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8 서울, 극장도시의 탄생 - 서울올림픽이 만든 88년 체제의 등장과 커튼콜
박해남 지음 / 휴머니스트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 협찬 도서를 읽고 쓴 주관적인 리뷰

박해남 지음/ 휴머니스트
우리가 넘어서야 하는 것은 1988년 서울 극장 도시의 망령이다.
책을 펼치기 전에 도대체 무슨 말인가 싶었던 저자의 문장이 오스스 소름이 돋을 만큼 공감되었다. 군사 독재가 만든 경쟁 사회, 독점, 빈부 격차, 부동산 거품, 성적 중심주의, 성과 중심주의 한국 사회는 우리가 앞으로 반드시 넘어야 할 틀이다. 자살 공화국! 청소년 자살 1위의 나라... 리뷰 쓸 때마다 강조한 문장인데, 이제 이런 말에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사람들. 학원뻉뻉이 +숙제+ 성적 트라우마는 청소년기만 우리를 옥죄는 것은 아니다. 사회에 나가서도 여전히 아직도 심지어 어느 대학, 무슨 전공인지, 어떤 직장, 어떤 아파트에 사는지가 중요하다. 그 사람의 등급이다.
왜 1988 서울 올림픽인가!!
저자는 우리가 너무도 익숙해진 도시 풍경, 생활 방식, 사회 질서 속에 여전히 깊게 배어 있는 "88년 체제"의 본질을 들춰낸다. 서울 올림픽을 단순한 체육행사가 아닌 거대한 ‘사회적 공연’으로 바라보는 시선들! 독자로 하여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도시가 과연 누구를 위한 무대였는지 묻는다.
‘극장 도시’라는 개념은 내게 낯설고 한편으로 신선했다.
저자는 이 개념을 통해 차근히 사례를 들면서 서울 올림픽이 어떻게 도시를 무대화하고, 시민을 배우로 훈육했는지를 분석한다. 서울 올림픽의 결과물은 지금의 한국 사회, 무한 경쟁 체제, 남이야 넘어지든 말든 밟고 올라서는 사람들. 지금도 타인의 시선을 내면화한 채 살아가고 있다. ‘공연 계약’이라는 신선한 사회학적 개념은 오늘날을 근본적으로 비판한다. 권리보다는 이미지 관리에 중점을 두는 오늘날 자본주의의 병폐 아닌가 생각한다.
특히 인상적인 대목은 “공연 계약을 어떻게 사회계약으로 전환할 것인가”라는 저자의 질문이다. 민주화 이후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그 시대를 내면화했는가? 이것은 여전히 비민주적 방식으로 운영되는 사회에 대한 비판이자, 새로운 사회에 대한 요구다. 지금 우리의 도시는 여전히 ‘무대’이고, 우리는 그 무대에서 배역을 수행하며 살아간다. 무엇이 문제인지조차 모른 채 살아가는 사람들... sns 시대가 되면서 오히려 더 통제받고 규격화된다.
책은 논쟁점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서울 올림픽은 ‘공연’이었다: 이벤트인가, 연출된 정치극이었을까. 이는 이전에 김누리 교수의 강의 영상에서 본 장면을 떠오르게 한다. 독재 정권, 파시즘이 국민을 통치하는 방식과 닮았다.
박정희 시대부터 신군부까지 이어지는 정치권력의 극장적 연출 ㅎㅎㅎ 아직도 남은 그 잔재 속에서 무엇이 문제인지조차 모른 채로 살아가고 있다. ㅠ
강렬한 제목과 표지의 이 책은 도시와 시민, 권력과 이미지, 민주화 이후의 정체 상태를 종합적으로 읽어내는 보기 드문 사회학 텍스트다. 이런 발상을 하는 사회학자가 있었던가 싶다.
서울이라는 도시를 새롭게 보고 싶은 이들, ‘88년 체제’의 한계에 의문을 던졌던 이들, 정치와 문화가 어떻게 맞물려 일상을 조직하는지를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과연 다른 형태로의 도시는 가능한가... 묻고 싶다.
눈부신 무대 뒤, 우리가 외면해온 도시의 본질을 마주하게 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1988서울 #극장도시 #88년체제
#서울올림픽사회학 #사회계약을위한질문
#공연사회 #도시비판서 #박해남
#사회학신간 #서울을다시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