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이 걸작인 이유는 수도 없이 많을 것이다.

크누트 함순 아닌가. 

무려, 노벨문학상.

무려 자전적 소설.

빈농의 아들로 15세 때부터 거리로 나섰던.


이름을 알 수 없는 '나'는 배고픔에 거리로 나선다.

집에 아무것도 먹을 게 없어서.

수중엔 돈도 없고.

전당포에 잡힐 건 다 잡혔다.

누군가에게서 얻은 초록담요와 안경뿐.


업은 그럴싸하다.

신문에 글 내는 자유기고가.


딱, 함순 자신의 이야기다.


글이 채택되면 몇 푼 얻는다.

신문사로 글을 내러 가는 중에 참 여럿을 만난다.

지겹도록 만난다.

만나는 인간들이 하나같이 배고픈 자들이다.


'나'는 '배고픈 주제에' 또 그들을 돕고 싶어 안달이다.


그 바람에 '나'의 굶주림은 계속되고

배채우기는 지연된다.


제발 밥, 좀 먹자.


기다리다 소설 읽던 내가 배고파 지칠만하면 '나'의 손에 돈이 들어온다.

그거로 배를 채운다.


그러고 나면 그 다음장은 또 이내 며칠이 흐르고 '나'는 또 배가 고프다.


이 명작의 명작 포인트는 바로 이 '지연'과 '충족'의 기막힌 타이밍.

독자가 소설을 읽는 속도를 타이머로 잰 듯, 정확하다.


소설을 읽어보라.


배가 고플 것이다.

배가 고파지는 지점에서 배 채울 '구원'을 만날 것이다.


소설 속의 '나'처럼.


당신은 독자가 아니라 '나'가 된다.

함순이, 된다.


나는 온 나라에서도 비길 데 없는 머리와 하역 인부라도 때려눕히고 콩가루로 만들 만한 두 주먹을 가지고 있다(신이여 용서하소서), 그런데도 크리스티아나 도시 한복판에서 인간의 모습을 잃을 정도로 굶주리고 있다. 거기에는 어떤 의미라도 있는 것일까, 아니면세상의 질서와 순서가 그런 것인가? (137p)


*명작모멘트


굶주리다가 노숙자로 위장하고 경찰서에 찾아 들어가 노숙자 숙소에서 밤을 보내는 '나'.

특별한 암흑 속에서 기묘한 어둠을 만난다.

그러자 어처구니 없는 생각들이 머릿속에 들어차면서 물건 하나하나가 두려워진다.

잠을 이루지 못한다.

모든 소리가 예리하게 들린다.

그러다 '나'는 새로운 단어를 하나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쿠보아.


암흑 속에서 그 단어가 눈앞에 선명하게 보인다.

'나'는 즐거워서 웃는다.

'나'는 굶주림으로 인하여 완전히 광기에 이른다.

텅 빈 상태가 되면서 괴로움도 느끼지 않는다.

생각의 고삐를 놓으면서 떠오른 그 신조어.


쿠보아.


죽을 떄까지 잊지 못할 명작 모멘트.

크누트 함순의 '굶주림'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 비평사 읽기 - 괴테부터 루카치까지
임홍배 지음 / 길(도서출판)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걸려 읽게 될 줄 알면서, 혹은 아예 도전 못하게 될 줄 알면서, 혹은 책꽂이 구석 깊은 곳으로 밀어넣게 될 줄 알면서, 사고 마는 책. 이런 책. 이렇게 말을 해놨으니, 오기가 발동해서라도 꼭 읽어 보고야 말 책. 읽어야 할 책. 저자의 연륜에 절로 숙여지는 고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 유령 - 폭력의 시대, 불가능의 글쓰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W. G. 제발트 지음, 린 섀런 슈워츠 엮음, 공진호 옮김 / 아티초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로 이런 책이다. 작가의 의도를 한 줄이라도 이해할 수 있다면 ‘하느님, 감사합니다‘ 할. 제발트의 소설은 단 한 단락도 이해하지 못했다. 텍스트만 이해했다. 제발트의 소설을 전부 이해할 수 있다면 난 훌륭한 작가가 되어 있을 거라 장담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그는 나의 꾸준한 스승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 한 번의 삶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겐 좀 쓰잘데기 없는 신조가 하나 있었다.

소설가, 시인의 산문집을 멀리했다.


그 소설이나 시를 그 소설이나 시로만 읽고 싶었다.

작가에 관해 알게 되는 게 싫었다. 

그 작가가 그걸 '창조했고'

그 창조된 세상을 원래 있는 사실로 '그런 척'하고 싶었다.


작가가 그 세상에 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고

어떤 마음으로 창조했는지, 그걸 아는 게 그닥 달갑지가 않았다.

사실은 궁금했지만.


그러다 바뀌었다.


소설 같은 허구의 문학은 '허구'이기에 의미있다는 걸 배우고 나서다.

허구를 인정하고 허구라서 더 좋아하게 되고

드디어 소설을 메타적으로 바라보게 되면서 감히 소설을 쓸 수 있게 되었다.


그 뒤로는 소설가의 산문집을 찾아다니며 읽는다.


김영하 작가의 소설가 데뷔에 관해 지면에서 본 적이 있다.

듣보잡 문예지에 낸 소설이 당선되지 않았는데

지금의 문학동네(그때는 우유배달소 윗층에 세들어 살던)에서 눈여겨 보았고

미팅했고 그렇게 책이 나와서 지금까지 죽 문학동네와 동고동락한다는.


그렇게 '같이 컸다'는 말이 그득하게 다가와서 떠나질 않았다.


이분은 참 의리 있구나...


중증의 치매 어머니가 젊었을 때 여군이셨단다.

그 '반전'은 그 사실을 가족에게 숨겼다는 고백에서 더 도드라졌다.


엄마는 내가 아직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시절의 자신에 대해 

입을 다문 채 이 세상을 떠났고


21p)


나는 이런 문장에서 울컥한다.

이전 다른 리뷰에도 썼지만 사람들이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문장에서.


우린 우리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엔 도통 관심이 없다.

'역사'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의미있다'고 떠드는 시간들에 관해서는

'공부'까지 하면서 정작 더 의미 있을 지도 모르는 '엄마의 시간'에는 관심이 없다.


내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의 엄마가 무슨 일을 했는지.

가을 바람 끝에 하늘을 쳐다보느라 우뚝 서서 무슨 생각을 했을지.


그래서 엄마들은 그 시절에 관해 입을 다무는지도 모르겠다.

엄마들의 이야기는 대개, '느네 아버지한테 시집와서~' 그 다음부터 시작된다.


하소연.


그래서 우리는 엄마들의 그 이전이 많이들, 없는 줄 알지.


내가 아직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시절의 자신에 대해 '적극적으로' 입을 다문 채 세상을 떠나신 작가의 어머니께 뒤늦게 명복을 빈다. 상주나 문상객은 아니지만 목울대가 아파오니 명복을 빌어드릴 감히, 조그만 자격은 받은 것 같다.


그 뒤 문장은 거짓말 안 보태고 열 번 더 읽었다.


그럼으로써 내게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독자가 적극적으로 상상해내야 하는

소설 속 인물들과 다르지 않게 되었다.

세월이 흐를수록 기억은 더욱 희미해지고 상상과 뒤섞일 것이다.

무엇이, 누가 실제로 어떻게 존재했는가는 모호해질 것이다.

기억에도 반감기가 있다면 그것은 언제일까.

그날의 빈소에서 나는 그런 것들을 생각하고 있었다.


22p)


상상하고 싶지 않지만,

오늘 나는

어쩔 수 없이,

언젠가의 내 어머니 빈소를 떠올린다.


그 곳에서 할 생각 하나를 챙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습이거나 스페인 문학과지성 시인선 618
송재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송재학 시인의 시집이 나왔다! 이분의 시에는 남다른 ‘풍경‘이 있다. 어떤 사물이든 존재든 가진 배면을 이분은 정말 넓고 깊게 보시는 듯. 물론, 나는 거기 아직 닿지 못하기에 멀리서 구경만 할 뿐이나 그것만으로도 차분해진다. 거기 닳으려면 가장 필요한 게 ‘가라앉기‘인 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