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해 식목일 날짜를 바꾸자는 논의에 대한 뉴스이다. http://www.segye.com/newsView/20220405507538?OutUrl=daum [식목일 따로 나무 심는 날 따로?… 기후변화 속 ‘유명무실’ 논란 2022-04-05]


오늘은 식목일, 영문학자 피오나 스태퍼드가 쓴  '길고 긴 나무의 삶'이란 책을 읽는다. 시작글로부터 일부 옮겨둔다. '꽃차례'란 말이 예쁘다. '꽃차례'란 제목의 시집도 있네.

꽃자루를 지닌 꽃차례가 보이는 Aloe hereroensis By Harald Süpfle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꽃차례'를 검색하니 나온 사진이다.





봄이면 벌거벗은 잔가지에 꿈틀대는 생명을 느낄 수 있고 하늘을 배경으로 모습을 드러낸 꽃차례들은 작은 오리가 하늘을 가로질러 간 흔적처럼 보인다. 어느 날 잔가지들이 굵어지고 환해지고 불룩해지기 시작한다. 이튿날쯤이면 나란히 짝을 이룬 집게발 같은 잎과 곁은 색, 미색, 분홍색이 감도는 꽃이 잔가지를 뒤덮는다. 봄기운이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폭발한다.

이 책은 나무라는 자연 형상의 물질적 아름다움과 여러 세기에 걸친 그들의 생존, 나무에게서 자라난 문화적 의미에 대한 경탄에서 싹트긴 했으나, 오늘 심은 어린 나무가 미래 세대의 위대한 나무들로 변할 시간을 고대하기도 한다. 이 책을 읽는 독자 누구라도 마음이 움직여서 책을 내려놓고 나무나 삽을 찾으러 간다면 이 책은 할 일을 다 한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인공이 점치러 간 장면. 지문 빼고 대화만 옮긴다.

Fortune Teller, c.1979 - Frank Mason - WikiArt.org





"운명을 보시겠습니까?"

"글쎄요, 평생의 일을 한꺼번에 들어두는 것도 손해는 없겠지만 그보다는 지금 여기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그걸 믿어 의심치 않는 것이 제게는 중요할 것 같으니까, 일단 그것 좀 부탁합시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전에 잘 알려지지 않은 프랑스 여성 화가 세라핀 루이 전기영화 '세라핀'을 봤다. 사진가 비비안 마이어와 조각가 까미유 끌로델의 생애가 겹쳐진다. 여성의 재능, 창작, 소명, 생존, 노동, 고독, 은둔, 광기, 고난, 천사...... * 세라핀 루이 Séraphine Louis http://www.kmtimes.net/news/articleView.html?idxno=27382

세라핀 루이 Creator:Albert Benoit User:Jean-Pierre Dalbéra


Tree, 1930 - Seraphine Louis - WikiArt.org


세라핀 루이로 검색하니 '시대를 초월한 여성들'이 나왔다.

Fleurs et fruits, 1920 - Seraphine Louis - WikiArt.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창동 감독의 '버닝'을 봤다. 개봉 때는 원작만 찾아 읽었다. 하루키의 '헛간을 태우다'를 영화로 만들 생각은 감독과 함께 각색하여 각본을 쓴 오정미 작가가 했다고 한다. 작년 말 각본집이 나왔다.


오정미 작가 인터뷰 https://blog.naver.com/karts_/221429497049 매거진 K-Arts [청춘의 잔해를 주워 담다·오정미]|작성자 한예종


노문학을 전공한 오정미 작가가 번역한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 민음사판 표지화는 러시아 화가 브루벨의 '앉아 있는 악마' - 우두커니 앉아 있는 그림 속 이 존재로부터 나는 종수(유아인)가 아니라 해미(전종서)의 그림자를 본다. 노을을 배경으로 춤추며 훌쩍이던 해미. 과연 그녀는 어디로? 무간지옥 같은 곳에 발 없는 새처럼 혼자 앉아 있다가 멀리 멀리 훨훨 날아갔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경이 '미래에서 온 편지'에 쓰길 "20세기 후반 내가 자라나던 시절에 일어났던 수많은 부정의에 대해 너무도 분노해서, 인도의 전설적인 여자 의적 ‘밴디트 퀸’이 되고 싶은 적도 있었"다고. 이름은 풀란 데비, 영화 '밴디트 퀸'으로 유명해진 그녀는 정치에 입문하지만 암살된다. 


'밴디트 퀸' 풀란 데비 피살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0107260028686769 2001년7월

풀란 데비 1983 By Government of India


오래 전 '한 여자의 선택'이란 제목으로 국내에 번역된 풀란 데비 자서전에 관한 여성학자 정희진의 2015년 서평칼럼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3199.html '죽이는 것은 너무 자비로운 일이다' 


풀란 데비에 대한 장편소설(원제 Devi)이 번역된 적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4-03 07: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현경선생님 존함 오랫만에 들으니 반가워지네요. 벤디트 퀸의 실존 모델이 있는지도 모르고 제목만 알고 넘어갔는데, 소개 감사합니다. 풀란 데비가 밴디트가 된 이유가 소름끼치게 분노 유발이네요.....

서곡 2022-04-03 23:12   좋아요 1 | URL
봉준호 감독 살인의추억 속 송강호의 명대사 ˝여기가 강간의 왕국이냐˝가 떠오릅니다......(애들립이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