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월의 대학병원은 열정과 혼란이 섞여 있다. 나태하고 게으른 인간도 처음 의사 면허를 받고 인턴 수련을 시작하거나, 1년간의 인턴수련 끝에 자신이 지원한 임상과의 1년차 레지던트가 되면 3월에는 새로운 각오로 열정을 불태우기 마련이다. - P85

도련님 교수와 통화가 끝나자 나는 흉부외과 의국으로 향했다. 이른바 ‘프로파간다’라 불리는 여론몰이는 국가나 정당처럼 거창한 단위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대학병원 같은 조직에서도 그런 여론몰이는 아주 중요하다. 사람들은 실제로 일어난 사실보다는 알려진 진실에 관심을 보이기 때문이다. 환자가 호흡부전에 빠진 이유는 일반외과 담당 레지던트의 나태와 무능 때문이었지만, 자칫 ‘곽경훈 그 녀석 여기저기 주제넘게 간섭하더니 결국 사고쳤다’는 식으로 소문이 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더구나 상대는 일반외과 교수와 레지던트였다. 누가 봐도 내가 ‘언더독‘에 해당해서 신속하게 움직여야 했다. - P1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실제로 징계위원회에 호출되는 것은 멋지거나 낭만적인 일이 아니었다. - P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딱 세 가지밖에 없다.
"시간을 달리 쓰는 것. 사는 곳을 바꾸는 것.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 - P260

애착의 목적이 ‘분리‘라니!
예전에 저 말을 들었을 때는 그런갑다 했는데
중·고딩을 지나 대딩 딸을 두고 나니
이 말의 의미를 절실하다 못해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애 까꿍이 때 애착 형성에 목숨 걸어야 하는 이유가
애가 커서 나로부터 잘 떨어지게 하는 거라니
육아의 최종 목적지가 결국 ‘분리‘라는 거,
이 당연한 듯 허를 찌르는 육아의 원리에 세포 하나하나까지
폭풍 공감하게 된다. - P2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