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빵과 시 ㅣ 일상시화 7
안미옥 지음 / 아침달 / 2025년 6월
평점 :
시집을 산다. 시를 읽는다. 그냥 읽는다. 끌리는 대로 읽다 꽂히는 시가 있으면 메모한다. 알 것 같기도 모를 것 같기도 한 시. 그런 모호함이 좋다. 소설에도 모호함이 있지만. 왠지 모호와 난해는 시와 잘 어울리는 것 같다. 시인 안미옥의 에세이 『빵과 시』는 시를 쓰는 마음, 시를 준비하는 마음을 빵과 연결시켜서 보여준다. 시를 좋아하는 이라면, 아니 빵을 좋아하는 이라면 반가고 기꺼울 책이다. 일상이 시가 되는 순간, 아침달 시리즈 ‘일상시화’의 마지막이라니 아쉽다.
시인은 시를 언제 쓸까, 떠오르는 시상을 어떻게 붙잡을까. 시어에 숨겨진 시인의 의도는 무엇일까. 시인의 에세이를 읽을 때마다 따라오는 생각이다. 시를 써야지 준비하면 바로 시를 쓸 것 같은 생각은 독자의 오만이다. 단 번에 시가 되고 단 번에 소설이 될 수 없으니까. 그러니 아무 말이나 쓴다는 시인의 글은 괜히 반갑다. 아무것도 아닌 나도 뭔가 쓰려고 하면 시간이 필요하니까. 시간을 정해두고 그 안에 쓰려고 노력하니까. 쓴다는 건 쉬우면서도 어렵다는 건 모두에게 같다는 게.
시를 쓰기 전에 한글 창을 켜고 시간을 정해둔 뒤 아무 말이나 쓴다. 일종의 모드 전환을 위해 쓸 준비를 하는 것이다. 시의 주제와 상관없이 워밍업의 시간은 늘 필요하다. (33쪽)
『빵과 시』이라는 제목답게 시인은 빵을 좋아한다. 좋아하는 빵, 자주 가는 카페, 친구들과의 만남, 동네책방에 대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빵을 좋아하는 이라면 빵 이름이 나올 때마다 그 모양과 맛을 떠올릴 것이다. 잘 모르는 빵이 등장하면 나는 검색을 했다. 아, 이런 빵이구나. 시인이 좋아하는 카페가 나오면 나는 또 검색을 했다. 내가 모르는 공간, 한 번도 간 적 없고 앞으로 방문할 일이 없을 공간, 그리고 그곳에서 바깥 풍경을 바라보는 시인을 상상했다. 「이혜와 서울」란 이름의 카페는 오래도록 잊지 않을 것 같다. 알지 못하는 곳을 향한 어떤 그리움까지 생겼으니까.
빵은 어디에나 있다. 빵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또 가장 멀리 있는 형태로. 손 닿을 곳에. 마음 닿는 곳에. 시가 그러한 것처럼. (62쪽)
가만가만 시를 생각하고 시를 쓰는 일상 속에서 마주하는 아이의 정직한 마음은 웃음과 감탄을 불러온다. 빵과 시에 대한 글을 쓴다는 엄마에게 관심을 보이고 천변의 돌 다리를 건너며 멋지게 해야겠다고 생각하면 그 생각이 행동으로 나온다는 아이. 좋은 시를 쓰고 싶다는 시인의 바람은 생각하면 생각이 밖으로 나오고 문장이 다음 문장을 쓸 수 있게 만든다고 이어진다. 시인처럼 좋은 시와 문장을 쓰는 삶은 아니지만 생각이 행동으로 나온다는 걸 잊고 있었구나 돌아보게 된다.
시는 흐르고 있는 것일까. 멈춰 있는 것일까. 흩어지는 것일까. 가라앉아 있는 것일까. 사라진 것일까. 새겨진 것일까. 어떤 시는 투명한 상자 안에 서 영원히 흐르고 있는 모래바다 같다. 가라앉으면서 흐르는. (83쪽)
시인에게 모든 건 시로 연결되는 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글을 읽기 전까지는 시인이 원하는 시와 독자가 어떻게 읽어주기를 바라는지 몰랐다. 모든 시에는 괴로움이 있고 괴로움은 질문을 발생시키고 삶과 고통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그런 마음은 당근을 먹으면서 당근 케이크를 생각하고 자꾸 씹히는 당근 조각 같은 시로 이어진다. 세상의 모든 시가 품은 괴로움은 시인이 시를 쓰며 넣어둔 씨앗은 아닐까.
시 앞에서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는 것만큼 사람 앞에서도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고 싶다. 동물 앞에서도, 생활 앞에서도.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부끄러운 일 앞에선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생활 없이, 이웃 없이, 사랑 없이, 반성 없이는 시도 없고 시인도 없다. (139~140쪽)
빵이 좋아서, 시가 좋아서 만난 책. 시가 더욱 궁금해졌다. 바게트빵을 상어라 생각하는 아이를 키우고 유서를 편지처럼 보낸 엄마에게 말하지 못하고 쓰는 사람이 된 시인. 그 마음이 시가 되어 나와 닿았을 순간. 시를 읽는 건 누군가의 마음을 읽는 일이고 고통을 읽는 일이고 헤아리는 일이다. 다 알지 못하고 알 수 없어 오독하며 시를 읽는다.
사람이 자라면 눈물도 더 크게 자란대 다들 이걸 어떻게 감추고 살까 매일 한 뼘씩 커지는 눈을 어디에 묻어두고 있는 걸까 잘 기억나진 않지만 나는 거울 속에 감춰둔 것 같다 그래서 거울을 볼 때마다 울 것 같은 기분이 되나봐
너는 빵 속에 숨겨두었지? 그래서 울고 싶을 때마다 빵을 먹잖아 부드러운 빵이 더 좋을 것 같은데 너는 매번 딱딱한 빵을 먹는다 잘 씹히지도 않는 빵을 오래 씹을수록 단맛이 난다고
(시 「적란운 위에 쓴 편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