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은 넘쳐나고, 인간은 배고프다 - 바츨라프 스밀의 세계를 먹여 살리는 법
바츨라프 스밀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25년 5월
평점 :
김영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책의 표지 안장을 보면 ‘에너지, 환경, 식량, 인구, 역사, 공공정책 등 50여 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선도해온 환경과학자이자 경제사학자, 캐나다 매니토바대학교 환경지리학과 명예교수이며... 세계 발달사를 꿰뚫는 통계분석의 대가로 손꼽히며 빌 게이츠가 가장 신뢰하는 사상가로 주목받았다.’는 저자 소개가 등장한다. 본서를 읽으면 그런 그의 경력들이 제대로 응축된 저작이라는 감상이 들고 만다.
본서는 세계 식량생산 체계의 기본특성을 돌아본다는 의의가 담긴 책인데 이 과정에서 저자 소개에서 등장하는 방대한 영역을 모두 다루고 있다.
현재의 식량 선택에 이르기까지를 역사와 고고학, 인류 진화와 연결 지으며 되짚어보고 이에서 생존을 위한 가장 과학적인 식량 선택과 농축산의 과정이 무엇일지를 체계적이며 분석적으로 통계를 기반으로 돌아본다.
이를 분석하며 환경과 불평등, 생산적이면서도 비파괴적인 농법은 무얼지, 식량의 효율성과 적절성, 영양과 인간의 입맛까지 고려한 식량 생산에 대한 접근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스마트 농법에 대한 소개들이 유투브 등의 매체를 통해서도 널리 알려진 현재지만 이에 대해 다각도에서 적절하게 개발되고 있는지는 아직 각국 정부나 국민들의 관심 밖인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저자와 같은 전문가의 깊고 넓은 분석이 더해져야 더욱 적절한 대안으로 완성될 것 같다.
저자는 일부 농산물과 가축류가 개량되며 식량의 효율성을 갖추게도 되었으나 아직까지 생산에 이르는데 과도한 비용과 자원이 동원되는 데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유전자 조작이나 배양육 등에 마냥 반기는 시선도 아니다. 저자는 기존의 식량 체계를 개선하고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깊은 시선을 던지고 있다. 그의 분석들은 모두 이제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이러한 통찰은 전방위적이고 공공정책까지 고려한 50여 년의 연구가 가져온 것이다.
그의 저작은 인문학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저자 소개와 같은 다방면의 다층적인 연구가 통섭되어 있는 깊고 넓은 통찰이 담겨있다. 식량이라는 생존의 영역이 화두인데도 불구하고 다분히 인문학적이어서 역사와 진화가 일상과 교차하고, 그러면서도 과학적이라 사회적인 시선이 통계와 교차하며, 긴 역사를 되짚어오며 이야기하면서도 동시대에 여러 국가와 지역들의 현실을 실질적인 효과와 과학과 환경이 어우러진 시선으로 돌아본다.
그의 이런 학자로서의 깊은 분석과 통찰은 그의 약력을 보고도 감탄이 지어졌다. 이와 같이 현실을 다루면서도 학문적 풍격을 갖춘 저작은 쉽게 찾아볼 수 없을 듯하다. 장 지글러의 자성어린 비판이 담긴 대중서로 식량과 기아 문제에 관심을 가진 바 있던 사람들이라면 본서를 통해 식량 문제로 역사와 현실, 비탄과 과학, 생존과 환경을 통계와 함께 두루 돌아볼 기회를 놓칠 수 없을 거라 생각된다.
분명 대중 누구나가 한번은 돌아보아야 할 문제이고 그렇다면 본서처럼 전문적인 데이터를 탁월한 학자가 통섭하며 담아낸 저작을 탐독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분량은 부담 없었으나 충분히 부담감을 안고 읽을 만한 책이면서도 몰입하게 만드는 책이다. 전문적인 내용을 읽기 쉽게 서술한 권할 만한 책이다 싶다.
#음식은넘쳐나고인간은배부르다 #바츨라프스밀 #김영사 #식량생산체계 #서평단 #도서협찬 @gimmyou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