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악의 역사 - 소리로 말하고 함께 어울리다
로버트 필립 지음, 이석호 옮김 / 소소의책 / 2025년 6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쉬운듯 하면서도 결코 쉽지 않은 질문이 바로 무엇인가를 묻는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라 할 것이다.
나, 우리 자신은 누구인가 하는 물음부터 음악은 무엇인가? 하는 정체성에 대한 물음에 답하는 일은 어찌 생각하면 간단한것 같아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인지적으로 알고 나면 결코 쉽게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아이러니함에 쌓이고 만다.
그런 음악의 존재는 인간의 삶과 오랜 역사를 같이 하며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황하게 말할 능력도 없지만 간단하게 나마 음악이 무엇인지를 말할 수는 없을까?
할 수 있다. 바로 책의 표지에 써 놓았듯이 '소리로 말하고 함께 어울리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음악이라고.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음악을 좋아하고 즐겨 듣고 따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런 모든 것들이 가능한 것이 바로 소리로 무언가를 전하고자 하는 인간의 마음을 담은 형식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한 소리와 함께 한 동거는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음악의 역사를 들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음악의 역사" 는 인간에게 소리로서 존재했던 태동부터 시작해 우리가 음악에 대해 전무하다 시피한 지식들로의 이야기들을 풀어내며 음악이 어떻게 인간에게 수용되고 이어져 올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 들려 주는 책이다.
음악은 취향과 민감성의 문제라고 한다.
정말 그렇다고 생각된다. 음악을 알고 음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나와 같이 전혀 문외한인 사람들에게는 맞는 말이라는게 실감난다.
음악의 역사라 해서 장황한 역사 스토리를 기대했다면 조금은 실망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의 음악에 대한 서사와 통찰은 나, 우리와 같은 보통의 사람들에게 음악의 존재가 어떻게 사람들의 삶과 엮여 이어져 올 수 있었는지에 대한 나름의 사유에서 비롯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그의 그런 음악적 지식들은 화음, 화성, 리듬, 박자, 배음 등 다양한 용어에 조차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는 쉽게 음악적 지식들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됨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음악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
이에 대한 대답도 그리 간단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마음 혹은 의중을 어떤 방식으로든 표현하는 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종교와 결합되면 더욱 신성함을 느끼게 되는 음악이 되기도 하며 또한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와의 만남을 통해 음악이 전하는 메시지는 더욱 깊이 있고 풍성하게 전달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음악은 인간과 함께 한 오랜 유물이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흔히 하는 말로 인간만이 가진 특징으로 삼아도 크게 틀리지 않지만 이러한 정의는 동물이나 식물이 내는 소리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 정의 하느냐에 따라 그들도 인간만큼은 아니지만 음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전혀 아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일이다.
인간이기에 인간을 위한 음악으로 이해하는 일은 무리가 없다.
하지만 그러한 의식의 한 편에는 인간의 한계점이 드러나 보인다는 점이 있다.
자신 외의 그 어떤 존재도 인정치 않고자 하는 선지자적 존재로의 무게감이라 할 수도 있을 의미라 우리는 이를 벗어나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잠시 옆길로 새었지만 인간이 아닌 존재들 역시 정의 하기에 따라서는 음악을 하고 있다 생각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일이라 판단해 보면 좋겠다.
저자의 고대 음악부터 현대의 케이팝까지 광범위한 음악의 세계를 사유하고 통찰해 낸 이야기들은 어렵기만 했던 음악에 대한 느낌을 완전히 바꿔 주는데 일조 했다고 생각한다.
음악이 주는 메시지를 어떻게 판단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해 이제 조금은 알 수 있을것 같은 자신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