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 개신교 제후가 황제와 동맹을 맺은 이유는 아주 단순했다. 작센 선제후령(에르네스트 가문)과 작센 대공국(알브레히트 가문) 사이에 오랫동안 경쟁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이었다.(170)

 

이 개신교 제후가 황제와 동맹을 맺은 이유는 아주 단순했다. 작센 선제후령(에른스트 가문)과 작센 대공국(알브레히트 가문) 사이에 오랫동안 경쟁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이었다.

 

독일어 원문: Dass dieser protestantische Fürst sich mit dem Kaiser verbündete, hatte seinen Grund in der seit langem schwelenden Rivalität zwischen Kursachsen (Ernestinische Linie) und dem Herzogtum Sachsen (Albertinische Linie).

 

번역을 바로잡았다.

 

 

독일어 인명과 그 형용사의 차이에 주의할 것:

 

에른스트 가문 = Kurfürst Ernst von Sachsen = Ernestinische Linie

 

알브레히트 가문 = Herzog Albrecht dem Beherzten = Albertinische Linie

 

https://de.wikipedia.org/wiki/Ernestiner

 

https://de.wikipedia.org/wiki/Albertin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가톨릭 측에서는 요하네스 코흐로이스(Johannes Cochläus), [...].(169)

 

가톨릭 측에서는 요하네스 코흐레우스(Johannes Cochläus), [...].

 

독일어 원문: Für die Katholiken waren vertreten Johannes Cochläus, [...].

 

코흐로이스라고 불린 요한 도브네크(1479~1552)(196)

요한 도브네크(Johann Dobneck)는 벤델슈타인(안스바흐)에서 출생하여 쾰른에서 공부했으며 1510년에 뉘른베르크의 학교 교사가 되었다. 벤델슈타인(Wendelstein)이라는 지명이 문자적으로 회전 맷돌이라는 뜻이어서 코흐로이스(Cochläus)라는 별명으로 더 많이 불렸다. 이탈리아로 여행을 다녀온 후 프랑크푸르트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

 

코흐레우스라고 불린 요한 도브네크(1479~1552)

요한 도브네크(Johann Dobneck)는 벤델슈타인(안스바흐)에서 출생하여 쾰른에서 공부했으며 1510년에 뉘른베르크의 학교 교사가 되었다. 벤델슈타인(Wendelstein)이라는 지명이 문자적으로 나선형 돌이라는 뜻이어서 코흐레우스(Cochläus)라는 별명으로 더 많이 불렸다. 이탈리아로 여행을 다녀온 후 프랑크푸르트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

 

독일어 원문: Johann (Dobneck) genannt Cochläus (14791552)

Geboren in Wendelstein (Ansbach), studierte er in Köln und wurde 1510 Schulmeister in Nürnberg. Nach einer Italienreise wurde er Priester in Frankfurt am Main, [...]

 

인명과 그 해설을 바로잡았다.

 

 

아래, 독일어 발음 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246.

 

 

아래, 글을 참조할 것: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es_Cochl%C3%A4u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바이트 디트리히(Veit Dietrich)도 참석했다.(169)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파이트 디트리히(Veit Dietrich)도 참석했다.

 

독일어 원문: [...] und in der letzten Phase auch Veit Dietrich.

 

인명을 바로잡았다.

 

 

아래, 독일어 발음 사전과 음성 자료를 참조할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813.

 

https://forvo.com/word/veit_dietrich/#d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런 방식으로 그때까지 체결되었던 평화 상태’(Friedstandes)의 종결 시점이 다가오고 있었다.(169)

 

이런 방식으로 그때까지 체결되었던 평화 상태’(Friedstand)의 종결 시점이 다가오고 있었다.

 

독일어 원문: Damit rückte der Endpunkt des bisherigen „Friedstandes“ nahe.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미 1536년에 헤르만 폰 비트는 요하네스 그로퍼(1503-1599)의 도움을 받아 결정적인 방식으로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의 교회 회의 중 가장 중요한 개혁 시노드를 개최했다.(167)

 

이미 1536년에 헤르만 폰 비트는 요하네스 그로퍼(1503-1559)의 도움을 받아 결정적인 방식으로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의 교회 회의 중 가장 중요한 한 개혁 총회를 개최했다.

 

독일어 원문: Hermann von Wied hatte bereits 1536 eine der bedeutendsten vortridentinischen Reformsynoden durchgeführt. Bei diesen frühen Aktivitäten leistete Johannes Gropper (1503-1559) entscheidende Hilfe.

 

사망 연도와 번역을 바로잡았다.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es_Gropp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