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와 지식인 거리가 멀어진 이유. 1920년대 후반 소련과 공산당의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성격이 정해지면서.
추상적 지식의 전개. 현장과는 멀어짐. 지식인의 정치적 고립은 점점 더 추상적인 분석으로 이끌어.
로자 룩셈부르크 사상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이 식민지 조선에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었는지 정리할 것.
비판이론은 대부분 대학교수인데 미국 대학은 개방성이 있어 열려 있기 때문에 많은 지식인들이 자리를 옮겼다. 정체성 정치로 억압받는 소수자에 적합한 사유 전통이 만들어짐.

사상의 지리학이라는 것이, 이 경우에는 비판사상의 지리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고전 마르크스주의를 중요하게 발전시킨 것은 중유럽과 동유럽 사상가들이었다. 그러다 이쪽 대륙에서 스탈린주의화가 진행되며 이후 이론 형성이 차단되자, 사상의 구심점이 서유럽으로 옮겨 갔다. 이 사회적 공간에서 한동안, 즉 반세기 동안 비판적인 지적 생산물이 만들어졌다. 1980년대 동안에는 유럽 대륙에서 이론적이고 정치적인 비판이 쇠퇴하고, 또 정기간행물 뉴 레프트 리뷰 - P32
New Left Review』 『세미오텍스트Semiotext(e)』 『텔로스Telos』 『뉴 저먼 크리틱New German Critique』 『이론과 사회Theory and Society』 『크리티컬 인콰이어리Critical Inquiry』를 중심으로 지적이고 역동적인 활동이 이뤄짐으로써 비판의 중심이 영미권으로 점차 옮겨 갔다. 이처럼 비판이론은 역사적으로 비판이론이 거의 활발하지 않았던 곳에서 매우 활발히 전개됐다. - P33
비판이론은 사상이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일반 체제를 따른다. 파스칼카사노바 Pascale Casanova의 말처럼 "문학의 세계 공화국"이 있다면, ‘비판이론의 세계 공화국‘도 있다. 이 공화국은 동질적이지 않다. 모든 지역이 지적 생산에 공평하게 기여하진 않는다는 점에서 ‘불균등한 발전‘ 형태가 이 공화국을 지배한다. 어느 한 지역의 이론생산에 영향을미치는 여러 결정적 요인들이 있겠지만, 특히 대학 체계의 성격, 경제발전의 정도, 사회운동의 효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역 격차가 명백히 존재함에도, 오늘날에는 세계적 차원에서 비판사상의 생산과 유통 조건이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 P47
신비판이론의 중요한 특징은 그 내부에서 마르크스주의가 헤게모니를 상실했다는 점이다. 통념과 달리 마르크스주의는 오늘날 확실히 살아 있는 패러다임이다. 동시대 비판이론가 가운데 가장 뛰어난이들 상당수가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표방한다. 이 전통은 비판이론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사회과학 내부에서도 여전히 활발하다. 수 - P53
1990년대 후반 비판사상이 부활했다는 것이 ‘패배‘에 종지부를 찍었다는 뜻은 아니다. 급진 좌파는 오늘날 확실히 방어 태세를 갖춘다. 군사적 패배나 운동 경기의 패배와 정치적 패배가다른 것은, 정치적 패배에는 정해진 끝이 없기 때문이다. 군사적 대치상황에서 무력관계는 어느 한 교전국에 유리한 방식으로 언젠가는변한다. 그러면 전투는 끝이 난다. 운동 경기에서는 경기 시간이 종료함에 따라 패배의 규모가 언제나 제한된다. 반면 정치 영역에서는 패배가 무한히 이어질 수 있다. 이는 ‘민주적이고 사회적인 권리‘ 같은노동운동의 성과가 무한히 파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판사상의부활을 두고 뭐라 말하건, 그런 변수만은 시야에서 놓치지 말아야 한다. 신비판이론은 그 변수에 상당 부분 종속되어 있다. - P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