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백온유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년 읽는 유일한 수상작품집. 작년에 큰 감흥이 없어서 그만 읽을까 생각했으나, 한 번 시작한 건 중단하지 못하는 미련한 성격 때문에(대신 시작도 잘 하지 않는다), 또 이거라도 읽어야 최신 한국소설 트렌드(?)도 알 것 같아서 올해도 구매했다. 시리즈 구매란 그런 거지.

7명의 작가 중 읽어본 작가는 4명이다.

백온유 작가는 장편 <경우 없는 세계>, 현호정 작가는 장편 <단명소녀 투쟁기>와 단편 [연필 샌드위치], 성해나 작가는 단편 [혼모노], 성혜령 작가는 단편 [버섯 농장].

단편은 모두 23년과 24년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이다.


요즘 성해나 작가의 단편집 <혼모노>가 베셀 1위던데, 내가 읽은 단편이 그 단편인지도 몰랐다. 올해 수상작품 [길티 클럽: 호랑이 만지기]와 작년 수상작품 [혼모노]가 포함되어 있던데, 왜 이렇게 인기인가. 몰입감과 흡입력이 있는 작가인 것 같긴 하지만.

이번 작품집에서 개인적으로 좋았던 작품을 꼽자면 서장원의 [리틀 프라이드]. 지난주에 읽은 FTM 청소년에 대한 프랑스 그래픽노블 <나단이라고 불러줘>(텀블벅으로 출판한 책이라 알라딘에서는 검색이 안된다)와 연결되는, FTM 주인공이 나오는 소설이다. 왜 트랜지션을 하냐고? 왜 남자가 되고 싶냐고? 아니, 나는 그냥 남자인데, 내 몸이 나와 다를 뿐. 내 몸이 내 것이 아니라는 감각. 평생 그렇게 살아야 한다면?

 

찌질한 남자가 나오는 성혜령의 [원경]과 섬뜩하지만 이희주의 [최애의 아이]도 재밌게 읽었다[원경](잘 기억나지는 않지만) 작년에 읽은 [버섯 농장]과도 비슷한 분위기인 것 같다. 성혜령 작가만의 분위기가 있는 것 같다. 그게 뭔지는 좀 더 생각해봐야 하겠으니, 오늘은 이만 퇴근해야겠다.


현호정 작가는 역시 내 취향이 아님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내년에도 아마 읽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릭 클라이넨버그 <폭염 사회>

역사학자 스콧 놀스는 장기간 느리게 발생하는 재난과 그 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느린 재난(slow disaster)‘ 개념이다. 느린 재난은 재난을 단 하나의 사건, 쪼개진 사건으로 보는 대신사건 발생 전 켜켜이 쌓인 과거부터 사건의 여파가 미칠 먼 미래까지의 장기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기를요청한다. 기존 관점이 재난을 사건이 발생한 찰나의 폭발적인 이미지로 인지한다면, 그러한 순간 앞뒤로 시간을 늘리고 사건의 영향을 받는 공간을 넓혀 재난의 인식과 상상 범위를 조정하자는 것이다. - P30

그를 지도한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명예교수는 산업의학과 환경보건 전문가로 오랜 기간 작업장 안전, 공해 문제와 관련된 연구에활발히 참여해 온 전문가이자 환경보건시민센터의공동대표를 맡은 활동가다. 백도명 교수는 삼성 백혈병 문제, 산업단지 주변 공해 피해, 쓰레기 소각장과 핵발전소로 인한 피해, 석면, 가습기살균제, 라돈 등 유해 물질로 인한 피해 등 우리 사회에서벌어진 건강 피해 문제 대부분의 조사와 연구에 두루 참여해 왔다. 언론은 그를 "의사이자 과학자, 연구활동가"로, "과학의 이름‘으로 약자의 곁에 서는 학자이자 "피해자에게 떳떳한 과학자"로 소개한다.
이처럼 과학자의 전문성이란 진리를 탐구하고밝히는 데만 활용되지 않는다. 전문가와 활동가의경계를 넘나들며 과학자의 전문성도 재구성된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환경사회학 연구는 자본과 권력으로 인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환경 운동이 얼마나 힘든 길을 거쳐 왔는가를 보여 준다. 겉보기에 과학내부의 문제로 보이는 과학 대 과학의 대립 구도는 - P14

자본과 권력의 문제와 깊숙이 연관되어 있다. 유해성 여부를 두고 경합하는 두 진영의 과학은 그러한과학을 지원하는 자본 대 자본, 권력 대권력의 싸움으로 치환될 수 없으며 정치 대 정치로 소급되지도 않는다. 과학 대 과학의 구도는 정치와 자본과권력에 얽힌 두 과학의 싸움으로 접근해야 한다.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호정

미래는 가능성의 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 실체가 있는 모든 시간은 자신을 미래로부터 분리해 현재로 드러낸다. 그러나 결합이 있어야 분리도 있다. 물결치며 갈라지는 미래 사이로 굳어지는 현재에 발을 디딜 때, 사건들은 단단히 뭉쳐 나를 견딘다. 영혼이 몸에 발을 담그듯 저 삶들은 이 삶 속에 끊임없이 뛰어든다. 어쩌면 나는 결합에 불과한지도 모르겠다. 결합을 결정하는 쪽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쪽도 아닌, 결합 자체일 뿐일지 모른다. 최소한 나는 그것을 통해 여기 있었다. 그리고 나를 있게 한 모든 결합은 불균형적이고 비대칭적이며 무엇보다도 비확정적이었다. - P3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편 17호 : 한국 인문 잡지 한편 17
민음사 편집부 엮음 / 민음사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한 때 떠나고도 싶었지만, 한국인으로 한국에 산다는 기득권을 내가 영구히 포기할 수 있을까. K-민주주의부터 K-문학, K-푸드까지. 싫은 것과 부끄러운 것과 자부심인 것과 희망인 것의 뒤섞임. 한국 여성문학 선집 이야기가 가장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