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RYPTO.AI - 블록체인과 AI의 본질을 이해하고, 트렌드를 파악하다
김기영 외 지음 / 키랩스 / 2025년 9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CRYPTO.AI"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상호 대체재가 아니라 서로의 결핍을 메우는 보완재로 말하고 있다. 저자들은 AI를 ‘쓰기’, 지식의 생성과 확장의 힘으로, 블록체인을 ‘소유’, 권리와 신뢰의 보증의 규칙으로 규정한다. 생성과 검증, 창작과 공증, 효율과 투명성이라는 두 축이 만날 때 비로소 디지털 전환의 핵심 난제(진위, 소유, 분배)에 실마리가 생긴다는 점을, 기술·경제·사회 사례를 종횡으로 끌어오며 설득한다.
FTX 파산과 테라-루나 사태를 단순한 업계 해프닝으로 덮지 않고, “왜 그런 구조적 취약이 생겼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컨센서스 메커니즘, 거버넌스, 규제 공백의 교차지점을 해부한다. 동시에 AI가 불러온 저작권 논쟁과 노동 재편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다. 텍스트·이미지·코드의 대량 생성이 보편화된 지금, “이것이 인간의 작품인가?”라는 물음 앞에서 저자들은 블록체인의 시간 스탬프와 추적 가능성, 스마트 컨트랙트를 근거로 ‘창작의 족보’를 복원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언뱅크드 문제 앞에서 디파이(DeFi), STO, NFT는 “소유의 민주화”라는 키워드로 묶인다. DID(탈중앙 신원증명)를 축으로 개인정보를 중앙 서버가 아닌 개인 지갑에 보관하고 선택적으로 제시하는 모델은, 규제 적합성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을 모색하는 실천적 경로다. 이러한 인프라가 콘텐츠 산업과 공공 금융, 데이터 마켓으로 확장될 때의 파급을 차분히 설명한다.
AI가 지능을 담당하고 블록체인이 신뢰를 담당하는 세상에서,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기술의 물결에 휩쓸릴 것인가, 그 위에서 항해술을 익힐 것인가. 두 기술의 결합을 ‘미래 경제의 헌법’ 쓰기로 비유한다. 헌법은 해설집이 아니라 실천의 규범이어야 한다. 생성의 속도에 검증의 규칙을, 소유의 권리에 분배의 정의를, 자동화의 효율에 인간 존엄의 기준을 더한다.
#CRYPTOAI #인공지능 #블록체인 #Web3 #디지털전환 #생성형AI #LLM #스마트컨트랙트 #토큰이코노미 #디파이 #STO #NFT #DID #데이터주권 #분산신원 #신뢰인프라 #콘텐츠저작권 #온체인추적 #컨센서스 #거버넌스 #레그테크 #데이터마켓 #인공지능윤리 #샘올트먼 #미래경제 #핀테크 #기술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