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하이스트리트 - 명동,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도산 대한민국 6대 상권의 비밀
김성순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김성순 지음/ 디자인하우스
오프라인은 죽지 않았다는 강렬한 문장으로 각인되는 이 책!! 서울의 어디쯤 걷다 보면 불황이라는 말에 실감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코로나 이후 하루에도 수많은 가게가 문을 열고, 사람들이 다시 오프라인 공간으로 몰려들고 있다. 『서울의 하이스트리트』는 바로 이 현상의 '이면'을 말해주는 책이다. 이점은 4장 팬데믹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데 코로나는 위기이자 재편의 촉매다. 10년을 앞당긴 리테일의 진화는 약한 공간을 무너뜨리고 강한 공간을 강화한다. 예를 들면 글로벌 브랜드와 투자사들이 먼저 주목한 바로 현장을 말해준다.
책의 저자는 부동산 서비스 회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부대표이자 수많은 브랜드의 국내 상륙을 기획하고 공간을 설계해 온 실전 전문가다.
애플, 룰루레몬, 블루보틀, 모건스탠리, 도이치뱅크 이름만 들어도 아는 브랜드들.....
그가 직접 안내한 오프라인 비즈니스의 실험실은 단순한 부동산이 아니라,
브랜드가 문화를 만들고, 공간이 전략이 되는 무대로 볼 수 있다.

저자는 오프라인은 여전히 기회라고 말한다. 온라인 시대에 이 무슨 말이지 싶었는데 읽다 보면 끄덕!! 그 논리는 이와 같다^^ 온라인 쇼핑의 시대에도, 브랜드의 정체성을 가장 강력하게 전달하는 수단은 물리적 공간이라는 점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예를 들면 성수동 팝업스토어에서 명동 플래그십까지, 여전히 상권은 죽지 않고 이동한다. 그렇다면 전통의 메가 상권은 어떤가?...
앞부분은 화보처럼 아름답고 뒤로 갈수록 그 내용이 점점 더 설득력을 더해가는데
7장. K 부분 흥미롭다. K-브랜드, K-문화, K-클리닉… 한국의 거리는 세계인이 방문하는 목적지가 되었다. 이제는 세계가 서울을 배우는 중^^
8장. 연결 부분도 재미있었다.

공간은 연결의 장이라는 문장!! 브랜드, 소비자, 세대, 기억이라는 소재!! 서울의 거리마다 보이지 않는 커넥터로 연결되어 동시대를 살아간다.
저자는 공간의 흐름을 단순한 부동산 가치가 아닌 브랜드 전략의 지형도로 파악한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밸류애드’, ‘앵커’, ‘파사드’, ‘레이어’ 등 8가지 키워드로 브랜드의 입지전략을 해석하는 부분이다. 도시는 살아있다. 이전에 도시문화에 대한 철학 책을 읽었는데 그 책의 저자 철학자도 같은 말을 하셨던 기억이 난다^^
“사람과 브랜드, 문화와 자본이 교차하는 바로 그 거리에서 미래를 읽는다”
길을 걷다 잠시 머물렀던 카페...
창으로 보이는 상점의 제품들..
이런 소소한 일상에 보이지 않는 감각과 의도가 숨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책이다.
#서울의하이스트리트 #오프라인리테일 #도시브랜딩
#상권분석 #리테일트렌드 #하이스트리트
#도시는살아있다 #공간을읽는법 #길위에서배우다
#도시를걷는시간 #생각하는리테일 #브랜드의공간전략
#책추천 #서평단모집 #트렌드읽기 #브랜드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