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의 편지
모리사와 아키오 지음, 권남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요일 하면 뭐가 생각나세요. 저는 가장 먼저 비가 생각납니다. 수요일은 물(水)이니까요. 단순하군요. 수(물)요일에 비 오는 날은 한해에 얼마나 될까요. 그건 저도 잘 모릅니다. 수요일은 한주 가운데 날입니다. 한국 달력은 그래도 다른 나라 달력은 다를지도 모르겠네요. 일본은 월요일부터 시작해서 수요일은 한주 세번째 날이에요. 저는 학교 다닐 때 수요일이 가면 이제 반이 갔다 했던 것 같네요. 학교 다니기 싫었던가 봅니다. 싫기는 했지요. 안 빠지고 다니다니 대단하네요.


 언젠가 글월이라는 편지 가게를 하는 사람이 쓴 《편지 쓰는 법》을 봤는데, 글월에서는 편지를 쓰고 모르는 사람 편지를 받을 수 있어요. 자신이 쓴 편지는 거기에 두고 다른 편지를 가지고 가는. 일본에는 ‘수요일 우체국’이 있답니다. 수요일에 편지를 쓰고 그걸 수요일 우체국에 보내면 다른 사람 편지를 보내준답니다. 이 책 《수요일의 편지》는 실제 있는 수요일 우체국을 모티브로 썼답니다. 편지 가게 글월도 소설이 나왔어요. 저는 아직 만나 보지 못했지만. 이 책을 보고 나니 수요일에 편지 쓰고 싶기도 하네요. 저는 어느 요일이든 상관없이 쓰지만.


 어쩐지 편지는 솔직하게 평소에 하지 못하는 말을 쓸 것 같기도 한데, 꼭 그런 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무라 나오미는 시부모와 아르바이트 하는 곳 상사와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일기에 썼어요. 친구가 수요일 우체국을 알려주고 거기에서 오는 여러 사람의 수요일 이야기를 보는 게 즐겁다고 해요. 그날 나오미는 친구와 안 좋게 헤어져요. 그 뒤 나오미는 일기를 쓰다가 친구가 알려준 수요일 우체국을 알아보고 수요일에 편지를 쓰는데, 실제 있었던 일은 아니고 자신이 빵집을 하는 꿈을 이룬 걸 상상하고 써요. 책을 보는 저는 그걸 알아도 나오미를 모르는 사람은 그걸 그대로 믿겠습니다. 나오미는 그 편지를 쓰고 조금 달라져요. 독을 뱉어내는 일기를 쓰지 않게 돼요. 그건 잘된 거겠습니다.


 그림책 작가가 되고 싶지만 현실을 생각하고 회사에 다니는 이마이 히로키. 히로키는 약혼자인 카키자키한테서 수요일 우체국 이야기를 들어요. 히로키는 같은 회사에서 일하던 동기가 프리랜서로 그림을 그리고 전시회 여는 걸 보고 조금 질투합니다. 그런 자신을 못났다 여기기도 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합니다. 아래층 사람이 죽은 고양이를 묻는 걸 보고 죽음을 생각하다 삶을 생각해요. 단 한번뿐인 삶이니 아쉬움 없이 살아야겠다고. 히로키는 인터넷에서 수요일 우체국을 찾고 거기에 맞는 양식으로 편지를 씁니다. 히로키가 쓰는 건 앞으로 자기 마음에 귀 기울이고 하고 싶은 걸 지금부터라도 조금 시작하겠다는 다짐 같은 거였어요.


 잠시 쉬어가는 걸까요. 세번째에는 수요일 우체국에서 일하는 사람 미쓰이 겐지로 이야기가 나옵니다. 미쓰이 겐지로는 동일본 대지진을 겪고 아내가 죽고 딸하고만 살아요. 그때 하던 일은 해일로 모두 쓸려가서 못하게 되고 수요일 우체국 일을 이웃과 함께 하게 됩니다. 돈은 많지 않아도 미쓰이 겐지로는 그 일을 즐겁게 생각해요. 겐지로가 편지를 받는 건 아니어도 편지를 보내줘야 하니 읽을 거 아니예요. 그런 편지를 읽다보면 세상에는 이런저런 사람이 있다는 걸 알겠습니다. 누군가 정해진 사람한테 보내는 편지는 읽으면 안 되겠지만, 수요일 우체국에서는 편지를 봐야 하는군요. 쓰지 않아야 하는 게 있을지 봐야 하니. 본래 편지는 무작위로 보내주는데 겐지로는 나오미와 히로키 편지를 보고 두 사람 편지를 서로한테 보내주면 좋겠다 생각하고 그렇게 합니다.


 편지를 쓰는 건 앞에 나오고 편지를 받는 이야기는 뒤에 나옵니다. 앞부분 보면서 편지 받는 건 안 나오려나 했는데 나왔군요. 누군가의 편지가 힘이 되거나 자신을 바꾸게도 할까요. 책을 읽었을 때도 그런 일 일어날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그러지 못했지만. 어떤 글을 보고 나도 달라져야지 하는 적 있는데, 그게 오래 가지 않습니다. 소설 속 사람은 다르군요. 아니 불안이 없는 건 아닐 거예요. 나오미뿐 아니라 히로키는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려고 합니다. 두 사람 편지는 두 사람뿐 아니라 다른 사람도 달라지게 해요. 저도 그런 편지 받아보고 싶네요.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5-06-22 23: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요일 우체국의 편지 시스템은 쓰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서로 정해지지 않은 방식이라서 독특한 것 같습니다. 좋은 일들을 상상하고 편지를 쓰고 실현하고 그런 과정은 선순환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희선님, 더운 날씨 조심하시고, 시원하고 좋은 주말 보내세요.^^

희선 2025-06-24 03:20   좋아요 1 | URL
편지를 쓰고 모르는 사람 편지를 받는 것도 괜찮을 듯합니다 늘 다른 사람 편지를 받아서 여러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알지도 모르겠네요 편지를 보고 다른 사람이 힘을 얻으면 그것도 좋은 거겠지요 여기엔 몇 사람만 나왔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이 그럴 듯합니다

서니데이 님 오늘 비가 온다고 하지만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너에게 편지를 쓰려고

편지지를 사러 갔어


문방구에는 편지지가 없어서

다른 곳에 갔더니 조금 있었어


옛날엔 편지 쓰는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별로 없다니 아쉬워


아니

아주 없지 않아서 다행이야


너에게 편지를 쓰려고

편지지를 고르는 일은 즐거워


내가 보낸 편지를 받고,

네가 즐거웠으면 해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만히 있어도 빛나는 때가 있겠지

그런 때는 길지 않을 거야


빛은 모두 사라지지 않아

조금씩 줄어들겠지


아주 밝은 빛보다

조금 희미한 게 좋지 않아

눈으로 보기에 편한 빛


은은하게 빛나는 것도

멋져

언제까지나 그렇게 빛나길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금복이 이야기 1
공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한국에서 고양이와 함께 사는 사람은 어느 정도나 될까. 꽤 많겠지.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싫어하고 괴롭히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는 고양이 먹이를 가지고 다니면서 길고양이한테 주기도 한다. 그런 모습 보고 고양이한테 먹을 거 주지 마라 하는 사람도 있겠다. 길고양이 숫자도 많은 듯하다. 늘 잘 보이는 건 아니지만, 어딘가에 숨어 있다 배가 고프면 먹을 걸 찾으러 나오겠다.


 조선 시대에는 고양이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조선 시대에도 고양이 좋아한 사람 있을 거다. 화가에도 있었던 것 같은데. 그렇다 해도 고양이를 방에서 기르지는 않았을 것 같다. 잠깐 방에 둔 적은 있겠지만. 옛날에 고양이는 더 살기 어려웠겠다. 지금이라고 쉽지는 않겠다. 집고양이보다 길고양이 수명은 짧다. 먹을 게 없는 것보다 다른 것 때문에 죽을 것 같다. 고양이한테 안 좋은 음식을 먹어설까. 사람한테 괴롭힘 당하지 않으면 좋을 텐데. 가끔 인터넷 기사에서 고양이 학대한 사람 이야기 보기도 했다. 그렇게 알려지는 것보다 알려지지 않는 게 더 많을지도.


 언제부터 검은 고양이를 안 좋게 여겼을까. 조선 시대에도 그랬나 보다. <금복이 이야기 1>은 조선 시대 이야기다. 누군가(사람은 아닌 것 같은데) 검은 고양이를 가엾게 여기고 어떤 힘을 준다. 그건 낮에는 고양이고 밤에는 사람이 되는 건가. 아이들한테 쫓기고 괴롭힘 당하려는 고양이를 의균이 데려다 기르기로 한다. 그것도 방에서. 검은 고양이 이름을 금복이라 했다. 금복이는 처음엔 의균을 피했는데 여러 날 지나고 밥도 잘 먹고 의균을 따른다. 금복이는 밤엔 어린아이가 된다. 사람이 된다고 뭐가 좋을까. 금복이가 밤에 사람이 되어도 아직 별 일 일어나지 않았다.


 낮엔 고양이가 잠을 잔다. 새끼 고양이니 잠 많이 자겠지. 의균은 잠든 금복이를 귀엽게 여기고 방석을 사다주고 놀이개로 놀아주다 놀이개가 망가지기도 한다. 의균 시중을 드는 동이는 금복이한테 조금 질투한 것 같기도 하다. 의균이 금복이를 예뻐해서 말이다. 털도 많이 빠지는데. 동이는 금복이를 밖에서 기르라 하기도. 의균은 금복이와 동이는 식구다 말한다. 동이는 그 말이 좋았던가 보다. 금복이도 동이를 싫어하지 않았다. 고양이는 상자에 들어가는 거 좋아하지 않나. 금복이는 됫박 안에 들어가기도 했다. 그게 좀 컸다면 좋았을걸. 밤이 되고 금복이가 사람이 되자 됫박이 부서졌다. 의균은 왜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한다. 동이는 됫박을 잘 붙여서 금복이한테 갖다준다. 동이는 금복이 형인가.


 의균은 몸이 별로 좋지 않은가 보다. 금복이와 살게 되고 얼굴이 좀 나아졌다. 아버지가 금복이를 알게 된다. 의균은 아버지한테 금복이와 함께 살고 싶다고 말한다. 아버지는 금복이를 안 좋게 여기지 않았다. 다행이구나. 어머니는 어떨지. 금복이가 사람이 돼서 괜찮았던 건 밖에 나갔다가 길을 잃었는데, 밤이 오고 사람이 되고는 집으로 잘 왔다. 의균이 누군가를 만나러 나간 사이에 어머니가 나타났다. 금복이는 어떻게 되려나. 쫓겨나지 않기를.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나리자 2025-06-21 11: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쓰메 소세키는 검은 고양이를 복고양이로 여겼다지요. 그렇지 않은 서양 작가도 있군요.
산책하다 보면 고양이가 정말 많이 눈에 띕니다. 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사람들도 있고요.

장마철이라 습한 날이 많네요. 건강에 유의하시고 잘 지내세요. 희선님.^^

희선 2025-06-24 03:17   좋아요 1 | URL
검은 고양이를 안 좋게 여기는 건 앨런 포 소설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거기에 나온 고양이가 검은 고양이였으니... 그러고 보니 나쓰메 소세키도 고양이와 살았네요 고양이가 죽고 고양이를 생각한 듯도 합니다

이번 여름엔 장마가 빨리 왔네요 지난주에 비 온 첫날 습도가 무척 높았어요 모나리자 님도 여름철 건강 조심하세요


희선
 




난 연필이야

사람은 글자를 배울 때

나를 쥐고 연습해


어릴 때만 나를 쓰고

조금 자라면 다른 걸 써


이젠 연필을 쥐지 않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아

글씨 쓸 일이 별로 없어서


나이를 먹고도

여전히 연필을 쓰는 사람도 있어

정말 다행이야


나로 글을 쓰면

볼펜으로 쓸 때는 들리지 않는

연필심이 종이를 스치는 소리가 들려

그걸 좋아하는 사람도 많아


나를 모든 사람이 쓰지는 않겠지만,

아직 쓰는 사람은 있어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5-06-15 2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영록은 ˝사랑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라고 노래하셨죠.ㅎㅎ

희선 2025-06-24 03:15   좋아요 0 | URL
연필로 쓰면 연할 것 같은 느낌도 들지만... 진한 심도 있기는 하네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