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트 블란쳇을 떠올리게 하는 소녀소년한 얼굴의 에릭 마틴이 내지를 때 나오는 그 허스키한, 그로울링 한 음색에 반했던 것 같다.


그런 음색은 매력적이다. 존 본 조비가 그랬고, 에어로 스미스의 스티븐 타일러가 그랬고, 우리나라로 치면 지 드래곤의 삐딱하게 할 때 음색이 그랬고, 서태지의 울트라맨이야 그 시절의 음색이 그랬고, 마야의 음색도 그랬다.


남자들의 전유물 같은 글램록 세계에 혜성처럼 등장한 빅센의 자넷 가드너 누님의 음색도 매력을 넘어서 마력적이었다. 이 누님들 비주얼은 요즘의 인공지능도 울고 갈 모습이었다. 빅센은 리처드 막스가 프로듀서 하면서 그야말로 수면 위로 빵 떠올라 자넷의 허스키한 노래들이 세계를 강타했지만,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한국에서 유명한 미스터 빅의 노래들 말고 이들의 진가는 터질듯한 폭주기관차처럼 헤비헤비한 메탈 곡들이다.


리더이자 베이스 빌리 시한은 화려한 주법으로 베이스를 장난감처럼 막 가지고 놀았다. 기타리스트들보다 베이스를 더 화려하게, 손가락이 춤을 추다가 급기야 드릴 신공으로 연주를 해버렸다.


당시의 잘 나갔던 록스타들은 전부 일본에서 공연했다. 후에 미스터 빅은 한국에서 자신들의 곡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고 한국을 찾아 공연도 하고 23년인가 고별무대도 서울에서 했다.


에릭 마틴은 나이가 들었지만, 음색이 그대로라서 좀 놀랐다. 그러나 밴드에서 나이가 들면 보컬은 힘들고, 고생이다. 본 조비도 한국에서 이제 나는 올웨이즈를 부를 수 없지만 한국에서 이 노래를 너무 사랑해서 안 올라가지만 불러 보겠다고 했다.


드럼의 팻 토페이는 파킨슨병을 앓다가 19년도에 세상을 떠났다. 기타의 폴 길버트는 다섯 살 때부터 기타를 친 건 유명하다. 폴은 기타 학교 지아이티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고 속주 전쟁에는 늘 참여해 기타 속주세계를 평정했다.


역시 미스터 빅의 빠르고 신나는 곡 ‘데디, 브러더, 러버, 리틀 보이’를 연주할 때 빌리 시한과 드릴 신공을 보여주어서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주었다.


미스터 빅은 일본에서도 사랑을 듬뿍 받았고 일본 공연도 많이 했고 폴 길버트 아내도 일본인이다. 이제 다시 미스터 빅의 완전체를 볼 수 없지만 그들의 음악이 있어서 행복했었다. 

미스터 빅의 한창때의 곡을 들어보자.  

Daddy, Brother, Lover, Little Boy https://youtu.be/46BCpSJKIjw?si=aLf6M7hMIr6zMhS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5-02-08 20: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스터 빅의 wild world를 잊지 못하는 건 동인천 화재 사건 때문입니다. 대학 시절 가끔 고향친구가 인천에 오면 동인천 골목의 라이브 카페에서 술을 마시곤 했는데 그때 늘 신청하던 곡이 wild world 였어요. 작은 라이브 무대 옆 큰 스피커 자리라 대화도 못하고 노래를 귀가 먹먹하도록 듣곤 했었죠. 졸업후 동인천 화재가 발생했는데 그때 가장 많은 학생이 죽은 장소가 그 카페 바로 스피커 자리였죠. 좋은 기억은 아니지만 그 노래와 함께 그 장소가 잊혀지지 않더군요.

교관 2025-02-09 12:23   좋아요 0 | URL
그런 아픈 기억이 있으시군요. 와일드 월드가 어딘가에서 들리면 그때가 생각이 나는 게 그럴 것 같아요. 사연을 들이니 꼭 정은임의 영화음악을 듣는 기분이 듭니다
 


그곳에서 잘 지내는지요. 저는 하루를 죽여가며 조금씩 죽는 날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그럭저럭 지내고 있습니다. 그럭저럭 지낸다는 말은 몹시 잘 지내지는 못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전에 비해서 불행하다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덜 불행하면 저는 괜찮다는 주의여서 그럭저럭 지내는 것에 불만은 없습니다만 내내 불안합니다. 늘 불안한데 어쩌다 불안하지 않으면 그것 때문에 또 불안합니다.


그대를 위해 용기라는 걸 한 번 써보려고 했는데 그만두겠습니다. 용기를 내려하면 할수록 형편없는 말들이 입술을 흔들고 밖으로 나오고 맙니다. 그렇습니다. 용기라는 건 태어날 때부터 요만큼이나 이만큼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지 없던 용기가 숨을 크게 들이쉬고 입술을 앙 다문다고 해서 나오지는 않습니다. 


저도 김승옥 소설가처럼 간단히 말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나조차도 알 수 없는 이 복잡하고 복잡한 이 마음을 제대로 말로 할 수 없는 것이 답답할 뿐입니다.


다정한 주홍빛의 언어들이 예능 프로그램처럼 죽 이어지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는 날이 올까요. 우리가 다시 만나게 되면 이병률의 시에서처럼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어서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커피가 사랑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커피를 한 잔씩 마십니다.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여러 잔을 한꺼번에 마시는 것은 두렵습니다. 절망으로 넘치는 바다 같은 사람이 아니라 사랑으로 가득한 고요한 사람이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는 별 볼 일 없는 어떤 누군가의 아무도 되지 못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그런 사랑입니다.


불행하지만 않으면 해 볼 만한 하루하루라 여겼지만 여기저기서 불행이 나타나서 가족처럼 저에게 붙습니다. 제게서 일어나는 불행은 정녕 내가 받는 고통에 대해서 무지했기에 나타나는 것이라는 말에 동감합니다. 저는 제 고통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그간 고통스러웠던 순간이 정녕 고통이었는지, 제대로 고통스러웠던 적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고통을 받아들이는 훈련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대로 된 고통, 그 고통을 감지하는 훈련이 되어야 고통에 수반된 불행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입니다. 정작 고통스럽지 않은 순간까지 고통으로 받아들여 불행을 느끼고 좌절하고 주저앉기를 수 없이 반복했습니다. 살아서 숨을 쉰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로 말입니다. 그동안에는.


또 편지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보는 사람들의 참을성을 무참히 깨버리고 짓밟아버린 영화

고통을 당하는 장면 그 자체가 고문인 영화

맨탈이라고 하는 것이 정말 유리 같다는 것을 느끼는 영화

그냥 주인공을 고문 초반에 빨리 죽여줬으면 하는 영화

불쾌함으로 보는 이들의 정신, 그 위에 올라타겠다는 권력이 강한 영화

공포라기보다 추악하고 순수한 고통인 영화

인간이 만든 영화로 인간만이 볼 수 있지만 인간은 보지 말아야 할 영화

재미, 무섭다, 영악하다 같은 단어가 끼어들 수 없는 영화

영화에서 가장 소름 돋고 토할 것 같은 장면이 오손도손 식사를 하는 가족의 모습인 영화

볼 때마다 욕이 쏙 들어가 버리는 영화

괴로워서 치가 떨리는데 눈을 돌릴 수 없는 그런 영화

영화 ‘마터스, 천국을 보는 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그곳에서 잘 지내는지요. 저는 하루를 죽여가며 조금씩 죽는 날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그럭저럭 지내고 있습니다. 그럭저럭 지낸다는 말은 몹시 잘 지내지는 못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전에 비해서 불행하다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덜 불행하면 저는 괜찮다는 주의여서 그럭저럭 지내는 것에 불만은 없습니다만 내내 불안합니다. 늘 불안한데 어쩌다 불안하지 않으면 그것 때문에 또 불안합니다.

그대를 위해 용기라는 걸 한 번 써보려고 했는데 그만두겠습니다. 용기를 내려하면 할수록 형편없는 말들이 입술을 흔들고 밖으로 나오고 맙니다. 그렇습니다. 용기라는 건 태어날 때부터 요만큼이나 이만큼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지 없던 용기가 숨을 크게 들이쉬고 입술을 앙 다문다고 해서 나오지는 않습니다. 저도 김승옥 소설가처럼 간단히 말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나조차도 알 수 없는 이 복잡하고 복잡한 이 마음을 제대로 말로 할 수 없는 것이 답답할 뿐입니다.

다정한 주홍빛의 언어들이 예능 프로그램처럼 죽 이어지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는 날이 올까요. 우리가 다시 만나게 되면 이병률의 시에서처럼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어서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커피가 사랑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커피를 한 잔씩 마십니다.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그렇다고 여러 잔을 한꺼번에 마시는 것은 두렵습니다. 절망으로 넘치는 바다 같은 사람이 아니라 사랑으로 가득한 고요한 사람이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는 별 볼 일 없는 어떤 누군가의 아무도 되지 못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그런 사랑입니다.

불행하지만 않으면 해 볼 만한 하루하루라 여겼지만 여기저기서 불행이 나타나서 가족처럼 저에게 붙습니다. 제게서 일어나는 불행은 정녕 내가 받는 고통에 대해서 무지했기에 나타나는 것이라는 말에 동감합니다. 저는 제 고통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그간 고통스러웠던 순간이 정녕 고통이었는지, 제대로 고통스러웠던 적이 있는지 의문입니다.

고통을 받아들이는 훈련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대로 된 고통, 그 고통을 감지하는 훈련이 되어야 고통에 수반된 불행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입니다. 정작 고통스럽지 않은 순간까지 고통으로 받아들여 불행을 느끼고 좌절하고 주저앉기를 수 없이 반복했습니다. 살아서 숨을 쉰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로 말입니다. 그동안에는.

또 편지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웹툰이 원작이긴 하지만 이 만화 같은 액션에, 이 만화 같은 대사에, 이 만화 같은 설정에, 이 만화 같은 유치함이 유치하지 않으면서 설정에 이해되고 대사가 쏙쏙 들어오면서 액션이 멋있다.

그놈의 성적, 초등학교 때부터 발버둥을 치고 할 수 있는 건 다 해봐도 꼴찌 아니면 그 언저리. 주인공은 자라서 악명 높은 유성 공고에서 스터디그룹을 만들어서 대학에 가는 게 목표다.

그러나 유성 공고의 아이들은 공부와는 담을 쌓고 교내에서 대 놓고 담배를 피우고 싸움으로 서열을 가린다. 거기에 말려드는 주인공. 주인공은 공부를 위해 어릴 때부터 운동으로 다진 몸.

주인공은 체격과 체력 그리고 싸움 실력이 신. 급. 주인공은 싸움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공부만 하고 싶지만 이 만화 같은 이야기는 주인공을 가만두지 않는다.

가민이는 스터디그룹 다섯 명을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교내 싸움 상위들이 격투를 신청하기만 하고.

도저히 누가 학생이고 누가 선생님인지 액면으로는 알 수 없는 얼굴들과 학원물은 일본의 전유물이라는 규칙을 깨버리는 아주 유치한데 유치해서 너무 재미있다.

주인공 가민은 숨은 고수지만 성적은 꼴찌, 그러나 생활 전반의 모든 지식을 습득한, 공부 빼고는 다 아는 천재. 하지만 재미라고는 1도 찾아볼 수 없는 무매력의 매력덩어리.

저쪽의 외상 센터 히어로가 있다면 학원물의 생계 히어로 가민과 그의 스터디그룹이 펼치는 무협 발광액션물 스터디그룹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