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합사회와 윤리 교과서의 사상가들 - 논술과 수능이 강해지는 사상가 40인의 핵심 개념
김종익 지음, 문종길 감수 / 책과나무 / 2025년 5월
평점 :

김종익 지음/ 책과나무
메가스터디 사탐 대표강사이신 저자, 분야 많은 책들 출간했다. 첨단과학의 시대 동서양 사상의 의미는 무엇일까? 과학의 시대 철학의 부재 현상은 심각하다. 오래전 이런 서문으로 리뷰를 썼을 때, 이 분야 오랜 기간 책을 읽으신 북스타그래머 인플루언서라는 분의 댓글이 놀라웠다.( "철학이 왜 없어요? 본인이 잘 몰라서 그렇지 철학자들 많아요"라는 댓글... 책을 너무 많이 보면 현실을 외면하게 되는 걸까.. 소위 학자들, 지식인들의 남의 말 안 듣는 성향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한결같으니.... ㅠㅠ ) 물론 철학 시늉하는 자들은 많다. 단적인 예로 취업이 잘 되는 과학 관련과가 증설될 때 가장 먼저 사라지고 없어지는 것은 지방대 철학과라는 현실 ㅠㅠ 책은 동서양의 사상가들을 시대별로 분류하고 설명한다.
사탐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읽어도 좋고 성인 독자가 교양의 차원에서 읽어도 좋을 책이다. 우리가 한 권의 철학 원서를 접할 때 당혹스러움을 느낀다. 철학이란 '철학소'를 모르고서는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며 한 페이지를 읽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엄청난 일이다. 하이데거의 『존재의 시간』이라든지 조금 소프트한 계열로써 보부아르의 『제2의 성』과 같은 교양 인문학 저서를 읽는 데로 입문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각 사상가 철학자들을 시대순으로 정리하고 나니 뭔가 후련한 마음이 든다. 자신감마저 생기게 된다. 책이 소개하는 것은 개념 vs 개념, 각 철학자들의 비교를 통한 빠른 개념 흡수이므로 이 책으로 기초를 쌓은 후 반드시 철학 원전을 접해볼 것을 함께 권하고 싶다.
책에는 서양의 인문학자 혹은 사상가들 36명, 동양의 인문학자 사상가 12명이 서술된다. 우리가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수없이 보았던 분들!!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에픽테토스, 베이컨, 흄, 키르케고르, 벤담, 마르크스 등의 사상가들이다. 다 소개한다면 책의 요약이 될 것 같다.
이 중 최근에 관심을 가진 사르트르에 대해 언급해 보면, 실존주의에 대한 개념 정리, 예로 든 예시문, 그리고 보부아르와의 인간적인 면모 등이 흥미롭게 소개된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게 읽었던 부분이다.
인문학이 밥 먹여주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 질문은 나의 지인들이 흔히 농담처럼 하는 질문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책이 눈에 들어오는가? 혹은 책이 밥 먹여주느냐라는 질문과 연장선에 있다. 또는 철학이란 일종의 말장난이라는 견해에 대해!!!!
죽음을 연구하고 깊이 고민하는 데 평생을 바친 철학자들이 결코 삶과 무관하지 않다. '죽음'을 평생의 연구과제로 삼은 철학자들이 삶과 무관할 수 없다고 말하고 싶다. 잘 죽는 것에 대한 고민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고민과 동일한 질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탐의 주요 소재가 되는 학자들을 매우 흥미롭게 설명한다. 간혹 대학 철학 교양에서 만날 수 있는 싶은 개념도 슬쩍 언급한다. 다음 책을 기약한 저자가 이 책의 좀 더 심화된 버전으로 속편을 써주기를 소망해 본다. 추천합니다
#통합사회와윤리교과서의사상가들,
#김종익지음, #책과나무,
#인문학자, #철학자소개, #사회탐구영역,
#수능사탐필독, #수험생추천,
#공무원시험대비, #교양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