차원의 명령체계에 순응하는 조직형 인간을 원했다.

하지만 더 이상 그러한 방식으로의 조직의 발전은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우리는 그간 돌아보지 않았던 창의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조직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역시 리더로의 자질을 평가하는 항목으로의 창의성에 대한 삽입은 완전히 우리 사회의 지도를 재편하는 일고 전환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 함을 일깨워 준다.

그렇다고 창의성을 독특함이라는 단어로 대치하기에는 너무 단순하다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에 창의성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는 새상을 바꾼 창의성이라는 단어의 개념과 왜 시대적 요구성을 갖추어 우리 사회와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지 그 현상의 창의성에 대해 심도 깊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그렇다면 과연 창의성은 무엇을 말함인가? 개념적 정의를 생각해 보면 창의성은 무척이나 모호한 단어이다.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창의성보다 우리는 업무적인 능력으로의 창의성을 더욱 요구하는 시대를 살고 있음을 생각하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아웃라인은 대략적으로 감 잡을 수 있다.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성을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원천' 이자 인간을 다른 동물과 근본적으로 구분짖는 요소라고 지칭했다.

이러한 창의성은 개인적인 능력이나 직업적 능력을 모두 내포하는 것이기도 하며 우리 문명을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핵심 요소중의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창의성이라는 현상의 존재를 설명하는 과정은 창의성 개념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물론 창의성 개념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천재성, 발명성, 영리함, 독창성, 상상력, 환상 등의 의미들을 조합한 그 무엇으로의 의미라 생각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실이 그렇다. 그 어떤 개념 정의도 마뜩치 않지만 분명 우리 사회에서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음은 해석의 풍부함에 따른 적정 요법에 대응하는 선택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다른 모습을 보임으로써 인간다운 모습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보다 인간적인 면모는 바로 창의적인 존재인지에 따라 보다 인간 다운 존재로의 인식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창의는 그렇게 인간 자신의 내재적 동기와 열정을 추구하며 스스로가 보다 인간다운 면모를 보일 수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바로의 창의성 현상을 이해하는 일이라면 우리는 대중성이라는 개념과 상치하는 창의성 개념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대중성은 일반 대중이 친숙하게 느끼고 즐기며 좋아할 수 있는 성질을 뜻하며 인간의 존재감을 느끼게 해주는 성질로 이해할 수 있으나 창의성과는 그 느낌이 다르게 전해진다.

창의성의 역학적 사례와 연구, 창의성의 역사와 관련된 서사 등 우리 시대가 창의성에 집착하게 된 배경으로의 이야기들을 마주할 수 있어 심심치 않게 사용하는 창의성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 기회를 통해 창의성에 목마른 오늘의 시대를 좀 더 깊이 이해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 창의성은 어떻게 현대사회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는가
새뮤얼 W. 프랭클린 지음, 고현석 옮김 / 해나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어쩌면 인류의 오랜 삶이 바로 창의성을 요구하는 힘에 의해 개척되어 온 모습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도 된다.

하지만 과거 그 어느때 보다 지금의 시대가 더 창의성에 집착하고 목말라 하는 시대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조직들의 문화는 지금껏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기 보다 조직 차원의 명령체계에 순응하는 조직형 인간을 원했다.

하지만 더 이상 그러한 방식으로의 조직의 발전은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우리는 그간 돌아보지 않았던 창의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또한 조직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역시 리더로의 자질을 평가하는 항목으로의 창의성에 대한 삽입은 완전히 우리 사회의 지도를 재편하는 일고 전환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야 함을 일깨워 준다.

그렇다고 창의성을 독특함이라는 단어로 대치하기에는 너무 단순하다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에 창의성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는 새상을 바꾼 창의성이라는 단어의 개념과 왜 시대적 요구성을 갖추어 우리 사회와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지 그 현상의 창의성에 대해 심도 깊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그렇다면 과연 창의성은 무엇을 말함인가? 개념적 정의를 생각해 보면 창의성은 무척이나 모호한 단어이다.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창의성보다 우리는 업무적인 능력으로의 창의성을 더욱 요구하는 시대를 살고 있음을 생각하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아웃라인은 대략적으로 감 잡을 수 있다.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성을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원천' 이자 인간을 다른 동물과 근본적으로 구분짖는 요소라고 지칭했다.

이러한 창의성은 개인적인 능력이나 직업적 능력을 모두 내포하는 것이기도 하며 우리 문명을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핵심 요소중의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창의성이라는 현상의 존재를 설명하는 과정은 창의성 개념을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물론 창의성 개념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천재성, 발명성, 영리함, 독창성, 상상력, 환상 등의 의미들을 조합한 그 무엇으로의 의미라 생각하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진실이 그렇다. 그 어떤 개념 정의도 마뜩치 않지만 분명 우리 사회에서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음은 해석의 풍부함에 따른 적정 요법에 대응하는 선택으로만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다른 모습을 보임으로써 인간다운 모습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보다 인간적인 면모는 바로 창의적인 존재인지에 따라 보다 인간 다운 존재로의 인식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창의는 그렇게 인간 자신의 내재적 동기와 열정을 추구하며 스스로가 보다 인간다운 면모를 보일 수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바로의 창의성 현상을 이해하는 일이라면 우리는 대중성이라는 개념과 상치하는 창의성 개념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대중성은 일반 대중이 친숙하게 느끼고 즐기며 좋아할 수 있는 성질을 뜻하며 인간의 존재감을 느끼게 해주는 성질로 이해할 수 있으나 창의성과는 그 느낌이 다르게 전해진다.

창의성의 역학적 사례와 연구, 창의성의 역사와 관련된 서사 등 우리 시대가 창의성에 집착하게 된 배경으로의 이야기들을 마주할 수 있어 심심치 않게 사용하는 창의성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 기회를 통해 창의성에 목마른 오늘의 시대를 좀 더 깊이 이해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일 1책 인문학 세계 고전
사사키 다케시 외 83명 지음, 윤철규 옮김 / 이다미디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삶을 사는 가운데 고전은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 생각해 보면 그 영향이 적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고전이 그저 옛날 책이라는 단순 무식한 의식만으로 생각한다면 안될 것이다.

고전은 인간의 삶에서 비롯된 다양한 지혜와 지식들을 담아 놓은 책들로 우리 인간의 삶이 인간다운 존재로서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채찍과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오늘의 우리는 물질적이고 향락적인 삶에 기울어 있다.

그런 나, 우리에게 절간의 죽비처럼 정신이 번쩍 들게끔 해 주는 역할로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책이라는 대상을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것 처럼 생각할 때가 있다.

하지만 고전 속에 웅크리고 있는 인문학은 우리 자신의 자화상 같은 존재감을 갖는다.

마치 거울속의 나의 모습을 목도하고 새롭게 변신하고자 할 때 비로소 그 존재감을 느껴볼 수 있는 대상이 인문학 고전이라면 오늘을 사는 나, 우리라도 마땅히 가까이 해야 할 것이라 생각해 본다.

그러한 책을 1일 1책으로 만나 읽을 수 있다면 흡족한 생활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만나 책을 읽어본다.



이 책 "1일 1책 인문학 세계고전" 은 모두 61편의 인문학 고전으로 이뤄진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장이다.

흔히 우리는 말한다. 넓고 넓은 세계는 보이는 것으로 이해하지만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 치 앞 사람속은 모른다고 말이다.

그렇다. 우리는 나와 똑같은 사람들, 인간들에 대해 알고 싶어하면서도 때론 치가 떨려 알고 싶지 않아 할 때도 있다.

하지만 홀로 살 수 없는 존재이기에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더욱이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이해 역시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 만큼이나 필요하며 중요하다 할 수 있기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간과 인간의 세계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도록 주옥 같은 책들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생각하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자가 이러한 책들을 읽은 서평으로 이해해도 크게 다르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지금의 나, 우리가 책을 읽고 서평을 쓴다면 이러한 방식으로의 서평 정도는 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면 많은 책을 읽음과 동시에 생각과 글쓰기에 대한 능력도 키워야 함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능력을 외적 능력이라면 내면적 능력으로는 글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판단력과 창의력이 결합된 통찰력이 글에서 느껴질 수 있는 상태라야 할 것이라고 본다.



정치, 경제, 법 사상, 철학과 사상, 역사와 종교라는 테마를 두고 저자는 해당하는 주제를 대표하는 고전들을 읽고 자신의 통찰을 담은 글들을 써 내려 갔다.

인간의 세부적인 삶들을 살펴 보는 즐거움도 있겠지만 인간 삶을 이루는 굵직한 테마로서의 다섯 주제들은 우리의 삶에서 직간접적으로 느끼고 영향을 받게 되는 대상들이기에 그에 대해 각자가 느끼는 사유가 다르겠지만 고전 인문학 속에 존재하는 주제에 대한 이해를 더함으로 인해 오늘날의 나, 우리 사회와 세계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와 배려를 숙지할 수 있는 나, 우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인문학의 필요성은 인간다움, 인간답게 살고자 하는 데 있다고 본다.

그러한 인간다움을 과연 인문학적 고전들이 아니면 어디에서 배울 수 있고 만날 수 있을 것인가?

저명한 인물에게서 구할 수 있다 생각해도 마뜩치 않은 일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많고 보면 오래는 되었지만 인류의 삶속에 지혜와 지식으로 살아 남은 인문학 고전과의 동침은 61편의 책들이 소진되는 시간이 아까울 수도 있다.

그만큼 재미와 흥분을 느끼게 해 줄 인문학 고전이기에 독자들의 망설임 없는 선택을 권유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읽기 시크릿, 인간심리 36 - 말하는 걸 믿지 말고 ‘행동하는 걸 믿어라!’
이영직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수 많은 사람들을 상대하는 비즈니스맨 이라면 상대하는 사람들을 어느 정도 모습만 보고도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물론 사람의 모습만이 아니라 생각과 행동을 보아야 더욱 깊이 알 수 있겠지만 보통의 사람들 보다는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이 더욱 사람을 파악하는 능력이 뛰어나지 않을까 하는 나만의 생각을 해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이 기우는 아니었던가 보다.

바로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연구하고 그들의 심리에 깔린 비밀을 파헤치는 행동경제학이라는 학문으로까지 성장한 것을 보면 나만큼이나 타인들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인간은 오롯이 자기 자신만이 최고인줄 아는 착각속에 사는 존재이다.

아마도 틀리지 않는다면 인간은 이러한 착각을 스스로 무너트리지 않을 것이며 그러함이 오히려 독이되어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불편한 관계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인간을 명확히 정의하는 학문이 아직까지는 없지만 그나마 인간을 아직도 알수 없는 카오스적 존재로 인식하는 등 학문적 세계로 끌어들여 이해하고자 하는 행동경제학으로 본 인간의 심리에 대해 말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사람 읽기 시크릿, 인간 심리 36" 는 인간의 말과 행동 가운데 무엇을 더 선호해 믿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하며 그러한 카오스적 인간에게도 보이지 않는 패턴들이 존재함을 일깨우고 인간행동의 뒤에 숨어 있는 심리현상을 파 헤치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있게 하고자 하는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저 사람은 왜 내게 저런 모습을 보일까? 하는 등 다양한 타인의 나에 대한 모습들을 우리는 의아하게 생각한 적들이 많다.

왜 그랬을까? 하는 물음에 당사자에게 물어 보지 못하고 가슴 앓이만 끙끙 해 댔을 나, 우리의 모습은 보지 안아도 많은 사람들이 겪은 일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직접적으로 나, 우리에게 어떤 행위를 한 사람들에게 물어 보지 못하지만 왜 그랬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것을 넘어 그 심리적 기제를 이해는데 까지 가 보는 일은 어쩌면 상대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차원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 좀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보면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이는 것이라 자족감을 느낄 수 있을것 같다.

우주가 카오스적 형태를 띠고 있듯이 인간의 삶을 그렇게 비유하는 일을 보면 이해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이해하기 보다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지만 최소한의 이해를 하고자 하는 우리의 바램이 어쩌면 행동경제학이라는 학문을 탄생시키고 그것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넗히고자 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저자는 인간이 가진 심리적 성향들이 어떻게 신체적 상황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기억이 갖는 두루뭉술함이 확증편향과 연결되 있는가 하면 결정장애를 겪었을지도 모를 나폴레옹의 꾸데이를 조명하는가 하면 질투라는 이기적 유전자에 대해 소개하고 거짓말의 심리를 통해 말하는것이 아닌 행동하는것을 믿어야 함을 가르치는가 하면 그럴듯한 거짓말로의 통계의 함정도 이야기 한다.

베르테르의 효과처럼 심리의 전염에 대해 논하는가 하면 어울리지 않는 상황에 대한 인지부조화의 모습도, 같은 것을 보고 다르게 해석하는 관점의 차이와 자기만족의 함정으로의 편가르기에 대한 심리적 사유도 인간의 삶에 있어 누군가는 희생이 필요하다는 식의 마녀 사냥의 심리, 확률게임이론 등 다양한 인간 행동의 기저에 도사린 심리적 사유들을 돞아 볼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이렇게 행동경제학적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를 파악하고 이해하면서 인간만이 우월한 종족인양 고개를 빳빳히 들고 있었던 나, 우리 자신이 부끄러워 진다.

소크라테스가 했다던 말 '너 자신을 알라' 라는 말씀이 비수가 되어 가슴 한 복판에 아픈 상처를 낸다.

나, 우리 자신도 잘 몰랐거나 무지로 일관했던 인간행동의 기저에 깔린 심리에 대한 이해의 시간은 어쩌면 나이 들어 가면서 더더욱 깊이 이해하고 사람를 바라보며 사랑해야 하는 과업으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