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는 유전자를 춤추게 한다 - 호모 사피엔스의 눈부신 번영을 이끈 유전자·문화 공진화의 비밀
장수철 지음 / 바틀비 / 2025년 5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문화(文化, Culture)는 보편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 체계를 말하는데 그 문화가 유전자를 춤추게 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문화가 유전자와 어떤 상관 관계가 있다는 말로 이해될 수 있을듯 한데 명확히는 무엇이 어떻게 관계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쉽게 가늠이 안된다.
다양한 학술적 이야기들을 만나고 읽어 왔지만 문화와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말하는 학자는 만나지 못해기에 색다른 관점에 대한 기대감과 즐거움이 몰려 온다.
한민족은 가무를 즐기는 민족이라는 말의 의미에서 한민족의 정체성은 유전자적 실체로의 가무를 즐기는 형질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고 보면 알게 모르게 우리 자신의 정체성은 유전적 요소의 발현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론까지 해 볼 수 있다.
유전자와 문화의 공진화를 통해 문화가 유전자를 춤추게 한다는 비밀을 밝혀내는 저자의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문화는 유전자를 춤추게 한다" 는 생명체의 진화론에 기반한 발전이 이뤄낸 유전자와 문화의 공진화라는 진회론의 최선단에서 인간의 문화와 유전자의 밀접한 상관 관계를 조명하고 문화가 인간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규정짖는 대상임을 깨닫게 해 준다.
다윈의 '종의 기원'은 진화론의 기초를 세운 이론이다.
우리는 깊이 있게 알지 못하지만 진화론은 진화론, 공통 조상 이론, 점진주의, 종 분화이론, 자연 선택설로 구분지어 진다.
그러한 진화론에서 파생된 동물 행동학과 인간 사회생물학은 오늘날의 진화론의 또다른 파생으로 여길 수 있는 부분이다.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환경, 그 환경이 인간에게 얼마나 중요한 부분이고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우리는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인간은 심리와 행동을 통해 삶을 영위하는 존재이며 우리가 마주한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또 그러한 과정을 통해 새로운 문화로의 환경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유전자, 문화 공진화론은 문화에 강조점을 두면서도 유전자의 중요성도 고려하는 관점이다.
진화론적 의미에 문화를 접목시킨 호모 사피엔스에 대한 새로운 학설로 이해할 수도 있을것 같다.
유전자, 문화 공진화 이론은 춤과 댄스로 대표되는 K팝 문화, K음식 문화, 이타성, 성문화, 농업혁명, 인간이 똑똑해진 이유, 뇌용적의 변화, 질병에의 저항성 등의 주제들을 다루고 있어 유전자와 문화적 상관성에 대한 밀도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문화는 사회적 학술의 대상이며 유전자는 생명공학 또는 생물학적 관점의 대상으로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다양한 논점, 관점, 주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의 정체성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삶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우리가 알고 있거나 알았던 지식들이 새로운 학문이라는 실체로 파생되는 사례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물론 그러함이 모두 사실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어야 하겠지만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스스로의 정체성 파악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의문들 속에 자리하는 유전자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는데 유익함으로 자리할 책으로 독자들의 다독을 권유헤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