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많다고 젊은이보다

더 나은 스승이 될 자질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나이가 들면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기 때문이다.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와 교회의 밀착으로 많은 점이 달라졌다.

무엇보다도 교회가 나태해졌다.

사람들이 출석하든 말든 돈이 계속 들어오니

사제들이 애써 노력할 필요가 없었다.

둘째, 이 밀착으로 사람들은 종교를 ‘일종의 공공재’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제 정부가 알아서 할 테니 개개인이 교회를 지키기 위해 할 일이 없었다.

이런 태도는 교회에 기부하는 일을 꺼리게 했고

국고 보조를 받지 못하는 교파가 경쟁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했다.

그래서 독일 전도자들이 텔레비전 사역에 나섰을 때

시청자는 끌어들였지만 기부금은 끌어들이지 못했다.

종교는 공짜여야 한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로드니 스타크, 『우리는 종교개혁을 오해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크리스틴 다치필드 지음, 이규원 옮김 / 사랑플러스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어린 시절 만난 “나니아 연대기”에 푹 빠져서 이후 C. S. 루이스의 팬이 되었다는 레퍼토리는 꽤나 많다. 이 책의 저자 역시 그런 “나니아 키즈” 중 한 명이다. 현재(책을 쓸 당시)는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면서, 어린이를 위한 책을 많이 썼다고 하는 저자는, 나니아 연대기 중 가장 먼저 쓰인 “사자와 마녀와 옷장” 속 기독교적 메시지를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쉽게 가르치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냈다.


책 제목이 좀 혼동을 준다. 나니아 연대기 속 제목은 “사자와 마녀와 옷장”이고, 이 책에는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이라는 우리말 제목이 붙어 있다. “와”를 ,로 바꾼 건데, 그 위에 “C. S. 루이스의 눈으로 나니아 읽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긴 하지만 혼동 되는 건 마찬가지다. 그리고 부제의 내용도 좀 웃긴 것이, 애초에 나니아 연대기를 루이스가 썼다면, 당연히 그 작품은 루이스의 눈으로 쓰였고, 읽게 되는 것 아니던가.


참고로 영어 원제는 "A Family Guide To The Lion The Witch And The Wardrobe"이다. 가족이 함께 사자와 마녀 그리고 옷장을 읽는 데 쓸 만한 자료라는 의미 정도인데, 차라리 우리말 제목을 “온 가족이 함께 읽는 사자와 마녀와 옷장” 정도로 했으면 어땠을까?





책은 우선 루이스의 삶을 간단하게 조망하고, 나니아 연대기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들, 그리고 주요 등장인물 등을 소개하고, 본격적으로 “사자와 마녀 그리고 옷장”을 몇 개의 장으로 나눠 줄거리를 설명하고, 그와 연결되는 성경 구절을 소개한 후 몇 개의 질문을 덧붙이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이도는 딱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함께 읽고 나누기에 맞게 쉬운 수준이다. 당연히 나 같은 독자에게는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고, 탁월하다고 느낄 만한 통찰이 담긴 문장들을 찾지도 못했다. 물론 나름 관련된 성경 구절을 충실하게 찾아서 설명하고 있으니, 목적에 맞춰서 선택해 읽으면 될 일이다.(다만 절판이 되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는 휴전을 위해 어떤 대가를 지불하겠느냐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이상한 질문입니다.

여러분은 사랑하는 사람의 목숨을 위해 어떤 대가를 지불하겠습니까?

저는 우리나라 영웅들의 죽음을 막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 대가도 지불할 수 있습니다.

명성, 지지율은 물론이고

필요하다면 대통령 자리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제가 포기할 수 없는 단 하나는 우리의 영토입니다.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에서 온 메시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