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만에 책을 샀다.
기존에 산 책도 아직 다 못 읽고 있지만 책을 구입하는 것만큼 기분을 잠시 전환시키는 방법은 없는 것 같다.
이번에는 한 권의 신간만 빼놓고는 장바구니에 계속 몇 달째(?) 담겨 있는 책들 중에서 골랐다.
이 시리즈의 신간이 나올 때 눈여겨보곤 하는데 이번에 낸시 프레이저가 나왔길래 고민하다 구입했다.
얼마 전부터 사상의 좌반구를 읽고 있는데(아직 1부 밖에 안 읽어서 뭐라 말하기 어렵지만 지금까지는 기대 이상으로 재밌음) 그 책에서도 낸시 프레이저가 언급된다.
이 시리즈의 장점은 무엇보다 사상가의 약력과 주요 사상을 빠르게 훓어볼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저자에 관심이 간다고 나온 책을 모두 섭렵할 수는 없으니 이런 책을 통해서 저자의 살아온 길을 확인하고 애정이 간다면 관련 책을 더 구입하는 길로 나아가면 되겠다.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은 한국의 자본주의 기본 방향이 설정되는 1950년대 전후 사회의 동력을 사상사적 관점으로 접근한다. 키워드는 근대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다. 오래 전부터 읽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며 구입을 망설이고 있었는데 결정적으로 함께 책을 읽는 분들에게서 적극 추천을 받은 바 있었고, 관련 서평을 읽어보며 구입을 결정했다.
<사쓰마와 시마즈 히사미쓰>는 메이지 유신의 승자인 사쓰마 가의 입장에서 바라본 역사를 제시한다. 막부 말기 사쓰마 가는 당시 교토 정국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시마즈 히마미쓰가 국부였다. 해당 역사에 대한 확장적 관점을 줄 수 있다고 함께 책을 읽는 분에게서 조언을 얻기도 했다. 관련하여 이전에 몇 권의 책을 읽었던 적이 있는데 비교해보며 읽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아킬레우스의 노래>는 일리아스의 등장 인물인 파트로클로스를 중심 인물로 하여 그려낸 소설이다. 일리아스를 각색한 소설이라는 것이 먼저 흥미로웠고 일리아스를 읽기 전후로 이 책을 읽어보면 또 다른 시선을 던져줄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 오래 전 일리아스를 읽었는데 이 책을 읽을 때쯤 일리아스도 재독해봐야겠다.
<붉은 혈맹, 평양, 하노이 그리고 베트남전쟁>은 사실 언제 무엇 때문에 담아두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 아무래도 어떤 칼럼이나 책을 통해서 담았을텐데 이놈의 기억력... 이제는 장바구니에 담을 때도 무엇 때문에 담았는지 기록을 해놓아야 할 것 같다-_-
6월 중순 쯤부터 새 필라테스 코치 선생님을 만나 1:1 수업을 시작했다.
이번 선생님은 이전 선생님보다 텐션이 높으셔서 약간 기빨리는 것이 있지만 운동을 세심하게 잘 지도해주시는 것 같다.
운동이 목적이니 운동을 잘 가르쳐주시면 됐지 싶다. 계속 수업을 진행하면 어색함도 나아지고 적응할 수 있겠지.
다행히 운동할 때 자세가 계속 나아지고 있다고. 선생님께서 스스로를 의심하지 말고 운동하라고 하셨다(충분히 잘하고 있는데 못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고^^;).
매사 회의하고 의심하는 습관이 있는 것이 운동에도 스며 있나보다. 허허...
주중에 2회 수업을 하는데 퇴근 후 하니까 하루가 정말 빨리 가는 느낌이다. 때문에 주중에는 거의 책 읽을 시간을 내기 어렵다.
2주째 주말에 하루는 근력운동, 또 다른 하루는 유산소운동을 진행하고 있는데 힘들기는 하지만 뿌듯하기도 하다.
개인 운동을 하는 습관을 들여야 나중에 선생님이 없을 때도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힘이 될테니까.
7월부터 불볕 더위가 시작되었는데 지난 주말부터 비가 내리더니 그나마 날이 좀 시원한 듯 싶다.
옆지기는 며칠 전 장염에 걸려서는 고생을 하다 이제 겨우 나아졌다(다른 건 다 참을만했는데 커피 못 마시는 것이 고역이었다고 한다). 다들 건강 유의하시기를 바란다.
피에쓰)
매년 알라딘 당신의 독서 기록을 확인할 때면 눈여겨보는 것은 좋아하는 책들의 분야다. 올해는 이렇게 나왔는데 예상한 대로의 순위인 것 같다.
1위
한국근현대사
2위
여성학/젠더
3위
한국소설
4위
중국사
5위
중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