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개츠비 ㅣ 소담 클래식 2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유혜경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5년 4월
평점 :

피츠 제럴드. 소담출판사
피츠 제럴드의 이름이 이젠 너무나 익숙하다. 피츠 제럴드의 글쓰기 분투로 독서모임을 진행 중이라 그의 소설 또한 함께 병렬하는 중이다. 영미 소설을 대표하는 최고의 작품이라 불리는 이 작품의 의미는 무엇일까? 각기 다른 출판사의 번역으로 만나본 경험이 있고 지금 세 번째 독서다. 독서란 참 신기하기도 하지! 처음 읽을 때 보이지 않았던 것이 두 번째 읽을 때는 보인다는 것! 결국 얼마의 간격을 두고 다시 읽느냐도 중요하지만 그 사이 내가 얼마나 성장했는지의 여부가 더 중요하다.
소설을 통해 볼 수 있는 사고의 크기는 딱 내 시각의 크기, 나의 세계관만큼의 크기가 아닐까!
피츠 제럴드의 소설을 떠올리면 그는 "반짝이는 것"에 대한 애착과 허무함의 이중성, 화려함과 몰락, 로맨스와 비극의 결합하며, "한 시대의 초상"을 담아내는 세밀한 '관찰자적 시선'으로 담아내는 특기가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그의 글쓰기를 닮아보려고 노력한 지난 한 달이었다.
피츠제럴드 개인의 삶은 어떠했는가?
젤다와의 사랑, 사치스러운 생활, 경제적 곤궁, 알코올 중독, 젤다의 정신병 등…
( 개인적인 내 느낌은 피츠제럴드의 아내 사진을 보면 정말 아름답다.... 정말 예쁜 사람이다.... ) 젤다에 대해서는 최근 다시 평가되고 있다. 피츠제럴드는 젤다에게 매료되어 그녀를 자신의 작품에 자주 등장시킨다(ex. 데이지 = 젤다) 그러나 젤다 역시 예술적 욕망이 있었다. 피아노, 무용, 글쓰기에도 열정을 보였지만 여성으로서의 자기 욕망을 실현하기에는 시대적 한계가 있었다 ㅠㅠ
두 사람의 사랑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라는 질문을 던져보면? 많은 예술가들의 삶에 비춰봐도 될 문제다.
결국 "사랑"은 구원의 힘도 있지만, 서로의 욕망을 떠맡기면 파괴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대한 개츠비 출간 100주년이라고 한다. 100년 전 미국 사회를 잘 들여다볼 수 있는 책! 우리는 재즈 시대 미국에 대해 얼마나 아는가?!
막상 진짜 미국은 유튜브나 틱톡이 아닌 소설로 아는 것이 정확하다.
왜 그렇게 많은 소설가들이 피츠 제럴드를 사랑했는가?
그것은 치열한 글쓰기 열정과 그의 자부심 혹은 반대로 겸손함 때문이라는 것을 유추해 본다.
#위대한개츠비, #피츠제럴드,
#소담출판사, #재즈시대,
#아메리칸드림, #영문소설100,
#꼭읽어야할소설100선