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cowalknews.co.kr/bbs/board.php?bo_table=HB21&wr_id=66 전래동화 속 장애인에 대한 인식, 과거의 그림자일 뿐일까? 장애 코드로 문화 읽기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311 난쟁이가 아니라 그냥 사람입니다 [우리 모두 소수자다] ④ 왜소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297 올해 불광 3월호는 신여성 특집이었다. 어버이날이자 초파일인 오늘, 불가에 귀의한 신여성 김일엽이 쓴 '청춘을 불사르고'를 읽기 시작한다.





색의 아름다움은 꽃에 있다면 인생의 아름다움은 정에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아름다운 꽃을 대하면 자연 아름다운 정인情人이 생각날 것이요, 따라서 정인과 지나던 그곳을 못 잊는 것도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리하여 나는 생그레 피어오르는 꽃을 대할 때마다 나에게 가장 정다웁던 아버지와 아버지 슬하에서 자라고 있던 고향이 그리워지는 것이다.

어느 꽃이든지 아버지의 그 정의 그림자인 추억을 넌지시 갔다주기는 마찬가지다. 더구나 어느 꽃이 그 꽃인지 모르는 나이니 모든 꽃을 다 아버지 가꾸던 그 꽃의 손주 꽃이라 가정하고 사랑하여볼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수연 배우님, 명복을 빕니다. 유작이 공개되길 기다리겠습니다.

강수연(2009) By 박재환 - http://kinocine.com, CC BY-SA 3.0 영화 '달빛 길어올리기' 제작발표회 현장


* '스물 다섯 스물 하나' 김태리 배우의 드라마 연기상 소감 https://www.wikitree.co.kr/articles/754044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ingri 2022-05-08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RIP
 

정신분석학자 김서영이 프로이트 전집 사례들을 모아 펴낸 이 책 중 제3부에 그림 동화 속 룸펠슈틸츠헨이 등장한다. 

Stamp series on Rumpelstilzchen from the Deutsche Post of the GDR, 1976


[프로이트의 환자는 룸펠슈틸츠헨을 어디서 보았을까?-난쟁이 ‘룸펠슈틸츠헨’ 이야기 2]한국교육신문 (hangyo.com)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86396




동화 속 난쟁이가 등장한 꿈 57

내가 모든 게 갈색인 방에 있어요. 작은 문이 보여요. 그 문은 가파른 계단의 제일 윗부분과 연결되어 있었는데, 거기서 작고 이상한 난쟁이가 얼굴을 찡그리면서 방으로 들어왔어요. 듬성하고 짧은 흰 머리카락에 코가 빨간 난쟁이에요. 난쟁이가 내 앞에서 뱅글뱅글 돌며 우습게 춤을 추더니 다시 계단을 내려갔어요. 그는 회색 옷을 입고 있었는데 몸이 다 비쳤어요. 긴 검은 코트와 회색 바지를 입었던 것도 같아요.

한 부인이 남편과 몇 개월 떨어져 있었는데, 남편이 집에 돌아온 후 위의 꿈을 꾸게 된다. 난쟁이의 모습은 여자의 시아버지와 닮은 듯했다. 그녀는 곧 그림동화 중 룸펠슈틸츠헨 이야기를 기억해냈다.

꿈속의 난쟁이도 룸펠슈틸츠헨처럼 그렇게 이상하게 춤추며 뛰어다녔다. 보통 그림동화의 영어 번역본에는 다소 약하게 변형되어 있지만 그림 형제가 채집했던 민담에서 룸펠슈틸츠헨은 너무도 화가 나서 자기 몸을 둘로 찢는다. 꿈을 꾸기 하루 전날 남편 때문에 너무나 화가 난 그녀는 "저 인간을 둘로 찢어버리고 싶어"라고 소리쳤었다.

그렇다면 그녀를 찾아온 난쟁이는 남편이었을 텐데, 왜 시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났던 것일까?

그녀가 아이를 임신하지는 않았는지 걱정하는 꿈이다. 동화 속에서 난쟁이는 아이를 뺏기 위해 나타나지만 꿈속 난쟁이는 아이를 주기 위해 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영어판 전집 12권, 「동화에서 차용된 자료들이 꿈에 나타나는 방식The Occurrence in Dreams of Material from Fairy Tales」(1913)에 늑대 인간의 꿈 분석이 제일 처음 소개된다. 이것이 하나의 사례연구로 체계화되어 전집 17권에 수록된 것이다. 「동화에서 차용된 자료들이 꿈에 나타나는 방식」에는 그 외에 그림 형제의 동화 중 「룸펠슈틸츠헨Rumpelstiltskin」의 이야기를 언급하는 꿈 분석 사례도 소개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5-07 0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뮤지컬 캣츠 원작 T.S. 엘리엇의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1939) 초판본 표지


cf. 뮤지컬 ‘캣츠’의 캐릭터 럼플티저는 룸펠슈틸츠헨으로부터 착안한 이름이라고 한다. http://www.playdb.co.kr/magazine/magazine_temp_view.asp?kindno=11&page=1&no=5427&NM=Y






뮤지컬 《캣츠》는 1년에 한 번 열리는 고양이들의 축제 ‘젤리클 볼’에 하나둘씩 모여드는 고양이들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그곳에서 고양이들은 새로운 묘생을 살 수 있는 한 마리의 ‘젤리클 캣’으로 간택 받기 위해 자신의 매력을 뽐내며 저마다의 인생을 춤과 노래로 들려준다. 그래서 《캣츠》의 매 장면은 서로 다르게 생긴 고양이들이 등장해 화려한 공연을 이어나간다. 하지만 ‘그래서…, 이게 무슨 내용이야?’라는 의문이 들 수도 있다. 흘러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제각각의 고양이가 펼치는 ‘뮤지컬 갈라쇼’ 같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캣츠》는 〈주머니쥐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지혜로운 고양이 이야기〉라는 노벨문학상 수상자 T.S. 엘리엇의 ‘시’를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작곡가 앤드류 로이드 웨버는 등장하는 고양이들의 이름과 가사를 T.S 엘리엇의 시에서 그대로 따와 그의 천재적인 음악을 덧입혀 뮤지컬 《캣츠》를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