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 쇼크 - 삼성은 몰락할 것인가, 아니면 다시 세상을 뒤흔들 것인가?!
이채윤 지음 / 창해 / 2025년 11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삼성 쇼크" 반도체와 스마트폰이라는 두 기둥이 동시에 흔들리던 시기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파운드리에서 TSMC에, HBM에서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내어준 현실, MZ세대의 선택지가 아이폰으로 기운 문화적 지형변화는 실적 부진이 아니라 구조적 경고음이었다. 중요한 대목은 저자가 이 현상을 기술 격차 하나로 환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조직의 민첩성 약화, 위험을 감수하는 결단의 실종, 고객과의 신뢰를 생태계 단위로 구축하는 능력의 문제를 집요하게 짚어내며, ‘삼성 쇼크’의 본질을 성능 경쟁의 패배가 아니라 문법의 낡음에서 찾는다.
반도체 전장은 이미 미세공정의 숫자 경쟁을 넘어섰다. 패키징과 턴키 솔루션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규칙을 선명하게 그려낸다. 팹리스 기업이 원하는 것은 빠른 시간 안에 설계–양산–패키징–테스트가 하나의 사슬로 묶인 신뢰 가능한 파트너이며, 여기에 가장 먼저 생태계를 얹은 쪽이 시장을 선도한다. 삼성은 HBM에서의 뒤늦은 진입으로 뼈아픈 학습을 치렀고, 이후 첨단 패키징과 차세대 공정, 이미지센서와 전장 부품에서 ‘고객-공정-공급망’을 재조율하며 반격의 발판을 깔아간다.
재용 회장이 내세운 ‘초격차’와 ‘초연결’은 구호가 아니라 전략적 문장으로 읽힌다. 초격차는 3나노·2나노, HBM4, 첨단 패키징, 6G 같은 전술 목록을 넘어 고객과의 신뢰·파트너십의 깊이·생태계 조율력까지를 포함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정의되고, 초연결은 스마트폰과 가전을 넘어 자동차 전장·로봇·의료기기를 그물처럼 묶는 네트워크의 철학으로 제시된다. 이 과정에서 보안은 선택이 아니라 전제다.
젊은 세대에게 아이폰이 ‘정체성의 언어’가 된 상황에서, 갤럭시의 온디바이스 AI나 폴더블이라는 기술적 차별성이 왜 곧바로 갖고 싶은 이유로 환원되지 않는지 냉정하게 분석한다. 삼성의 최근 행보에서 기능을 넘어 스토리와 감성, 경험의 문장을 마련하려는 시도를 포착한다. 제품 완성도, 가격, 스펙을 넘어 왜 지금 삼성이어야 하는가라는 서사를 구축하는 과제는 기술만큼이나 중대한 전선이며, 이 전선을 얼마나 빨리 재편하느냐가 재도약의 속도를 좌우한다.
#삼성쇼크 #삼성전자 #이재용 #반도체전쟁 #TSMC #SK하이닉스 #HBM4 #초격차 #초연결 #3나노공정 #2나노공정 #첨단패키징 #AI반도체 #파운드리 #갤럭시 #아이폰 #MZ세대 #스마트폰전쟁 #테크경영 #한국경제 #산업트렌드 #기업혁신 #ESG경영 #기술패권 #AI혁명 #6G통신 #미래산업 #글로벌기업 #삼성리더십 #경제서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