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 한 줄만 내 마음에 새긴다고 해도 - 나민애의 인생 시 필사 노트
나민애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나민애 지음/ 포레스트북스
한 줄의 시가 하루를 견디게 했던 날들이 있다. 시는 잘 모르지만 그 느낌이 좋아서, 어쩌면 시를 읽는 그 자체가 좋았는지도 모른다.
먼저 나민애 교수를 소개하자면 나태주 시인의 따님이시다. 얼마 전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신 것을 들었다. 어릴 때 아버지는 시 한 편을 완성하시면 온 가족을 불러 앉히시고 시를 읽으셨다고 한다. 그러면 가족들이 시에 대한 느낌 혹은 고칠 부분을 말해야 하는 시간이었다고 ^^
가정환경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시인의 따님이 국문학을 전공하고 교수가 되고 글을 쓰는 것.... 참 아름다운 일 아닌가. 저자는 시란 무엇인가? 시는 이름 붙이기라고 말한다.
책에는 한국의 서정시, 귀한 시들이 주제별로 서술되어 있다. 처음 맛보는 시, 작은 위로가 필요한 시, 사랑, 가을이나 바람 같은 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시까지... 어느 주제든 다 좋았다. 특별히 하나를 고르기 힘들 만큼 77편의 시가 주는 느낌은 따뜻했고 다정했다. 단순히 여백에 필사만 하는 것이 아닌 읽으며 깊이 사유하고 결국 나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 큐레이터 나민애 교수는 필사란 “말의 감각을 손끝으로 익히는 일”이라며, 시를 고르고 읽고 쓰는 과정을 통해 언어의 밀도와 호흡을 온몸으로 체험하도록 집필했다. 시 필사는 시인의 호흡, 쉼표 하나까지도 인식하는 일이라 매우 섬세한 작업이라 생각한다.
우리 일상에서 얼마나 많은 위로와 감정 정리가 필요한가! 삶의 우울, 외로움, 그리움 같은 섬세한 감정 상태를 시와 해설이 정리해 주는 느낌이다.
공광규 시인의 언어처럼 별을 닦는 나무 같은 사람, 한 페이지에 죽음 하나라는 안희연 시인, 시는 아픈데 정녕 낫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쓰는 것이라고 말하는 김승희 시인, 오은 시인의 기발한 시 그곳, 내 너무 별을 쳐다보아 별들이 더럽혀지지 않았을까 걱정하는 마음으로 이성선 시인.

너도 나도 외롭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차라리 홀가분하다. 우리 모두 함께 외로운 것이라면 따로, 또 같이 외로워도 조금은 덜 외롭다 p89
책을 덮고 생각해 본다.
책의 부제를 시의 역할, 시의 소임이라고 써도 될 것 같다. 시에게 무슨 역할이 있고 소임이 있을까? 그러나 만약 그런 것이 있어야 한다면 이 책은 그 역할을 다했다.
나태주라는 한국 문단의 큰 어른이 뿌리고 가꾼 씨앗 하나가,
이제는 커다란 나무가 되어 한여름 뙤약볕, 잠시 쉴 그늘을 만들어 주는 느낌이랄까.
나민애 교수의 해설은 단단하다. 나도 단단한 사람이 되고 싶다.
나만의 시 플레이리스트, 꼭꼭 눌러담아 혼자만 알고 싶은 시!!
#필사 #인생시필사 #근현대시
#단한줄만내마음에새긴다고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