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① 가톨릭 측에서는 요하네스 코흐로이스(Johannes Cochläus), [...].(169쪽)
→ 가톨릭 측에서는 요하네스 코흐레우스(Johannes Cochläus), [...].
독일어 원문: Für die Katholiken waren vertreten Johannes Cochläus, [...].
② ‘코흐로이스’ 라고 불린 요한 도브네크(1479~1552)(196쪽)
요한 도브네크(Johann Dobneck)는 벤델슈타인(안스바흐)에서 출생하여 쾰른에서 공부했으며 1510년에 뉘른베르크의 학교 교사가 되었다. 벤델슈타인(Wendelstein)이라는 지명이 문자적으로 ‘회전 맷돌’이라는 뜻이어서 코흐로이스(Cochläus)라는 별명으로 더 많이 불렸다. 이탈리아로 여행을 다녀온 후 프랑크푸르트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
→ ‘코흐레우스’ 라고 불린 요한 도브네크(1479~1552)
요한 도브네크(Johann Dobneck)는 벤델슈타인(안스바흐)에서 출생하여 쾰른에서 공부했으며 1510년에 뉘른베르크의 학교 교사가 되었다. 벤델슈타인(Wendelstein)이라는 지명이 문자적으로 ‘나선형 돌’이라는 뜻이어서 코흐레우스(Cochläus)라는 별명으로 더 많이 불렸다. 이탈리아로 여행을 다녀온 후 프랑크푸르트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
독일어 원문: Johann (Dobneck) genannt Cochläus (1479–1552)
Geboren in Wendelstein (Ansbach), studierte er in Köln und wurde 1510 Schulmeister in Nürnberg. Nach einer Italienreise wurde er Priester in Frankfurt am Main, [...]
• 인명과 그 ‘해설’을 바로잡았다.
• 아래, 독일어 발음 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246.
• 아래, 글을 참조할 것: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es_Cochl%C3%A4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