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뵐, 『운전임무의 끝』, 정찬종 옮김, 이유, 2025(6).
재판관과 검사가 들어와서 자리에 앉자 방청객은 일어났다. 방청객이 일어섰다가 자리에 앉은 모습은 마치 수도원에서 친한 사람들끼리 하는 허물 없는 행동과도 같았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은 거의 모두 피고인들과 안면이 있었다. 또한 피고인들은 10주간 계속 미결 구류 기간 동안에 지금까지 비르글라르 군 내에서 성장한 가장 아리따운 처녀들 중에 속하는 한 아가씨가 최고급 음식점에서 배달해 온 아침, 점심, 저녁 식사를 받아 먹었다.(20쪽)
→ 재판관과 검사가 들어와서 자리를 향해 움직이자 방청객은 일어났다. 방청객이 일어섰다가 자리에 앉은 모습은 마치 수도원에서 친한 사람들끼리 의식(儀式)을 치르는 허물 없는 행동과도 같았다. 피고인들이 이끌려 들어왔을 때도 움직임은 더 소란하지 않았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은 거의 모두 피고인들과 안면이 있었다. 또한 피고인들은 10주간 계속 미결 구류 기간 동안에 지금까지 비르글라르 군 내에서 성장한 가장 아리따운 처녀들 중에 속하는 한 아가씨가 최고급 음식점에서 배달해 온 아침, 점심, 저녁 식사를 받아 먹었다.
독일어 원문: Als Richter und Staatsanwalt eintraten und sich auf ihre Plätze begaben, die Zuschauer sich erhoben, zeigte sich in der Art, wie sie aufstanden, sich wieder hinsetzten, jene familiäre Lässigkeit, wie man sie nur in Klostergemeinschaften kennt, wo das Ritual zur freundlichen Gebärde unter Vertrauten geworden ist. Auch als die Angeklagten hereingeführt wurden, war die Bewegung nicht heftiger; fast alle Anwesenden kannten sie, wußten auch, daß sie während ihrer zehn Wochen dauernden Untersuchungshaft Frühstück, Mittagessen und Abendbrot aus dem besten Haus am Platz gebracht bekamen, von einer jungen Dame, einem der hübschesten Mädchen, die je im Kreis Birglar aufgewachsen waren; [...].
• 빠진 문장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