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최진혁 사진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전반적으로 한강 작가의 소설이 쉽게 읽히는 것이 아니기에 이 책을 구매해놓고도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시처럼 읽힌다는 짧은 단락의 문장들이 어려울 것 같았다. 작가의 노벨상 수상으로 올해 그의 작품을 거침없이 읽어보고자 결심했기에 어쨌든 이 책도 시작해야했다. 심호흡을 하며, 책속의 문장들과 단단히 싸워보려고 했지만 생각보다 잘 읽혔다. 막힘없이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렸다.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는 편이기에 다른 사람들보다 세상을 더 다양하게 안다고 생각한다. 남들이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한 뼘 더 깊이 내려가 더 큰 의미를 알아내려 노력한다고 생각한다. 사람과 그들이 살아내는 인생을 이해할 수 있기에 내가 더 착하고 정의롭게 산다고 착각한다.
소설이라고 이름 붙여진 『흰』같은 존재들이 그런 나의 자만을 깨준다. 한강의 ‘흰’은 그 어떤 종류의 필터도 통하지 않고 과거와 사물, 인간을 직접 마주한다. 거기에서 인식하고 느낀 것들을 압축된 문장들로 표현한다.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안다. 깊이 있지만 애써 그것에 대한 의미를 찾기보다 가볍게, 천천히 읽으며 직관적 느낌으로 이 책을 읽는 것이 더 좋다. 작가는 ‘삶과 죽음이 소슬하게 배어 있는 흰(p.186)’이 담긴 글을 쓰기 원했다. 그러기에 이 책에는 작가의 경험과 죽음, ‘흰‘에 대한 마음이 들어있다.
내가 나고 자란 남쪽의 따뜻한 도시에는 눈을 거의 볼 수 없다. 눈이 내리면 도시가 마비될 정도이다. 어릴 때(아님 중학생 정도일 때) 많은 눈이 내려 그 도시가 하얗게 잠긴 적이 있었다. 아버지는 사진기를 꺼내 눈이 쌓인 여러 풍경과 흰 색을 배경으로 한 가족사진을 찍어주셨다. 지금도 그 사진이 남아있다. 집에서 입는 옷차림 그대로, 별 표정 없이 눈 위에 일렬로 선 나의 가족들이 있다. 나에게 ‘흰’은 색깔보다는 이미지와 직관으로 다가온다.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선명하기도, 흐릿하기도 한 연결고리이다.
딸아이를 낳기 전, 배내옷을 장만했을 때, 그 옷이 너무 작아 신기했었다. 이렇게 작은 것으로 어떻게 아기를 감쌀 수 있을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세상에 나온 아기는 배내옷보다 훨씬 작았다. 배내옷이 너무 커 어른 옷을 입은 아이처럼 보였다. 배내옷에 폭 파묻힌 생명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 눈물이 났다.
작가의 어머니는 혼자서 여덟 달 만에 첫 아이를 낳는다. 산달이 많이 남아 아직 아기의 배내옷도 준비하지 못했다. 어머니는 산통을 참으며 흰 천으로 배내옷을 만들고 강보로 쓸 홑이불을 꺼내놓는다. 태어난 지 2시간 만에 죽은 배내옷을 입은 아이를 바라보는 엄마의 심정이 어떨지, 얼마나 막막했을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 작가는 그때 아이가 살아있었다면, 혹시 자신이 이 세상에 나오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상황을 상상하며 폴란드의 바르샤바 거리를 걷는다. 죽은 아기가 살아있는 작가를 찾아오는 길에, 살아있는 아기가 작가대신 사는 삶에 자신의 희망과 웃음을 넣을지도 모른다.
[태어나 두 시간 동안 살아 있었다는 어머니의 첫 아기가 만일 나를 이따금 찾아와 함께 있었다면, 나로서는 그걸 알 길이 없었을 것이다. 그이에게는 언어를 배울 시간이 없었으니까. 한 시간 동안 눈을 열고 어머니 쪽을 바라보았다고 했지만, 아직 시신경이 깨어나지 않아 어머니의 얼굴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오직 목소리만을 들었을 것이다. 죽지 마. 죽지 마라 제발. 알아들을 수 없었을 그 말이 그이가 들은 유일한 음성이었을 것이다.
-p.32]
『소년이 온다』를 출간하고 작가는 아들과 함께 폴란드의 바르샤바로 떠난다. 그곳에서 걷고 또 걸으며 ‘흰’에 대해 생각하며 그것에 대한 글을 쓴다. ‘소년이 온다’의 도시와 바르샤바가 흰빛으로 연결되는 느낌이다. ‘흰’에는 왠지 슬픔이 느껴진다. 그럼에도 재건되고 복구되는 사물과 인간의 힘이 ‘흰’에 담겨있다.
흰 것에 대해 쓰겠다고 결심한 작가는 흰 것의 목록을 만든다. 그 중 ‘하얗게 웃다’라는 문장이 있다. 하얗게 웃는 것은 어떤 것일까? 백목련에 잠시 머물며 옛 친정집 정원을 생각했고, 백발에 나를 대입했다. 그리고 수의....엄마는 아버지와 당신의 수의를 미리 마련해 두셨다. 아버지에게는 옥색을, 거의 20년 후의 당신에게는 연분홍의 수의를 입혀 세상을 떠났다. 흰 수의가 아니라서 난 조금 덜 슬프게, 하얗게 웃으며 그들을 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스토리를 따라가지 않아도 되는 소설을 읽었다. ‘흰’을 주제로 한 각 제목에 짧게 씌여진 문장을 읽으며 천천히 쉬어갈 수 있었다. 이 책은 직관의 묘미가 가득하다.
[몇 년 전 대설주의보가 내렸을 때였다. 눈보라가 치는 서울의 언덕길을 그녀는 혼자서 걸어올라가고 있었다. 우산을 썼지만 소용없었다. 눈을 제대로 뜰 수가 없었다. 얼굴로, 몸으로 세차게 휘몰아치는 눈송이들을 거슬러 그녀는 계속 걸었다. 알 수 없었다. 대체 무엇일까. 이 차갑고 적대적인 것은? 동시에 연약한 것, 사라지는 것, 압도적으로 아름다운 이것은?
p.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