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엔 6월 4일, 2024년도엔 6월 3일 첫 수확을 했던 블루베리. 올해는 5일 정도 늦어진 6월 8일에야 첫 수확에 나섰다. 5월 아침 기온이 10도 아래로 계속 내려가면서 저온으로 인해 수확시기가 다소 늦어진 모양새다. 



올해는 블루베리 알의 크기를 좀 더 키우기 위해 가지 전지도 강하게 했고, 열매 숫자도 다소 조정을 했다. 확실히 지난해 보다 전체 열린 갯수는 적어진 듯 보이지만, 크기는 조금 더 커 보인다. 특히 시험삼아 한 줄기에 한 화방만 남겨두고 나머지 화방은 다 제거해버린 곳은 알의 굵기가 두 배는 큰 듯하다. 화방 수를 2~3개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확실히 좋아 보인다. 좀 더 과감하게 두 개 정도만 남겨 놓는 방식으로 열매솎기를 해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나무의 세력을 좀 더 키워야 전체 분량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작은 열매를 따는 것은 손도 많이 갈 뿐더러, 블루베리를 먹는 사람 입장에서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품종 자체가 알이 굵어야 하겠지만, 같은 품종이라 하더라도 열매를 어느 정도까지 솎아주는지가 굵기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블루베리잎은 30% 가까운 나무가 누런색을 띠고 있다. 아무래도 토양 산도가 중성쪽으로 변한 모양이다. 유황입제를 뿌려 주긴 했지만, 5월 초에 뿌리다 보니 다소 늦어 보인다. 유황이 분해되어 토양의 산도를 조정해주는데 까지 2개월 이상은 걸린다고 보았을 때 4월 초에는 뿌려줬어야 했다. 여름이 지나고서도 잎이 노란 것들은 올해 추가로 유황을 투입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루베리밭 가장자리에는 뽕나무가 한 그루 있다. 주위에서 없애라고 한 것을 일부러 놔 둔 것이다. 1석 3조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봄에 나는 뽕잎은 따서 나물로 먹으면 정말 맛있다. 두번째로는 블루베리가 익을 때쯤 오디도 익어가는데, 이것으로 새를 유인하기 위해서다. 즉 블루베리 먹지 말고 오디를 먹으라고 유혹하는 것이다. 세번째로는 오디를 직접 따서 잼을 만들어 먹는 것이다. 



올해는 뽕잎나물을 많이 해 먹지 못했다. 풀을 베느라 뽕잎 따는 것을 한 번 밖에 하지 못해서다. 뽕잎을 따서 먹으면 한여름 뽕잎이 너무 많아져 병이나 벌레가 많이 꼬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좋다. 


올해도 오디는 흐드러지게 열렸다. 뽕나무를 놔 둔 두번째 목적이 좋은 효과를 보아야 할 터인데, 실제론 참새들의 은신처가 되는 듯하다. 오디를 먹는 측면도 있지만, 몸을 숨기는 목적으로 뽕나무를 찾아오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든다. 



참새가 먹고도 남을만큼 오디가 많이 열렸기에, 나도 조금 챙겨 먹는다. 더 많이 챙길 수도 있겠지만, 오디를 따는 일도 꽤나 품이 많이 든다. 일일이 손으로 하나씩 따야 하기에 꽤 귀찮은 일이다. 참새와 나눔도 목적이지만 오디 따는 일에 힘을 다 쓸 수는 없기도 해서 한 바구니 정도만 수확한다. 이 정도만 수확해도 잼으로 만들면 2리터 정도는 거뜬히 나온다.



오디는 믹서로 갈아서 곱게 만든다. 잼을 먹을 때 취향에 따라서 가는 정도를 맞추면 된다. 열매가 씹히는 것을 좋아한다면 짓이기는 정도로, 부드러움을 좋아한다면 주스를 만들듯이 갈아주면 된다. 개인적인 취향은 이 중간 정도여서, 믹서기로 얼음을 분쇄하는 정도로만 갈았다. 



여기에 설탕을 오디의 8할 정도 부어준다. 설탕을 부어주면 물이 생기면서 흡사 젤리같이 되는데, 이렇게 된 것을 냉장고에 넣고 하루 정도 숙성시켜 준다. 




숙성된 오디즙을 후라이팬으로 옮겨 졸여준다. 15분 정도 졸인 후 레몬즙을 조금 첨가하고 다시 10여 분 더 졸여준다. 



물로 끓여서 소독한 유리병에 뜨거운 잼을 옮겨 담으면 만들기 끝. 보리수잼에 이어 오디잼까지. 올해는 잼이 풍년이다. 블루베리 단골손님과 친구들에게 선물로

나눠주기에도 족할 만큼 만든 듯하다. 품은 많이 들지만 만들어 놓고 보면 기분이 좋아지는 잼 만들기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올해 보리수나무에 꽃이 엄청 피더니, 열매도 풍성하게 달렸다. 요 몇 일 날이 뜨겁다 보니 하루 이틀 사이 열매들이 빨갛게 익어 눈길을 끈다. 



아직 블루베리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았을 때 얼른 다른 일을 하는 것이 좋겠다 싶어 보리수 열매를 땄다. 



빨갛게 다 익은 것들만 땄는데도 양이 상당히 많다. 절반 정도는 아직 덜 익었기에 놔 두었는데, 부지런을 떨지 않는다면 아마도 다 익었을 때도 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수확한 보리수 열매는 잼을 만들 생각이다. 지난해 500미리 정도 한 병 되는 분량을 만들었는데 맛이 정말 좋았다. 약간 새콤한 보리수 열매가 잼으로 만들어 먹기에는 제격이었다. 하지만 보리수 열매 잼은 품이 제법 많이 든다. 



먼저 보리수 열매를 성긴 체에 짓이겨서 과육을 분리해 낸다. 보리수 열매는 씨앗이 제법 커서 씨앗을 잘 걸러내야 한다. 



체에 짓이겨 분리해 낸 과육은 수분이 상당히 많다. 여기에 설탕을 더해 녹여내 시럽을 만든다. 수분이 많아서 불을 때지 않아도 금새 녹는다. 



시럽 상태의 과육을 한 시간 가량 졸인다. 이때 이삼십 분 쯤 졸였을 때 레몬즙을 첨가하면 좋다. 수분이 많다 보니 다른 열매 잼을 만들 때보다 훨씬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한 시간 넘게 졸여도 진득할 정도는 되지 않고 흘러내릴 정도의 잼이 된다. 마냥 더 졸일 수는 없어서 이 정도에서 만족한다. 진득진득한 잼을 좋아한다면 최소 30분 이상은 더 졸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졸인 잼은 끓는 물에 소독한 병에 담는다. 그리고 뚜껑 쪽으로 뒤집어 놓는다. 밀봉을 위한 전통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지난해에는 그냥 담아 두었다가 식은 후 냉장고에 넣었다. 큰 문제는 없었지만, 올해는 다른 시도를 해 보는 것이다. 보관기간이 혹시 더 길어질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올해는 잼병이 3개가 넘는다. 지난해 너무 일찍 다 먹어 치워서 살짝 아쉬운 감이 있었는데, 올해는 이렇게 3병이나 만들어 놓으니 뿌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6월 5일 맑음 11도~28도


열흘 가까이 비가 안 오고 있다. 옆 마을에만 해도 소나기가 쏟아지곤 했는데. 지하수량이 많지 않아서 물을 흠뻑 주지는 못하고 목마름이 가실 정도로 조금씩 블루베리에 주었다. 물을 주면서 살펴보니 아직 완전히 익지 않은 블루베리 열매를 새들이 벌써 찾아와 쪼아 먹은 흔적들이 보인다. 블루베리가 익는 시기는 1주일 넘게 뒤로 늦춰졌는데, 새들이 찾아오는 시기는 1주일 더 빨라진 셈이다. 즉 2주 정도 새 피해가 빨리 시작된 셈이다. 



새들도 맛있는 것은 알아서 굵은 것들만 쪼아 먹는다. 또 쪼아 먹기 위해 열매에 앉는 바람에 발 자국이 열매에 남아 결국 한 개를 쪼아 먹더라도 두 개의 열매가 피해를 입는 꼴이 된다. 



방조망 이외에는 새 피해를 막을 마땅한 방법이 없다. 하지만 방조망 설치에는 비용이 크게 들어가 주저하게 만든다. 또한 폭설이 내리게 되면 방조망도 주저앉아 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올핸 회전하면서 반짝이는 물건과 소리를 내는 도구를 사용해 보기로 했다. 태양광으로 충전이 되어 대여섯가지 소리를 내고, 바람이 불면 회전하는 바람개비 형식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달려 있다. 큰 효과를 바라지는 않지만, 그래도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무력감보다는 무엇인가 해 보았다는 마음의 충족을 위한 선택인 셈이다. 


이 도구를 설치하고 가만히 지켜보니, 갑자스러운 소리에 놀라 도망가는 새도 있는가 하면,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주위를 어슬렁거리는 새들도 있다. 완전히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닌 셈이다. 그렇다고 실질적인 효과를 보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나은 셈이니 추가 비용없이 10% 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에 심리적 만족감을 느낀다. 


하지만 문제는 만족감과는 별도로 새가 더 먹기 전에 빨리 거두어 들어야 겠다는 조급함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자꾸 빨리 수확해야 겠다는 마음 탓에 완전히 익지 않은 열매를 따곤 한다. 하루 이틀 정도만 더 기다리면 되는데, 그 사이에 새들이 쪼아먹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조급함을 부른다. 내가 다 차지하겠다는 욕심이 달디 단 블루베리가 아닌 신 맛 가득한 블루베리를 따게 만든 것이다. 


기다리자. 새가 다 먹는 것이 아니라면, 새들에게도 조금 나누어 준 셈 치고 기다리자. 완숙을 위해서는 조급함을 버리고 느긋함과 지긋함을 지녀야 함을 새삼 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루베리 삽목 13주차. 이제 뿌리가 나올 것은 다 나온 듯하다.



잎이 풍성하지 않고 조금 나온 삽수를 꺼내 보니 실뿌리가 나 있는 것이 보인다. 가지에 잎이 나온 것들은 이제 뿌리가 다 나왔다고 판단된다. 아직까지 끝내 잎을 내지 못한 것들은 뿌리내림에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다음주 쯤 잎이 나지 않은 삽수를 뽑아봐 확인해 봐야 겠다. 생과 사가 결정된 시기인 셈이다. 


6월에 접어들면서 잎이 나고 뿌리가 내린데다 한낮 햇볕이 쨍 하니,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 관리를 더 신경 써야 한다. 이전까지 3~4일에 한 번 꼴로 물을 줬었는데, 이젠 2~3일에 한 번은 물을 주고 있다. 한여름 무럭무럭 자라서 뿌리를 잘 내려주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