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4월 28일 맑음 5도~22도


블루베리잎이 노란 기운을 넘어 보라색에 가까운 것들이 보인다. 올 봄 날씨가 오락가락한데다, 최근 아침 기온이 평년보다 낮은 2~5도 정도를 보인 영향이지 않을까 싶다. 



만약 이런 경우라면 아침 날씨가 올라가면 자연스레 녹색을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아침 기온이 낮은 탓이 아니라면 토양산도가 맞지 않아서일 수도 있다. 산성을 좋아하는 블루베리이기에 토양이 중성 또는 알칼리성이 된다면 아무래도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다. 혹시 이런 경우가 아닐까 싶어 유황을 주문해 놓았다. 이래저래 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기도 하다.



블루베리꽃이 향기가 강하지 않지만 벌들에겐 꽤 유혹적인 모양이다. 꿀벌들이 이곳저곳에서 윙윙 거린다. 블루베리꽃에 몰려든 꿀벌들을 보고 있으면 흐믓해진다. 꿀벌 덕에 열매가 맛있어질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다. 듀크라는 품종이 자가수정이 되지만, 그래도 벌들이 수정을 해 주면 더 낫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다. 보다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다른 품종이 섞여 있으면 좋을 것이다. 현재 챈들러와 선라이즈 등이 심겨져 있기도 하지만, 이번 겨울에 많이 죽어서, 내한성이 강한 다른 품종을 몇 그루 더 심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낮은 아침 기온 탓인지, 모종이 불량인지 모르겠지만 이틀 전에 심은 고추 모종이 시들시들하다. 냉해를 입은 것인지, 약한 모종인지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성 싶다. 다시 기운을 차린다면 냉해를 이겨낸 것일테고, 그대로 시들어 죽는다면 모종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부디 차가운 아침 바람을 이겨내고 다시 씩씩해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7일 맑음 5도~25도


밭 이곳저곳의 풀이 제법 자랐다. 지난해에는 5월 1일 첫 예초기를 돌렸는데, 올해는 4일 정도 이르다. 뭐, 이정도면 이르다고 할 것도 안되지만. 

지난해 예초기를 돌릴 때는 풀의 키가 블루베리에 버금 갈 정도로 자란 것도 있었다. 올해 블루베리밭의 풀은 그 정도까지는 자라 있지 않다. 지난해 몇 번 깔끔하게 예초기를 돌린 영향인지도 모르겠다. 



먼저 왔다갔다 자주 다니는 길 위주로 예초기를 돌렸다. 충전식 예초기는 올해가 3년 차인데 아직까지 큰 문제 없이 잘 쓰고 있다. 다만 밧데리 사용 시간이 조금 줄어든 듯 느껴진다. 처음엔 완충했을 때 1시간 가까이 썼는데, 지금은 40~45분 정도 쓸 수 있는 듯하다. 날이 아닌 줄로 하면 시간이 더 줄어 30여분 정도 쓸 수 있다. 줄을 감아주고 빼주는 자동동태가 고장이 나서 새로 주문을 했다. 



길 중심으로 깎고 시간이 조금 나서 블루베리밭도 풀을 베 주었다. 올해도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됐음을 실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6일 맑음 2도~24도


하루 일교차가 20도를 넘는다. 아침 최저 기온이 2~3도다. 아직까지도 냉해 걱정을 해야하는 날씨다. 오전 기온이 조금 올라간 시간을 택해서 농약사에서 사 온 아삭이 고추, 일반고추, 오이, 참외 모종 3개씩을 심었다.



먼저 모종을 심을 밭을 정리했다. 풀이 너무 무성해서 무경운을 하더라도 풀은 뽑아줘야 할 듯 싶다. 



밭을 갈지는 않고 풀만 뽑은 후 모종을 심을 자리만 호미로 팠다. 



그리고 모종 별로 3개 씩 4줄에 걸쳐 심었다. 



원래 수박도 심으려고 했는데 농약사에서 관리를 잘 하지 못해서 모종이 냉해를 입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음 주에 다시 들러 모종을 구입해 심을 계획이다. 


2주 전에 심었던 브로콜리, 양배추, 상추 모종은 밭에 잘 정착하고 있는 듯 보인다. 다만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날씨 탓인지 쑥쑥 크지는 못하고 있다. 연한 잎에 벌레가 몰려들면 어떨까 걱정했는데, 아직까지는 벌레 피해도 보이지 않는다. 



블루베리로 바빠지기 전까지 잘 관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루베리 삽목을 한 지 8주 차가 됐다. 지난 주 베란다에 두었던 화분을 밖으로 내 놓은 지 1주일이 지났다. 아침 기온이 3도 정도까지 떨어지면서 약한 엽채류는 냉해를 입을 정도였다. 아직 뿌리를 제대로 내리지 않은 블루베리 삽지도 냉해를 입었을까 걱정됐지만, 다행히 눈으로 보기엔 해를 입은 것이 보이지 않는다. 



그늘막이 해가 떠 있는 12시간 내내 그늘을 만들어주는 것은 아니다. 통기를 위해 아래 쪽을 열어 두었기에 해가 들치는 시간이 있다. 그래서 한쪽은 아침해를 받고 다른 쪽은 오후 느즈막한 해를 받는다. 둘 간의 차이가 발생할 것인지는 좀 더 두고 보아야겠다. 아무튼 지금까진 큰 문제 없이 자라고 있는 듯 보여진다. 다만 뿌리가 아직 잘 내리고 있지 않아서, 발근제를 조금 뿌려줘야 되는 것은 아닐까 고민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23일 맑음 11도~24도


아니나 다를까. 비 온 뒤 두릅은 잎을 활짝 폈다. 그나마 방금 잎을 핀 것들이라 먹기에는 질기지 않을 듯하다. 이렇게 잎을 펴 버렸으니 오늘 작은 잎들을 수확하고 나면 더 이상 먹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올해의 마지막 개두릅 수확이라고나 할까. 충분히 수확해서 나물로 무쳐 먹어야겠다. 



오미자도 꽃을 피우려 한다. 지난해 겨우 500그램 정도 수확했는데, 올해는 좀 더 많이 수확할 수 있다면 좋겠다. 현재까지 꽃이 핀 것으로 보아 지난해 보다는 배로 수확이 늘어날 듯 싶다. 



아스파라거스는 눈 깜짝할 새 쑥 자라 있었다. 잎들이 펴기 전에 수확을 해야 먹을 수 있는데, 서둘러야겠다. 그런데 아스파라거스가 통통하지 않고 가느다라면서 길게 자란다. 원인은 질소가 많거나 종근을 깊게 묻지 않아서 인듯하다. 지금 상황에서는 흙을 더 올려주는 북주기를 해 주면 나아지지 않을까 싶은데, 다소 늦은 감이 있다. 올 가을 쯤 북주기를 해야겠다는 다짐만 한다. 



대여섯 개 수확한 아스파라거스는 고등어를 구울 때 함께 구웠다. 연한 것은 생으로도 먹었다. 가느다랗고 길게 자란 것이 연할 듯 하지만 오히려 더 질기다. 통통하게 자란 것이 먹기에도 더 좋다. 



아스파라거스는 몇 번 더 수확이 가능할텐데, 될 수 있으면 길게 자라지 않을 때 얼른 얼른 수확할 필요가 있다. 매일 둘러보고 하나 둘씩 따면 좋을 성 싶다.   


올해 보리수는 꽃이 엄청 많이 피었다. 벌들이 몰려 들어 웅웅 거린다. 이렇게 꽃 핀 것들이 모두 열매가 된다면 보리수 열매가 엄청 많이 열릴 듯하다. 지난해 잼으로 만들어 먹었더니 별미였는데, 올해도 잼으로 만들어서 실컷 즐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