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하지 않아서 뇌를 바꾸려고 합니다 - 뇌과학이 증명한 삶의 변화를 이끄는 감정 설계
손정헌 지음 / 더페이지 / 2025년 7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행복하지 않아서 뇌를 바꾸려고 합니다"는 제목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한다. 처음에는 다소 이색적인 제목이라 생각했다. 행복하지 않아서란 단순한 감정의 고백이 아닌, 삶의 굴곡 속에서 반복되는 좌절과 불만족, 나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실망을 드러내는 말이다. 그리고 뇌를 바꾸려고 합니다는 이러한 감정의 악순환을 뿌리부터 바꾸겠다는 의지이자, 실천을 기반으로 한 현실적인 메시지다.
저자는 뇌과학 이론을 소개하면서 심리학, 생물학, 감정의 작동 원리를 통합적으로 탐색한다. 우리는 누구나 감정을 통제함으로써 삶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감정이 변해야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변해야 인생이 바뀐다. 감정은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나침반이며, 감정의 패턴을 인지하고 재설계할 수 있어야 우리는 비로소 삶을 주도할 수 있게 된다.
이성을 통해 선택하고 판단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감정이 뇌의 정보를 가장 먼저 거르는 관문이다. 뇌는 논리보다 감정에 훨씬 더 빠르게 반응한다. 감정이 들끓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그럴듯한 계획도 실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결심했지만 날씨가 덥거나 기분이 우울하면 “오늘은 좀 쉬자”는 말로 스스로를 설득한다. 이런 일상의 반복이 의지 부족 때문이 아니라 감정 상태 때문임을 지적한다.
책에서 강조하는 내 마음의 설계도라는 개념은 감정이 어떻게 세계관을 형성하고, 정체성과 자존감, 미래의 가능성에까지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망한다. 우리가 무심코 흘려보낸 감정 하나하나가 실제로는 뇌 회로에 흔적을 남기며, 그 반복이 곧 나를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다음은 감정을 통해 뇌를 바꾸기 위한 방법이다.
1. 감정을 의도적으로 설계하기: 원하는 감정을 미리 떠올리고 시연하라. 상상도 뇌를 실제처럼 반응시킨다.
2. 독서를 통한 관점 확장: 새로운 언어와 생각은 뇌 회로를 재배선한다.
3. 감정 점검과 언어화: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면 막연한 기분이 구체화되고 통제 가능해진다.
4. 일상 루틴의 설정: 목표 없는 삶이 아닌, 작은 행동의 반복이 뇌의 패턴을 바꾼다.
5. 명상과 쉼: 감정과 반응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명상은 감정 조절의 근육을 기르는 행위이다.
#행복하지않아서뇌를바꾸려고합니다 #감정조절훈련 #뇌과학도서 #심리학책추천 #감정의힘 #감정패턴 #행복찾기 #자기계발도서 #마음의설계도 #행동변화전략 #감정설계 #감정언어화 #감정리셋 #감정이뇌를지배한다 #명상습관 #일상루틴 #감정이먼저다 #생각보다감정 #감정중심뇌 #뇌리셋 #감정의재설계 #감정근육 #감정자각 #뇌의습관바꾸기 #감정기반실천 #행복을설계하다 #우울탈출 #자존감회복 #내감정다루기 #마음정리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