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디오에 이상은 노래가 나온다. 이상은이 부르는 [삶은 여행]은 깊이 있는 노래다.
이 정도의 노래를 만들려면 부딪치지 않고서, 경험 없이는 가사를 만들 수 없다.
좌절을 맛보고 절망을 벌리고 들어가서 그 속에 웅크리고 있는 작은 희망을 보고 나온 것 같은 가사다.
삶은 여행과 삶은 계란의 [삶]이라는 글자는 같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삶]이라는 명사와 [삶다]라는 동사는 비슷한데 다르다.
따지고 보면 [삶]과 [삶다] 사이에는 시간이 지나 익어가면서 영글어 가는 명확함이 있다.
그 사이에는 공백이 존재하고 그 공백을 어떤 식으로 채우느냐에 따라 명확함의 관념은 달라진다.
그 공백 속에는 [기반]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는 보통 [기반을 잡는다]라는 말을 한다.
기반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기반이라는 단어와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이상은의 노래를 들으면 기반이란
기. 본. 반. 찬.이라는 말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삶이라는 긴 여행에서
매일 기본 반찬을 챙겨 먹기란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언젠가 끝나는 [삶은 여행]을 계속 듣고 있으면 조금 불안하다.
사랑이 시작됨과 동시에 두려움이 따라붙는 것처럼 행복 속에 싹트는 껄끄러운 불안이 고개를 든다.
늘 행복하다가 한 번 불행한 게 나은 삶일까,
썩 행복하지 않다가 한 번 행복해지는 것이 나은 삶일까.
삶이란 인간의 긴 여행이고 여행은 언젠가 끝이 난다.
소중한 널 잃는 게 두려워서 삶은 언제나 행복하지 만은 않다.
강해지지 않으면 더 걸을 수도 없다.
하지만 노래처럼 이젠 알 수 있을 때가 온다.
우리 모두는 자유롭게 살아가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라는 걸.
‘삶’이라는 단어를 떨어트려 놓으면 ‘사람’이 된다.
사람의 ‘ㅁ’과 ‘ㅁ’이 만나면 부딪혀 깎이고 깎여
시간이 흘러 ‘ㅁ’이 ‘ㅇ‘이 된다.
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이 된다.
https://youtu.be/jeOg6SeGcVg?si=gfh3GM9YzHeDJa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