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그런데 엘레오노라는 일찍부터 꿈과 환상으로 괴로워하는 예민한 성격이어서 바로크 양식의 화려한 궁정생활에 거부감을 느꼈다.(214)

 

그런데 엘레오노라는 일찍부터 꿈과 환상으로 괴로워하는 예민한 성격이어서 바로크 양식의 천박한 궁정생활에 거부감을 느꼈다.

 

독일어 원문: [...], wo ihre sensible, von Träumen und Visionen früh beunruhigte Natur durch das oberflächliche Treiben des barocken Hoflebens abgestoßen wurde.

 

번역을 바로잡았다.

 

oberflächlich = 표면의, 피상적인, 천박한

 

https://www.dwds.de/wb/oberfl%C3%A4chlic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이와는 대조적으로 남편 요한 빌헬름 페테르젠이 자신의 자서전에 54편의 인쇄된 원고와 104편의 인쇄 준비 원고를 실은 것은 보통 정통주의적인 학문의 후예처럼 보인다.(214)

 

이와는 대조적으로 남편 요한 빌헬름 페테르젠이 자신의 자서전에 54편의 인쇄된 원고와 104편의 인쇄 준비 원고를 열거한다. 이는 바로크적 다작(多作) 정통주의적인 학문의 후예처럼 보인다.

 

독일어 원문: Demgegenüber wirkt der Mann mit seiner barocken Vielschreiberei er zählt in seiner Autobiographie 54 gedruckte und 104 druckfertige Manuskripte auf wie ein Nachfahr der orthodoxen Schulgelehrsamkeit.

 

빠진 번역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in seiner Autobiographie aufzählen

 

= 자서전에서 열거하다

 

https://www.dwds.de/wb/aufz%C3%A4hl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쉬츠는 유대교의 카발라에 친숙해졌다. 그는 로젠로트와 함께(212)

 

쉬츠는 유대교의 카발라에 친숙해졌다. 쉬츠는 이로써 자기 제자 크리스티안 펜데와 그의 카발라 저작들을 통해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외팅어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로젠로트와 함께

 

독일어 원문: [...] wurde er mit der jüdischen Kabbala vertraut. Über seinen Schüler Christian Fende und dessen kabbalistische Schriften nahm er damit Einfluß auf Friedrich Christoph Oetinger. Mit Knorr von Rosenroth [...].

 

빠뜨린 번역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카발라 데누다타(Kabbala denudata, 1678. [...])의 인쇄를 도운 로젠로트를 통해 쉬츠는 유대교의 카발라에 친숙해졌다.(211-212)

 

로젠로트의 카발라 데누다타(Kabbala denudata, 1678. [...])의 인쇄를 쉬츠는 도왔고, 로젠로트를 통해 쉬츠는 유대교의 카발라에 친숙해졌다.

 

독일어 원문: Durch Christian Knorr von Rosenroth, dem er beim Druck seiner „Kabbala denudata“ (Band 2, Frankfurt a.M. 1678) behilflich war, wurde er mit der jüdischen Kabbala vertraut.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그리스도인의 생활 규칙(Christlichen Lebensregeln)에서 쉬츠는 칭의’(Rechtfertigung)라는 개념을 의로움’(Rechtschaffenheit)으로 대체했다.(211)

 

그리스도인의 생활 규칙(Christliche Lebensregeln)에서 쉬츠는 칭의’(Rechtfertigung)라는 개념을 의로움’(Rechtschaffenheit)으로 대체했다.

 

독일어 원문: In seinen „Christlichen Lebensregeln“ (Frankfurt a.M. 1677) hatte Schütz den Begriff „Rechtfertigung“ durch „Rechtschaffenheit“ ersetzt.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