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두 사람은 필라델피아협회에 가입하기도 했다. 1705년에 협회의 대리인인 디트마르(Dittmar, N.)가 독일로 건너와 급진적 경건주의자들 사이에서 회원을 모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250)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두 사람은 필라델피아협회에 가입하기도 했다. 1705년에 협회의 대리인인 디트마르(Johann Dittmar)가 독일로 건너와 급진적 경건주의자들 사이에서 회원을 모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Beide traten, wenn auch wohl nur kurzzeitig, der „Philadelphischen Sozietät“ bei, deren Agent Dittmar 1705 Deutschland bereiste und unter den radikalen Pietisten Mitglieder warb.

 

번역자의 인명 정보를 바로잡았다.

 

Dittmar = Johann Dittmar

 

아래, 자료를 볼 것: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4, Grand Rapids 2005, 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뵈메의 전통에서 비롯되고 중세 프란치스코회의 영적 교회사상에 의해 준비된 종말의 이상적인 영적 공동체에 대한 아이디어는 17세기 내내 초교파적 사회를 설립하려는 다양한 계획의 기초가 되었으며[파울 펠겐하우어, 요한 페르마이어(Johann Permeier)], 특히 영국에서 비옥한 토양이 형성되었다.(1680년 펜실베니아의 수도 필라델피아의 명칭을 참조하라.)(249)

 

뵈메의 전통에서 비롯되고 종말적 영적 교회라는 중세 프란치스코회의 이념에서 준비된 종말의 이상적인 영적 공동체에 대한 사상은 17세기 내내 초교파적 사회를 설립하려는 다양한 계획의 기초가 되었으며[파울 펠겐하우어, 요한 페르마이어(Johann Permeier)], 이 사상은 특히 영국에서 비옥한 토양에 떨어졌다.(1680년 펜실베니아의 수도 필라델피아의 명칭을 참조하라.)

 

독일어 원문: Der aus der Tradition Jakob Böhmes stammende, in der mittelalterlich-franziskanischen Idee einer endzeitlichen Geistkirche vorbereitete Gedanke einer philadelphischen Gemeinde der Endzeit lag den mancherlei Plänen zur Gründung überkonfessioneller Sozietäten während des ganzen 17. Jahrhunderts zugrunde (Paul Felgenhauer, Johann Permeier). Er fiel vor allem in England auf fruchtbaren Boden (vgl. die Benennung der pennsylvanischen Hauptstadt „Philadelphia“ 1680).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이 용어는 공적인 교회생활을 포함한 세속적 삶에서 벗어나 사적이고 가정적인 형태의 종교적 실천으로 들어온 경건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부흥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분리주의 경건주의자들을 가리키는 적절한 표현으로 남아 있었다.(249)

 

이 용어는 공적인 교회생활을 포함한 세속적 삶에서 벗어나 사적이고 가정적인 형태의 종교적 실천으로 들어온 경건한 사람들의 자칭(自稱)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부흥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분리주의 경건주의자들을 가리키는 적절한 표현으로 남아 있었다.

 

독일어 원문: Als Selbstbezeichnung für die sich vom weltlichen Leben, auch vom offiziellen Kirchentum in die Sphäre privater häuslicher Religionsausübung zurückziehenden Frommen bleibt er treffendes Kennzeichen für die separatistischen Pietisten bis zur Erweckungsbewegung des 19. Jahrhunderts.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페테르젠 부부와 아놀[]는 이를 외적으로 대중 가운데서 세례를 받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숨어 있는, 성령의 기름 부음을 받은 참된 그리스도인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했다.(249)

 

페테르젠 부부와 아놀[]는 이를 외적으로 세례를 받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들의 무리 가운데 숨어 있는, 성령의 기름 부음을 받은 참된 그리스도인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했다.

 

독일어 원문: Die beiden Petersen und Gottfried Arnold verwandten den Begriff für die unter der Masse der äußerlich getauften Namenschristen verborgenen, vom Heiligen Geist gesalbten, wahren Christen.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1689년의 관용령(寬容令, Toleration Act) 후에 앵글로색슨 지역에서는 17세기 이후 새로운 종교공동체와 새로운 교회(장로교, 회중교회, 퀘이커교, 침례교, 감리교)가 국가교회로부터 분리되어 계속 생겨났다.(248)

 

앵글로색슨 지역에서는 17세기 이후 새로운 종교공동체와1689년의 관용령(寬容令, Toleration Act) 후에새로운 교회(장로교, 회중교회, 퀘이커교, 침례교, 감리교)가 국가교회로부터 분리되어 계속 생겨났다.

 

독일어 원문: Während im angelsächsischen Raum seit dem 17. Jahrhundert durch Separation von der Staatskirche ständig neue religiöse Gemeinschaften und, seit der Toleranzakte von 1689, neue Kirchen entstehen (Presbyterianer, Kongregationalisten, Quäker, Baptisten, Methodisten), [...].

 

번역을 바로잡았다.

 

문장 구조와 시간 순서에 주의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