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뒤처진 야만인들을 상대하고 있고, 그들을 다스릴 유일한 방법은 야만인들과 허영심 많은 난쟁이 왕국 술탄들에게 공포를 불어넣고 모두를 두들겨패서 복종하게 만드는 것뿐이야.
슈츠트루페는 우리 도구지. 너도 마찬가지야. 우린 너희가 상상도못할 정도로 규율이 잡히고 고분고분하고 잔인해지기를 바라지. 너희가 망설임 없이 우리 지시에 따르는 낯두껍고 비정한 허풍쟁이가 되기를 바란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가 너희에게 값을 잘 치러주고, 너희를 마땅히 존중해줄 것이다. - P134

자신들로서는 기원조차 알 수 없는 공허한 야망이자 결국 그들을 지배할 목적이었던 명분을 맹목적으로, 살인적으로 끌어안고 계속 분투했다. 짐꾼들은 말라리아와 이질, 탈진으로 여럿씩 죽어나갔다. 아무도 굳이 그 사람들의 숫자를 세지 않았다. 그들은 그야말로 겁에 질려 탈영했다가 피폐해진 시골에서 죽어갔다. 나중에 이런 사건들은 기이하고 무심한 영웅담으로, 유럽에서 벌어진 엄청난 비극에 곁들여지는 이야기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이 시대는 그들의 땅이 피로 젖고 시체로 어지럽혀진 시기였다. - P1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에 살던 마을에는 다시 가본 적이 없어. 옛날 식구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른다네. 이 마을에 와서 살면서 알게 된 건데, 그곳이 별로 멀지 않은 곳에 있더군, 사실 여기 오기 전에도 고향 가까운 곳에 살게 되리라는 걸 알았지만 그 생각은 하지 않으려고 애썼지." - P40

진짜 오빠와 언니는 아니었지만, 그들이 장난삼아 놀리고 아프게 하더라도 그녀는 두 사람을 오빠와 언니라고 생각했다. 때때로 둘은 매우 고의적으로 그녀를 때렸다. 그녀가 성질을 돋울 만한 일을 해서가 아니라 그냥 그러고 싶어서, 그녀에게는 막을 힘이 없어서 때렸다. - P51

별로 아프지도 않았다. 그녀를 더욱 슬프고 작게 만드는 것들, 이 세상에서 혼자만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들은 따로 있었다. 매야 다른 애들도 매일 맞는 것이었으니까.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 엄니가 크게 베인 손을 움켜쥐고 핏방울 떨구며 홀로먼 황톳길을 걸어가던 꿈같이 어질하고 절박했던 그날 이후, 나에게 요리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예기치 않은 어느 날, 준비도 연습도 없이 맞닥뜨려야 하는 사건이 벌어지면, 울며 기도하며 내가 할 수밖에 없는 일이 주어지면, 그렇게 간절한 마음으로 꼭 해내야만 하는, 내인생의 모든 것이 그날 정오에 시작되었다.
생각할 때마다 아뜩하고 목이 메이는 나의 첫 요리. 내 인생의 첫 요리. - P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 책들과 함께하는 주말날씨는 맑음이다.

새벽에 일어나 방 안 공기를 바꾸려고 창문을 열었는데 꽤나 쌀쌀한 바람이 들어와서 놀랐다. 시원이 아니라 추웠다.
습하고 후덥지근했던 날을 생각하면 더 좋았지만...

얼른 문을 반만 닫고, 박노해 시인의 <눈물꽃 소년>을 펼쳤다.
책 표지가 민트색인데 보기만 해도 밝고 상쾌하다.

이분이 ‘평이’라고 불리던 어린시절을 담은 자전 수필인데, 아직 3분의 1정도 밖에 못 읽었지만 읽기 너무 잘 한 것 같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을 떠올리게 한 전라남도의 작은 마을인 ‘동강’에서, 아버지를 여윈 어린아이 평이를 걱정해 온 동네 사람들이 사기를 북돋아 주듯 칭찬을 아끼지 않고 챙겨주는 모습이 가슴 뭉클했다.
또 그에 힘입어 어른들 부탁에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모습이 어딘가 애잔하지만 너무 귀엽고 사랑스러웠다.

그리고 이번에 함께 구매 한 책이 또 있다.

인디라 간디가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던 1975년에서 1977년을 주요 역사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인도 뭄바이 파르시 집안에서 태어난 로힌턴 미스트리의 <적절한 균형>이다.

인도는 1947년 독립 이후 카스트제도가 법적으로는 폐지 되었지만,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인식에 뿌리를 내리고 굳어버린 만큼 차별은 존재한다. 한 개인을 이 계급에 기준을 삼고 나눈다는 것이 끔찍할 뿐이다. 거대한 국가권력이 저지른 폭력 앞에 맞서 버텨낸 사람들의 강인함을 알 수 있게 해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선택했다.

벽돌책이지만 글자크기가 작지 않아서 압박감 없이 꽤 잘 읽힐 것 같다. 자간과 줄간격도 맘에 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권 더.

아우슈비츠에 수감 되었던 프랑스 극작가 샤를로트 델보의 <우리 중 그 누구도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는 레지스탕스 혐의로 체포 되었던 그녀의 회고록이다. 살아 돌아온 자로써 목숨을 잃은 동료들을 생각하며 사명감으로 적었을 것이다.
영화나 책으로 많이 접해도 늘 익숙하지 않는 고통과 참담함을 주는 아우슈비츠의 이야기를 담은 이 책 또한 기대된다.


오늘이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이라서 그런지 역사의 한 순간이 되는 끔찍한 그 날들을 목격한 분들의 시선에도 집중하게 된다.
노동운동을 하며 현장의 진실을 기록하며 투쟁하며 희생했던 박노해 시인의 할머니께서 어린 손자에게 하신 말씀이 왠지 오늘 더 먹먹하게 다가온다.

(P. 33) ˝우리 평이는 겨울이면 동백꽃을 쪼옥 쪼옥 빰시롱 ‘달고 향나고 시원하게 맛나다’ 했는디, 올해 동백꽃 맛은 어쩌드냐아. 나는 말이다, 아가. 네 입에 넣어줄 벼꽃도 깨꽃도 감자꽃도 아욱꽃도 녹두꽃도 오이꽃도 가지꽃도 다 이쁘고 장하고 고맙기만 하니라. 이 할무니한텐 세상에서 우리 평이가 젤 이쁘고 귀한 꽃이다만 다른 아그들도 다 나름으로 어여쁜 꽃으로 보인단다. 아가, 최고로 단 것에 홀리고 눈멀고 그 하나에만 쏠려가지 말그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평아, 알사탕이 달고 맛나지야? 그란디 말이다. 산과 들과 바다와 꽃과 나무가 길러준 것들로 다 제맛이 있지야. 알사탕이 아무리 달고 맛나다 해도 말이다, 그것은 독한 것이제. 유순하고 담박하고 부드러운 맛을 무감하게 가려버리제. 다른 맛들과 나름의 단맛을 가리고 밀어내 부는 건 좋은 것이 아니제. 알사탕같이 최고로 달고 맛난 것만 입에 달고 살면은 세상의 소소하고 귀한 것들이 다 멀어져 불고, 네몸이 상하고 무디어져 분단다. 그리하믄 사는 맛과 얼이 흐려져 사람 베리게 되는 것이제." - P32

"아가, 사람이 나이 들면 다 주름지고 닳아지고 흙이 되는거시제. 그랑께 눈이 총총할 때 좋은 것 많이 담고 좋은 책 많이 읽고, 몸이 푸를 때 힘 쓰고 좋은 일을 해야 하는 거제이. 손발 좀 아낀다고 금손 되겄냐 옥손 되겄냐. 좋을 때 안쓰면 사람 베린다. 도움 주는 일 미루지 말고 있을 때 나눠야 쓴다잉. 다 덕분에, 덕분에 살아가는 것인께."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