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차 냉전 시대
제이슨 솅커 지음, 김문주 옮김 / 더페이지 / 2025년 5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미, 소 냉전 시대는 과거 속에 존재했지만 여전히 그 여파는 지속되고 있고 또 그러한 진앙으로의 냉전이 2차 신냉전의 시대를 만든 근원이 되었다 판단할 수 있는 일이다.
세계는 지난 냉전 체제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하는 물음에서 더 나아가 그 근원이 확실하게 해결 되지 않아 2차 신냉전 시대가 열렸다고 추론하고 있다.
아마도 이러한 사실은 미,소 냉전체제가 미,중 냉전체제라는 대상만 바뀌었을 뿐 냉전의 상황은 전혀 해결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실정임을 간과하고 있는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것 같다.
냉전체제는 지정학적 전략으로의 세력간의 대립이 주를 이뤄 왔지만 이제는 지정학적 전략뿐만 아니라 무역, 경제, 군사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이어지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제 2차 냉전 시대를 말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제 2차 냉전 시대" 는 과거 미, 소 냉전 체제가 소련만의 문제가 아닌 유럽, 한국, 베트남, 동아시아 국가들이 존재한 소련과 중국과의 세력권에서 발생한 자본주의대 공산주의와의 대결로 귀결되었지만 2차 냉전 시대의 시작은 과거 1975년의 닉슨의 대만문제를 하나의 중국으로 규정한데서 이미 씨앗이 뿌려 졌다는 사실로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대만이 왜 2차 냉전시대의 핵으로 떠오른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는 일이다.
대만은 유엔 안보리 이사회 국가들이 세계 평화에서 한반도 보다 더욱 위험한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지정학적 가치를 지닌 부분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중국이 대만을 흡수 통일하는 문제는 그냥 넘길 수 없는 세력간의 대립을 깨트려 중국의 세계 공산화에 힘을 실어주는 기회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일이기에 2차 냉전 시대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물론 대만 문제에 있어서의 트럼프의 생각도 읽을 수 있지만 중국이 흡수통일 하고자 하는 대만의 문제는 비단 대만만의 문제라 지칭할 수 없는 거대한 세력권의 쟁패가 몰린 대결의 장이라 할 수 있는 일이고 보면 그간 우리가 알고 있던 냉전이라는 의미를 전혀 색다른 방향에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판단해 볼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한 대만 문제에 결부된 국제관계와 미, 중간의 정치적 전략에 대해 밀도 높게 분석하고 추론하며 새로운 냉전 시대에 대한 독자들의 인식의 지평을 개선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겪어 왔던 냉전 시대는 지정학적, 정치적 체계에 의한 대립으로 이해했지만 새롭게 시작되는 냉전 시대는 전혀 낮선 전쟁의 시작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이는 새로운 국제적 대립의 시작이며 자본주의 연대 세력과 공산, 사회주의 연합세력의 대결이기도 하며 경제와 기술의 탈동조화, 대리전과 하이브리드전이라는 생각지도 못한 양상으로의 전쟁이며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사이버 정보, 기술의 전쟁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퀘케묵은 이념 전쟁이 아니라 이제는 상상을 초월한 의미를 가진 전쟁이 치뤄지고 있는 실정임을 부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2차 냉전의 전쟁임을 표현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란의 대리전과 이스라엘의 전쟁, 대만을 둘러싼 전쟁은 이미 시작된 2차 냉전 시대를 등한시 할 수 없는 자명한 사실로 인식할 수 있다.
저자의 설명을 통해 그러한 2차 냉전 시대의 통찰적 시각을 갖고 우리의 미래에 대한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는 일은 대만 못지 않은 지정학적 분쟁의 씨앗으로 자리한 우리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남의 일 보듯 할 수 없는 일이다.
반면교사의 의미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의 대한민국을 그려보는 일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