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짓말을 진짜로 믿는 망상주의 인간이 얼마나 무서운지 스티븐 킹의 일화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이 사건은 당시 전국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다. 사건의 시작은 프린스턴에 살고 있는 앤 힐트너라는 여성이 스티븐 킹을 고소하면서 시작된다. 그녀는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미저리라는 소설은 원래 제가 쓴 작품입니다. 거의 모든 단어 하나하나가 제가 쓴 그대로예요. 최소한으로 잡아도 90퍼센트는 그렇습니다. 그 남자가 저희 집에 들어와서 원고를 훔쳐 간 거예요] 그 주장에 킹의 고문 변호사 아더 그린은 앤 힐트너의 이야기는 아무런 근거도 없는 엉터리라고 단언했다.
그녀는 10년 동안 킹에게 말 같지 않은 편지를 보낸 작가 지망생인데, 그런 사람을 진지하게 상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앤 힐트너라는 여성은 스티븐 킹이 70년대에서 80년대에 걸쳐, 그녀의 집에 여러 번 침입해서, 그녀와 그녀의 남동생이 쓴 원고를 훔쳐 간 후, 그의 작품 속에 도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제까지 여러 번 항의했지만, 특히 이번에 나온 [미저리]는 뻔뻔스럽게도 거의 자신의 작품을 그대로 베낀 거라서, 방관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래서 책의 판매액과 영화화로 벌어들인 수입을 양도하고, 즉시 서점에서 책들을 회수하라고 했다.
힐트너는 소설에 등장하는 정신 이상자지인 애니 윌크스는 자기를 모델로 한 것이라고 단언하면서, [나는 스티븐 킹의 책 같은 데에 등장하고 싶지 않아요]라고 주장했다. 힐트너는 자신이 스티븐 킹에게 협박장을 쓴 건 부인하면서
[나는 그 남자에게 엽서를 네 장 보냈을 뿐이에요. 킹은 나에게 한 번 편지를 보냈는데, 정신과 의사에게 가보라고 적혀 있더군요]라고 말했다. 기사 옆에는 푹신해 보이는 모피 코트를 입고, 털모자를 쓰고 생글생글 웃고 있는 앤 힐트너의 사진이 실려 있었다.
사진에서 보는 앤 힐트너는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중년의 보통 여자였다. 그것뿐이라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머리가 좀 이상한 아줌마] 이야기에 불과하다. 하지만 사건은 그다음에 좀 이상하게 전개된다. 며칠 후인 4월 26일 새벽 여섯 시에, 메인 주에 있는 킹의 빅토리아풍 저택에 에릭 킨이라는 스물여섯 살의 남자가 침입했다. 그때 킹은 없고 그의 아내인 타비터 밖에 없었는데, 킨은 그녀에게 자기 배낭 안에는 폭탄이 들어 있다고 했다.
킹의 아내는 그대로 집에서 뛰쳐나와 이웃집에 도움을 청했다. 달려온 경찰은 다락방에서 칩입자인 킨을 발견, 경찰견과 함께 쫓아가서 킨을 체포했다. 결국 배낭 안의 폭탄은 가짜였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그는 스티븐 킹이 뉴저지에 사는 자신의 고모가 쓴 원고를 불법으로 훔친 뒤, 그것을 도용해서 [미저리]를 쓴 사실을 규탄하기 위해 가짜 폭탄을 집에 장치하고 위협할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이 이야기를 읽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킨이라는 젊은이가 프린스턴에 사는 앤 힐트너의 조카일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 킨과 앤 힐트너는 전혀 모르는 사이다. [트랜턴 타임스] 신문에서는 플로리다에 사는 앤 힐트너의 작은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물어보았는데, 그는 자기가 알고 있는 한, 친척 중에는 그런 이름이 없다고 단언했다고 한다. 앤 힐트너는 이 사건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이번 폭탄 소동은 스티븐 킹이 조작한 연극이에요, 내겐 에릭 킨이라는 친척은 없어요. 킹이 자기 선전을 위해서 꾸민 게 틀림없다구요. 그 남자는 돈을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할 인간이니까요. 킹은 머리도 나쁘고 생각이 짧은 남자예요. 그런 놈은 앞으로도 계속 남의 글을 있는 대로 훔쳐다 써먹겠지요]
침입범인 에릭 킨은 구치소에 수감되었는데, 킹의 소설인 [미저리]는 자기 고모의 경험을 바탕으로 써진 거라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미저리]의 속편을 써서 킹의 도움을 얻어 출판하려고 했는데, 그 교섭이 잘되지 않았던 것이다.
앤 힐트너는 며칠 후 킹에 대한 고소를 스스로 취하했다. 그녀는 공정한 판정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 고소를 취하했다고 주장했는데, 이상하게도 그로부터 사흘 후에 똑같은 고소장을 법원에 다시 제출했다. 앤 힐트너 같은 사람에게 잘못 걸리면 무슨 말을 들을지, 무슨 일을 당할지 알 수 없다. 편집광적인 집요함이 있으니까, 뭔가 일단 시작하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본인은 자기가 옳다고 굳게 믿고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의 말에는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확신을 갖고 말하니까, 앞뒤 사정을 모르는 사람은 그대로 믿어 버릴 수도 있다.
이런 거짓을 진실로 믿고 편집광적으로 포기를 모르는 사람이 바로 민경욱 같은 극우주의자들이다. 절대 굽히지 않는다. 그리고 이런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들으면 부정선거에 대해서 믿어 버릴 수 있다. 무서운 일이다.
백인우월주의에 대한 이야기는 파고 시리즈 5에 잘 나온다. 존 햄이 빌런의 최고 수장으로 나오고 조 키어리가 극우주의자로 나온다. 주노 템플의 작은 몸집으로 이들에게 맞선다. 그녀의 뒤를 제니퍼 제이슨 리가 받쳐준다. 아주 재미있다.



극단으로 치닫은 극우 백인우월주의자들은 정부에게도 총을 들고 대항한다. 이 시리즈의 재미있는 점은 주노 템플의 남편이 기아 자동차 판매점에서 일을 한다는 것이다. 거짓을 진실로 믿는 극우집단을 그냥 두면 안 되는 이유는 분명하게 있다. 그게 진실이라면 진실이고 사실이다. 스티븐 킹과 앤 힐트너의 일화는 하루키 에세이에 소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