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 면허 - 이동하는 인류의 자유와 통제의 역사
패트릭 빅스비 지음, 박중서 옮김 / 작가정신 / 2025년 7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여권 파워가 독일에 이어 2위라는 소식을 접했을 때 사실 많이 놀랐다.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뿐 우리나라는 해외에서 바라보는 우리나라는 정말 대단한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한 나라의 여권이 가지는 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그 반대인 통제는 가깝게는 몇 년 전의 팬데믹 사태만 봐도 알 수 있고 고대 인류의 이동만 봐도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여행 면허』는 이런 여행 문서, 여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소개하는 관련 자료를 보더라도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아서 읽는 재미가 있다.

여권이 가지는 의미는 단순히 신분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그 사람이 합법적으로 세워진 한 국가의 증명된 국민의 한 사람이며, 그 나라의 법적인 보호를 받는다는 것이기도 하고 이동에 대해 그 나라가 법적인 보장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굉장히 큰 의미를 가지고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의 여권이 범죄자들에게 인기가 있다는 말도 들었던것 같다.
책에서는 바로 이런 점에 주목해서 여권이 그저 여행 서류의 하나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이동에 대한 자유와 통제와도 연결되어 있고 그 사람의 정체성에 대한 정의이기도 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세계사 속에서 이런 여권과 관련한 흥미로운 사례들, 그리고 신분을 보장받지 못했던 사례들, 천신만고 끝에 보장된 사례까지 잘 담아내고 있다.

또 단순히 세계사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영화, 문학은 물론 국제 정치나 철학 등에서도 여권과 관련해서 한 사람의 신분이 어떻게 부존재가 될 수 있는가도 보여주는데 그 유명한 톰 행크스 주연의 영화 <터미널>에 대한 이야기도 그러하다.
한 탈북민이 대한민국 여권을 받고 거기에 적힌 문구를 보고 감동받았다는 이야기가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의 자격이 부여되고 국가가 나서서 신분을 보장하고 편의를 봐줄 것을 부탁하는 메시지, 자유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지 못했던 곳에서 한 나라의 국민으로 인정받으며 보호받는다는 느낌이 어떠했을지 우리는 감히 상상도 못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 개인의 이동의 자유, 정당하고 합법적인 국가로부터의 완전한 보호가 이토록 중요한 것임을 알게 했고 동시에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이유로 존재하는 불평등의 문제 역시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유익했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