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챔피언들의 아침식사
커트 보니것 지음, 황유원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래전에 발표된 소설이고 한글 번역본도 있었다.
절판됐지만.
예전에 이 소설을 읽을 때는 내가 소설을 쓰지 않을 때였다.
그냥 커트 보거네트가 좋아서, 아니 신기해서 읽었다.
그런데도 소설 작법에 무지 유용하겠다, 싶었던 책이다.
이 소설은 쫀쫀한 줄거리 같은 걸 늘어놓고
캐릭터의 삶이나 인생을 보여주는 시도 같은 건 하지 않는다.
커트 보네거트는 자타공인 포스트모던 작가니까.
나는 포스트모던을 '실험적'이라고만 알고 있는 얄팍한 지식의 소유다 보니
이 소설의 무엇이 포스트모던인 지는 잘 모른다.
그냥, 참 희한한 소설이네 &&&&
없는 줄거리를 캐내려 기를 쓰다가 지쳐 나가 떨어진 내게
작가가 "자, 여기." 하며 적선하듯 던져준 게 있었다.
인물의 삶이나 인생의 구구절절함 대신 말이다.
그 인물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왜 그런 식으로 존재하는지-.
작자는 소설 속으로 직접 뛰어가 인물 행세를 하며 온갖 간섭을 하고 오지랖을 부리며
종횡무진 쏘다닌다. 그러다 마지막에 심지어는 또 다른 인물에게 스스로를
'창조자'라고 커밍아웃한다.
이쯤되면 싫든 좋든 운명처럼 떠올리게 되는 또다른 소설이 있다.
아마 많은 독자들이 그럴 것 같다.
글치.
칼비노의 <어느 겨울 밤 한 여행자가>

이 소설에서는 인물이 독자더러 '당신'이라고 부르며 온갖 개입을 유도한다.
물론, 이런 쌩뚱맞음과 어이없음은 '포스트모던'이라서 용서받을 수 있다.
소설에서 작가와 독자는 완전히 배제되어야 하는
결코, 초대 받아서는 안 되는 존재들 아닌가 말이다.
절대로 간단히 말해서는 안 되는 소설들이지만
용기 내서 간단히 말하자면,
커트 보네거트는 '쓰는 행위'에 관해 말하는 면이 있고
이탈로 칼비노는 '읽는 (+쓰는)'에 관해 말하는 면이 있다는 소리다.
소설에서 금기시된 존재인 작가와 독자를 과감히 끌어들여...
여기까진 비-포스트모더니즘 소설가들도 '메타픽션'틱하게 풀어간 게 많지 않으니까.
그런데 작가와 독자를 끌어들여 소설을 쓰고 읽는 행위 자체에 관해 다루고
그걸 주제화한 경우는 생각해 내기가 쉽지 않다.
소설가가 소설 쓰는 일 자체를 놓고 고심하는 소설은 몇 있다.
키리니의 <첫 문장 못 쓰는 남자>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머리로만 책을 쓴 남자> 같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도 누군가를 끌어 들였는데...가물가물...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없는 인물(토마스 같음)을 자기 모습을 보는 것처럼 썼던가.
아무튼
<챔피언들의 아침식사>에서는 인물이 자신의 삶이 허구라는 걸 알고 좌절한다.
이는 글을 쓴다는 것’이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다르게 왜곡하거나 어떤 식으로 규정짓는 방식일 수 있다는 걸 고발한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이 소설 쓰는 소설가라는 게 또 아이러니)
<어느 겨울 밤 한 여행자가>는 열 편의 소설이 나오지만 모두 감질나게 '초반'만 보여준다.
독자 입장에서는 감질나서 몸부림 날 지경이다.
그런데 작가는 그를 통해 독서란 것의 정의를 새로이, 혹은 자기 식으로
내리고 있는 것 같다.
독서는, 작가가 무언가를 제시하고
그 완성은 독자가 그 무언가를 끊임없이 추적하고 탐구하면서
이루어가는 것이라고.
말하자면, 독서는 미완으로 시작하고 미완으로 펼쳐지다가 미완으로 끝날 건데
'완료'는 당신(독자)이 알아서 하라는 식의,
다소 무책임하고 모질다고 생각돼 살짝 기분 나빠지려고 하는. ㅋ
아무튼 이런 연고로,
소설을 읽고 쓰는 사람이라면 두 권 다 꼭꼭꼭 읽어볼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소설을 읽고 쓰는 사람이라면 지금쯤 '구매'에 마우스를 갖다대고 있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